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덩덕궁이

  • 작성일2014-11-16

【정의】농악과 무가에 쓰이는 장단의 명칭

【이칭(異稱)】덩덕궁이장단, 떵떵이덜궁, 정적궁이, 정자꿍이, 무정작궁이, 정적기

【유래 및 역사】‘덩덕궁이’라는 장단의 명칭은 장구의 구음에서 나왔다.

【내용】전통음악에서 널리 쓰이는 장단으로서 지역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경기도·충청도·전라북도에서는 ‘덩덕궁이’라고 하며, 전라남도에서는 ‘떵떵이덜궁’라고 한다. 경상도에서는 ‘정적궁이’, ‘정자꿍이’ 또는 ‘무정작궁이’라고 하며, 함경도에서는 ‘정적기’라고 부른다.

‘덩’은 장구의 북편과 채편을 같이 치는 소리이고, 덕은 채편만 치는 소리이며, 궁은 북편만 치는 소리이다. 따라서 ‘덩덕궁이’라고 함은 장단의 리듬이 ‘덩’, ‘덕’, ‘궁’이 순서대로 배열되었음을 말해준다.

덩덕궁이는 한국 전통음악 장단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3소박 4박자 장단의 하나로 세 개의 소박이 모여 한 박으로 이루고, 그 넷이 한 장단을 이룬다. 서양식으로는 8분의 12박자로 표기한다.

다른 장단과 빠르기를 비교해 보면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산조와 같은 기악곡에 많이 사용하는 자진모리 장단과 비교할 때 조금 빠른 빠르기를 말한다고 할 수 있으나 경기도 남부, 충청도, 전라도의 무가에서 덩덕궁이는 조금 느린 빠르기를 가진다. 덩덕궁이는 빠르기와 장단꼴에 따라 경쾌하고 흥겨운 느낌을 준다고 할 수 있다.

  악보 

【필자】이진원

【참고문헌】[한국음악사전] 한국예술사전 Ⅲ. 서울: 대한민국 예술원, 1985.

장사훈. [국악대사전].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1995.

[巫樂]. 서울: 韓國文化藝術振興院, 1980.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