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난봉가

  • 작성일2014-11-16

【정의】서도 통속민요의 하나.

【내용】<난봉가>는 대표적인 서도 통속민요이며, 그 곡명은 ‘난봉이 났네, 난봉이 났네’로 시작하는 메기는소리 가사에서 비롯되었다. 그런데 <난봉가>는 <긴난봉가>·<자진난봉가>·<가사난봉가>·<병신난봉가>·<사리원난봉가>·<숙천난봉가>·<별제난봉가>·<개성난봉가> 등 여러 형태의 소리가 존재한다. 이 중 <긴난봉가>·<자진난봉가>·<병신난봉가>·<가사난봉가>는 현재 연이어서 많이 부르며, 이들 소리 가운데 <긴난봉가>가 가장 원형태에 해당한다. <난봉가>는 후렴 가사가 대부분 ‘아하아에 에헤요 어람마 둥둥 내 사랑아’로 되어있어, 대표적인 랑타 노래이기도 하다.

 예전에는 <긴난봉가>가 ‘황해도 지방에서 오래전부터 전래되는 민요로 일할 때나 놀 때 많이 부르던 소리’로 추정되었다. 그런데 최근 ‘<긴난봉가>는 전통시대 서도에서 주로 활동했던 사당패의 소리인 <동풍가>, <사설난봉가>는 경기도를 주거지로 활동했던 사당패의 소리인 <자진방아타령>에서 근세기에 유래되거나 그 영향 아래 형성되었다’는 의견이 제기된 바 있어, 사당패소리와의 밀접한 관련성을 짐작케 한다. 토리는 대부분 소리가 주요 구성음이 라, 도', (레'), 미', 솔'이며 미'에 굵은 요성이 나타나는 반수심가토리(수심가토리메나리토리가 섞인 형태)로 되어있고, 소리에 따라 사랑타령답게 흥청거리거나 애잔하기도 하다. <난봉가>의 원형이자 가장 대표적인 <긴난봉가>의 가사와 선율은 다음과 같다.

 

<사설> <긴난봉가> 중

받는소리: 아하아에-에헤이요 어람마 둥둥 내 사랑아

메기는소리: 1. 정방산성 초목이 무성한데 밤에나 울 닭이 대낮에 운다

2. 슬슬 동풍에 궂은비 오고 시화나 연풍에 임 섞여 노자

3. 사면십리 느러진 능파 능파 속에 임 찾아 갈 길이 망연이로다

4. 난봉이 났네 난봉이 났네 남의 집 외아들이 (실)난봉이 났네

5. 오금이 오슬오슬 춥고 골머리 사지통 나는 건 임으로 연하여 난 병이로다 (후략)

 

창: 한경심

자료: Columbia 40413A

채보: 손인애

 

【필자】손인애

【참고문헌】

손인애,「서도민요 사설난봉가 연구」,『한국민요학』제16집, 서울: 한국민요학회, 2005. 6.

「서도민요 <긴난봉가>에 대한 史的 고찰」,『한국민요학』제23집, 서울: 한국민요학회, 2008. 8.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