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평조음계

  • 작성일2014-11-16

 

정의】통일신라 시대부터 현재까지 사용되는 전통음악의 악조 명칭.

【유래 및 역사】통일신라 시대에는 거문고삼죽(대금,중금,소금)의 조명칭으로 사용되었으며, 그 후 다른 악기에도 사용되었다.

【내용】오늘날 평조는 정악과 민속악의 모든 음악에서 쓰이며, 각각의 장르에 따라 평조의 의미는 선법명 · 조명(調名) · 스타일 등의 개념으로 조금씩 다르게 사용되고 있다.

평조는 선법 명으로 쓰일 때는 계면조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세조실록악보에는 치조(徵調)라고 설명되어 있으며 ‘솔-라-도-레-미’로 읽을 수 있는 선법 즉, 장2도 · 단3도 · 장2도 · 장2도의 음 간격을 갖는 선법을 가리킨다. 정악에서 황종부터 시작하는 평조 선법은 황(黃) · 태(太) · 중(仲) · 임(林) · 남(南)으로 구성되며, ‘황’과 ‘임’에서 요성을 하고, ‘중’과 ‘남’에서 퇴성을 하는 특징이 있다. 시용향악보의 악곡들은 평조와 계면조로 통용되기도 하는데, 평조의 제2음과 제5음을 반음 높이면 계면조가 된다. 현재의 가곡 우조(평조)를 계면조로 뒤집은 곡이 가곡 계면조이다.(변조 항 참조)

 조명(調名)으로 쓰일 때는 우조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중심음의 높이가 임(?)인 조를 가리킨다. 이때 평조는 낮다는 뜻의 ‘평탄한 조’의 의미로서, 거문고의 대현 5괘의 음을 ‘궁(宮)’으로 삼는 조명으로 사용된 것에서 유래하였다. 현재의 평조 악곡인 평조회상(유초신지곡)은 본래의 우조 악곡인 영산회상(중광지곡)을 4도 낮게 연주하는 곡이다.(변조 항 참조)

 판소리산조에서의 평조는 ‘레-미-솔-라-도’ 즉 장2도 · 단3도 · 장2도 · 단3도의 음 간격을 갖는 악조명으로 쓰이며, 정악 평조의 제5음이 반음 높아진 것과 같다.

 이와 같이 장르에 따라 다르게 사용되는 평조의 공통적인 특징은 ‘화평한 느낌을 주는 음악’에 있으며, 가곡원류에서는 웅심화평(雄深和平), 정대화평(正大和平)으로 표현하기도 하였다. 평조라는 용어가 중국 고대음악에서 사용되었으나, 그 실체는 우리나라의 평조와 다르다. 특히 《삼국사기》의 평조를 중국의 평조와 동일하게 해석하려는 시도는 잘못된 것이다.

 

【필자】김우진

【참고문헌】『삼국사기??. 『세조실록』. 『시용향악보』. 『양금신보』. 『해동가요』. 『가곡원류』.

이혜구, 『한국음악연구』, 국민음악연구회, 1957.

변미혜·한윤이·김희라, 『국악용어편수자료집Ⅰ』 서울:민속원, 2008.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