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채궁

  • 작성일2014-11-16

소리북

 

【정의】판소리에서 고수가 창자의 소리에 맞추어 장단을 칠 때 사용하는 북.

【이칭(異稱)】고장북, 백(白)북

【유래 및 역사】판소리에서 사용기 시작한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다. 부 지방에서는 백(白)북을 주로 사용하였고, 중부 지방에서는 단청(丹靑)북을 많이 썼다고 한다. 현재는 백북이 주로 사용된다.

【형태, 기능 및 특징】북통은 소나무로 만든다. 북면의 크기는 원지름이 40㎝, 높이 25㎝ 가량이다. 가죽은 쇠가죽을 사용하는데, 놋쇠 못을 여러 개 박아 북통에 고정한다. 북채는 도장나무나 박달나무 혹은 탱자나무를 쓴다.

【내용】판소리에는 ‘일고수 이명창’이라는 말이 있다. 북을 치는 고수가 첫째이고, 그 다음이 소리하는 창자라는 것이다. 이는 그만큼 고수의 역할이 판소리에서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국악에서 장단을 맞출 때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악기는 장구이나, 판소리는 북으로 장단을 맞춘다. 고수는 소리하는 이의 왼편에 앉아(관객이 보기에는 소리하는 이의 오른편), 북을 앞에 놓고 책상다리를 하여 앉는다. 북은 고수의 왼편으로 약간 당겨 놓고, 왼손으로는 북의 궁편(왼편 가죽면)을 치고, 오른손에는 북채를 쥐고 북의 오른편 가죽과 북통을 친다.

소리북은 왼손의 궁편 연주법과 오른손 북채의 연주법이 다양하다. 특히 북채는 북통의 여러 곳을 치고, 이에 따라 강도와 소리가 다르다.

소리북의 연주법에는 뒷궁, 채궁, 대점, 매화점 등이 있다.

뒷궁은 왼손으로 궁편을 연주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왼손 엄지를 북통 왼편 모서리에 걸치고 나머지 손가락을 모아 펴서 손바닥과 손가락을 팔과 120도쯤 아래로 기울인 자세로 연주하며, 가죽을 치는 방향은 북편과 직각으로 친다. 뒷궁이란, 왼손을 뒷손이라 부르는 데서 유래하였다.

 채궁은 오른쪽 가죽면인 채편의 한복판을 채로 크게 울려 치는 것이다.

대점은 북통의 꼭대기 한 가운데를 말하는데, 온각자리라고도 한다. 팔을 북의 대점자리의 한 뼘 정도 위의 높이에 뻗고 북채를 수평으로 하여 강하게 내리친다.

 매화점(梅花點)은 북통의 꼭대기 오른편 모서리에서 안으로 한 치쯤 들어간 곳을 가리키며, 매화점자리라고 한다. 북채를 북통과 직각으로 하여 횡으로 친다.

 반각자리는 북통의 꼭대기에서 고수의 몸 쪽으로 조금 내려 오른편 부분을 뜻한다. 채를 쥔 오른편 팔을 굽히고 북통에서 한 뼘 쯤 위에서 내려친다.

 고수는 소리의 악절이 시작될 때 채궁을 치고, 소리가 일어날 때(시작하는 단계)에는 채로 반각자리를 치며, 소리를 달고 갈 때(이어갈 때)에는 채로 매화점자리를 굴려 친다. 소리를 강하게 맺어줄 때에는 채로 대점을 매우 세게 치며, 소리를 풀어줄 때(소리를 맺은 뒤에 풀어주며 소리 악절이 마무리)에는 왼손바닥으로 궁편을 굴려 친다.

【필자】신은주 

【참고문헌】

「호남지방 토속 예능조사 - 판소리 고법(1)」(이보형, 『문화재』제10호, 문화재관리국, 1976)

 

 

http://www.gugak.go.kr/site/gugak/menu/1417.do?configNo=202&cmd=read&contentNo=60163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