국악사전

퉁소

  • 작성일2014-11-16

【정의】우리나라의 전통악기로 세로로 연주하는 관악기의 하나.

【이칭(異稱)】퉁애, 퉁쇠

【유래 및 역사】퉁소는 고구려 고분벽화인 안악 3호분에 있는 장적(長笛), 백제금동대향로에 있는 퉁소의 일종인 척팔(尺八), 신라의 토우에 있는 퉁소를 부는 악인상 역사 유물에서 볼 수 있다. 따라서 퉁소는 삼국시대부터 이미 보편적으로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던 관악기인 것을 알 수 있다. 조선 성종 때 악서인 [악학궤범]에 퉁소가 당악기로 소개된 것을 보면 중국에서 건너온 퉁소도 있었다고 보인다. 현재 당악에서 사용되던 퉁소의 연주 전승은 끊어졌다.

【형태, 기능 및 특징】퉁소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였다. 궁중에서 사용되는 퉁소는 중국으로부터 건너온 당악계 퉁소이고, 북청사자놀음의 반주나 무속의 시나위, 산조 등 민간에서 사용하는 퉁소는 당악계 퉁소와는 그 형태가 다르다. 당악계 퉁소는 여섯 개의 지공이 있고, 민간에서 사용하는 퉁소는 다섯 개의 지공이 있다. ??악학궤범??수록된 퉁소를 비롯하여 민간에 전승되는 퉁소는 대부분 취구와 지공 사이에 청공을 가지고 있다.

북청사자놀음에서 사용하는 퉁소의 길이는 대략 60~70cm 정도로 가장 길며, 그 외의 퉁소들은 대략 50cm 전후의 것이 많다. 지역에 따라서 혹은 개인의 취향에 따라서 다양한 길이의 퉁소가 만들어져서 전해지기도 한다.

【내용】퉁소는 세로로 연주하는 관악기이다. 운지법은 일반적으로 왼손 엄지로 뒷쪽 구멍을 막고, 식지, 약지로 앞쪽 취구쪽에서부터 첫 번째, 두 번째 구멍을 막는다. 세 번째, 네 번째 구멍은 오른손 식지와 약지로 막지만, 북청사자놀음 연주의 경우에서는 오른손 엄지로 세 번째 구멍을 막기도 한다.

특이한 연주법으로는 북청사자놀음의 반주 음악 연주 시 고개를 가로저어 요성하는 주법이 있고, 산조나 시나위를 연주할 때 지공을 조금 막거나, 고개를 숙이거나 들어서 미세한 음을 내는 주법 등이 사용된다.

【필자】이진원

【참고문헌】이진원. [洞簫?究 퉁소와의 만남]. 서울: 진영문화인쇄사, 1990.

宋芳松. [金銅龍鳳蓬萊山香爐의 百濟樂器攷], ??韓國學報?? 第79輯. 서울: 일지사, 1995.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