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향피리

  • 작성일2014-11-16

【정의】대나무로 만든 관악기.

【이칭(異稱)】향필률(鄕??), 대피리, 사관, 향관(鄕管)

【유래 및 역사】고구려 이전부터 전하여 오는 고유한 피리.

【형태, 기능 및 특징】국악에서 주된 선율을 담당하는 관악기.

【내용】대나무 관대에 겹서[겹혀]를 끼워 입에 물고 부는 관악기이다. 궁중음악 외에도 민속음악 합주, 무속음악, 무용 반주 등에 필수 악기로 쓰였으며, 특히 삼현육각 편성의 음악에서는 수피리와 곁피리 둘이 음악을 주도한다. 향피리는 그 쓰임에 따라 크고 작은 것의 구분이 생겨 향피리와 세피리로 구분된다.

 우리나라에서 언제부터 피리를 만들어 불기 시작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고려 시대에는 향악 연주에 지공이 일곱 개인 피리가 편성되었다. 고려 시대 이후 피리는 조선 시대를 거쳐 오늘날 이르기까지 한국음악에서 주선율을 담당하는 악기로 궁중음악부터 민속음악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사용된다.

 향피리와 세피리는 관대와 서의 굵기가 조금 다를 뿐 구조나 제작법 등은 완전히 같고 시누대로 만든다. 『고려사』「악지」에 지공이 7개라고 소개된 향피리는 『악학궤범』에 이르러 당피리처럼 8개의 지공을 갖게 되었다. 향피리 관의 길이는 궁중음악용과 민속음악용이 약간의 차이를 보이는데, 궁중음악용은 약 26.4㎝, 민요에 사용되는 것은 25.4㎝, 시나위용은 25㎝ 가량이다[이상의 길이는 모두 서를 포함한 전체길이].

【필자】박소현

【참고문헌】『국역악학궤범』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1980.

장사훈, 『한국악기대관』 서울: 한국국악학회, 1969.

이혜구, 『신역악학궤범』 서울: 국립국악원, 2000.

송혜진, 『한국악기』 서울: 열화당, 2001.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