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향비파

  • 작성일2014-11-16

【정의】국악기 중 사부(絲部)에 속하는 현악기.

【이칭(異稱)】직경비파(直頸琵琶). 오현비파(五絃琵琶)

【유래 및 역사】신라에서 만들어진 삼국시대부터 조선 말기까지 궁중에서 쓰인 향악기.

【형태, 기능 및 특징】꺾인 목에 4줄을 가진 당비파와 달리 곧은 목에 5줄로 되어 있다.

【내용】비파는 신라에서 만든 발현악기로 ‘곧은 목’을 가졌기에 직경비파(直頸琵琶)라고도 하며, 5줄의 악기 구조로 인해 오현비파라(五絃琵琶)고도 한다. 중앙아시아 지역에 살던 옛 사람들은 이 악기를 말 위에서 연주했으며, 비파라는 이름은 악기를 연주할 때 손을 앞으로 밀어 소리 내는 ‘비’와 끌어당겨 소리 내는 ‘파’의 의성어를 따라 명명한 것이다.

 향비파의 명칭은 『삼국사기』 「악지」에서 처음으로 나타나며, 오현이라는 이름은 중국 측 문헌인 『북사(北史)』 「동이전」이나 『수서(隋書)』에 의해서 확인된다.

향비파는 고려 시대에도 중요한 향악기의 하나로 취급되었고, 조선 시대로 전승되어 향악(鄕樂)과 당악(唐樂), 향당교주(鄕唐交奏) 등에 편성되었다. 향비파의 그림은 『세종실록』 권132에 처음으로 보이고, 『악학궤범』에는 그림과 함께 상세한 설명이 있다. 19세기 이후 그 전승이 위축되다가 20세기에 들어 아예 전승이 단절되고 말았다. 비파 음악이 단절된 배경과 이유는 “비파의 성능이 거문고와 흡사했기 때문에 1930년대 까지도 거문고의 연주법에 준해 연주되었으나, 결국 거문고의 위세에 밀려서 사라졌다.”는 견해가 있다.

 향비파는 당비파와 같이 공명통인 몸통과 지판 역할을 하는 목, 조현 장치인 주아와 줄 매는 부분, 현(絃)으로 이루어졌다. 연주할 때는 술대[거문고 술대와 같다]로 현을 퉁겨서 소리를 낸다. 향비파는 거문고처럼 오동나무와 밤나무로 앞뒤 판을 대고 복판에 대모를 붙여 만든다. 술대는 철남목(鐵枏木)으로 만든다.

비파 연주를 위한 기보법은 조선 시대의 『금합자보』와 『악학궤범』에 설명되어 있는데, 대개 거문고와 비슷한 합자법을 이용하고 있다.

【필자】박소현

【참고문헌】『삼국사기』『세종실록』『금합자보』

『국역악학궤범』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1980.

장사훈, 『한국악기대관』 서울: 한국국악학회, 1969.

이혜구, 『신역악학궤범』 서울: 국립국악원, 2000.

송혜진, 『한국악기』 서울: 열화당, 2001.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