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판소리 다섯마당

  • 작성일2014-11-16

판소리

 

【정의】

 한사람의 소리꾼이 고수의 북 반주에 맞추어 서사적인 이야기를 창(소리)과 아니리, 발림으로 연행하는 성악곡.


【내용】

 판소리는 ‘판’과 ‘소리’가 합해진 말이며, ‘판에서 하는 소리’를 의미한다. 판소리의 판은 소리꾼과 고수, 청중이 있어야 만들어진다.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말 가운데 ‘일고수 이명창(一鼓手二名唱)’, ‘숫고수 암명창’이란 말이 있다. 이 말은 명창만큼이나 고수가 중요하다는 뜻이다. 또한 소리판의 청중도 “얼씨구.” “좋다.”하는 추임새를 하여 판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추임새는 ‘추켜 세워주는 소리’, 즉 칭찬하는 소리라는 뜻이다.

 소리꾼은 창(唱)과 아니리, 발림으로 판소리를 공연한다. 창은 노래이며, 소리꾼은 독특한 발성과 창법으로 노래한다. 아니리는 판소리의 내용을 말로 전달하는 부분으로 이야기의 진행을 설명하고 주인공의 마음과 여러 인물들의 대화 등을 말로 풀어낸다. 발림은 소리꾼이 부채를 들고 몸짓으로 이야기를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판소리의 형성은 17기 말이나 18세기 초에 걸쳐 이루어진 것으로 추측된다. 초기 판소리는 판에서의 줄타기와 같은 공연을 담당했던 광대들의 소리에서 만들어져 나온 것으로 이야기되고 있다.

 19세기에 들어 단가가 판소리와 함께 불리게 되었고, 새로운 대목을 만들어 기존의 판소리에 더 넣은 ‘더늠’이 만들어져서 현재와 같은 모습의 판소리가 완성되었다. 본래 12마당의 판소리가 있었으나 이 시기에 5마당으로 줄었다. 신재효와 같은 양반 및 중인에 의해 한문구 등의 가사가 추가되었고, 다양한 음악 어법들이 수용되었으며,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동편제와 서편제 등의 유파가 성립되었다. 19세기는 전기 8창 시대와 후기 8창 시대로 부르기도 한다.

 동편제는 전라도의 동쪽지역에서 만들어진 소리인데, 송흥록을 시조로 송만갑, 박봉술 등으로이어졌다. 서편제는 전라도의 서쪽 지역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박유전을 시조로 김채만, 이날치 등으로 이어졌다. 중고제는 충청, 경기 지역의 소리제이다. 이외에도 서편제의 분파로 보성에서 만들어진 보성소리가 있고, 동편제의 분파로 고흥 출신의 김연수가 만든 동초제, 여러 선생의 소리를 모아 재구성한 김소희의 만정판 소리 등이 전승되고 있다.

 20세기에는 서양식 극장이 생겨났고, 이에 따라 무대에 맞는 창극이 만들어졌다. 창극은 여러 창자들이 배역을 나누어 연극을 하면서 판소리를 하는 것을 말한다. 판소리는 1964년 12월 24일 중요무형문화제(제5호)로 지정되었으며, 2003년 11월 7일 유네스코 <류 구전 및 세계 무형 유산 걸작>으로 선정되었다. 현재 중요무형문화재 제 5호의 보유자는 춘향가 성우향, 심청가 성창순, 흥보가 박송희, 적벽가 송순섭, 고법 김철호 등이다.

 한편 일제강점기 열사가로부터 시작된 창작 판소리는 1980년대에 대학가를 중심으로 활성화되었으며, 지금은 다양한 소재의 판소리를 만들어 부르고 있다. 판소리는 가야금병창, 창극, 여성 국극, 창무극 등 다양한 형태로 분화하였고, 판소리의 음악 어법은 기악곡인 산조를 만드는 바탕으로 활용되었다.

 판소리는 원래 춘향가, 심청가, 흥보가, 수궁가, 적벽가, 변강쇠타령, 배비장타령, 옹고집타령, 강릉매화전, 장끼타령, 왈자타령, 가짜신선타령의 열두 마당이다. 이 가운데 현재 소리와 함께 전승되고 있는 것은 춘향가, 심청가, 흥보가, 수궁가, 적벽가의 다섯 마당이다.  

판소리는 고수가 북을 쳐서 창자의 소리를 반주한다. 판소리에 쓰이는 장단은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휘모리, 엇모리, 엇중모리 등이다. 이야기의 특징에 따라 장단을 선택하여 사용한다.예를 들어 급박한 장면에는 빠른 속도의 자진모리나 휘모리를 쓰고, 웅장하거나 매우 슬픈 장면에는 진양조, 신비한 장면에는 엇모리, 춤을 추는 장면에는 중중모리를 주로 사용한다. 

 조는 판소리에 사용되는 음계를 말한다. 우조, 평조, 계면조, 경드름, 메나리조, 설렁제, 추천목 등의 조가 이야기의 특징에 맞게 사용된다. 계면조는 남도민요에 사용되는 육자배기조와 같은 것이며, 판소리에서 슬픈 장면을 노래할 때 사용되고 있다. 우조나 평조는 장중하거나 평온한 분위기를 만들며, 설렁제는 위엄 있는 모습을 그린다. 경드름은 경기민요 창부타령조와 관련이 있으며, 메나리조는 동부 민요의 메나리조와 관련이 있는 조이다.

 

【필자】김혜정(경인교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