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나각

  • 작성일2014-11-16

【정의】대형 소라 껍데기의 뾰족한 끝 부분을 갈아 취구(吹口)를 만들고, 김을 불어 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이칭(異稱)】소라, 고동

【유래 및 역사】나각은 본디 서역 지방의 악기로 불교와 관련되어 전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는 고구려 시대부터 나각과 관련된 기록이 나타나는데, 궁중의 제사 음악과 잔치 음악, 군대의 훈련 및 행군 음악, 이밖에도 민간의 불교 의식에 널리 사용되었다.

 조선 시대 역대 임금을 제사지내는 종묘의 제향에서 춤을 추는 가운데 나각이 쓰였다는 기록에서 궁중의 제사 음악에서 연주되었음을 볼 수 있다. 조선 후기 관아의 연향과 사신의 연향 및 군영의 연향 등에서도 나각이 연주되었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김홍도(1745~?)가 그린 것으로 전하는 <평양감사향연도> 가운데 <월야선유도>에 나타나 있다. 조선통신사행렬도나 기타 군대의 제도를 정리한 문헌을 통해 군영에서도 나각이 중요하게 사용된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밖에 불교의 수륙재나 사십구재 등 중생의 영가천도를 위해 그린 의식용 불화(佛畵) 속에서도 나각을 찾아볼 수 있다.

【형태, 기능 및 특징】연체동물의 패각을 그대로 가져다 불기 때문에 이름도 소라 또는 고동이라고도 하지만, 정식 국악기의 하나로 분류된다. 현재 국립국악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나각 길이 39.5센티미터이다. 

【내용】연주법은 바른 자세로 서서 오른손으로 소라의 벌어진 끝 부분을 위쪽으로 향하도록 잡은 다음 취구(吹口)에 입술을 대고 소리를 내며, 왼손은 허리에 얹는다. 나각은 오직 하나의 음만을 낼 수 있는데 소라 특유의 낮고 부드러우면서도 우렁찬 음색이 특징적이다. 자연음을 그대로 낼 뿐 연주상 별다른 기교가 필요하지는 않다.

 오늘날에는 조선 시대 군영의 행군 음악으로 지정 중요무형문화재 제46호 <대취타>에서 태평소, 나발, 징, 자바라, 북과 함께 나각이 사용되고 있다. 가장 오래된 고대 악기의 연주 전통을 계승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필자】김인숙

【참고문헌】김기수, [국악입문](서울: 세광출판사, 1983); 송혜진, [한국악기](서울: 열화당, 2001); 이숙희, [조선시대군영악대](서울: 태학사, 2007); 장사훈, [한국악기대관](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86); 정재국 편저, [대취타](서울: 은하출판사, 1996)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