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적벽대전

  • 작성일2014-11-16

 

적벽가

 

【정의】

 판소리 다섯 마당 가운데 하나. 중국 소설 《삼국지연의》가운데 적벽대전 부분과 그앞뒤의 이야기를 판소리로 짰기 때문에 적벽가라고도하고, 적벽싸움에서 조조가 패하여 도망가던 길의 이름을 따서화용도라고 부르기도.

【내용】

 중국 위나라, 한나라, 오나라의 삼국시대에 조조와 유비, 손권이 서로 싸우는 내용의 중국 소설 『삼국지연의』 가운데 적벽강에서의 싸움을 중심으로 짠 것이 판소리 적벽가이다. 제갈공명이 간신 조조에 대적하는 민중의 심판자로 등장하며, 마지막에는 관운장이 조조를 살려 보내는 것으로 끝맺고 있다. 적벽가의 내용은삼고초려, 장판교 싸움, 군사설움타령, 적벽강 싸움, 화용도의 다섯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바디에 따라서는 장판교 싸움이 없는 것도 있고, 대신 박망파 싸움이 있는 경우도 있으며, 삼고초려 앞에 도원결의나 공명천거 대목이 있는 경우도 있다. 전체 연주 시간은 약 2시간 정도로 짧은 편이다.

 적벽가는 적어도 영-정조 무렵부터 판소리로 불렸다고 추측되며 송만재의《관우희》, 이유원의《관극팔령》과 같은 문헌에 기록이 있다. 적벽가를 잘 불렀던 명창들로는, 순조 때의 송흥록, 모흥갑, 방만춘, 주덕기, 철종 때의 박유전, 박만순, 정춘풍, 김창록, 서성관, 이창운 등을 들 수 있다. 고종 때에는 박상도, 조기홍, 박기홍, 송만갑, 유성준, 이동백, 김창룡 등이, 그 뒤로는 장판개, 조학진, 임방울, 김연수, 강장원, 박봉술, 정권진 등이 적벽가를 잘 했다고 한다. 오늘날에는 정광수, 박동진, 송순섭 등이 적벽가를 잘 하는 명창들이다. 적벽가의 알려진 더늠 대목은 방만춘의적벽강 불싸움 대목, 주덕기의자룡 활쏘는 대목등이다. 오늘날 전승되고 있는 적벽가는 송흥록-송광록-송우룡-송만갑-박봉술-송순섭으로 이어지는 송만갑제, 송흥록-송광록-송우룡-유성준-정광수에게 이어지는 유성준제, 박유전-정재근-정응민-정권진으로 이어져 여러 제자에게 전수되고 있는 정응민제, 정춘풍-박기홍-조학진-박동진의 조학진제가 있다.

 적벽가의 대표적인 대목은삼고초려,장판교싸움,군사설움타령,적벽강싸움,화용도등이다.삼고초려는 장수의 위엄 있는 기상을 그리는 대목으로 웅장하고 유유한 우조를 쓰며,장판교싸움적벽강싸움대목에서는 긴박한 광경이 많아서 자진모리에 우조를 많이 쓰고,군사설움타령에는 슬픈 계면조와 재담이 많다. 이처럼 적벽가는 우조의 사용이 많아 엄숙한 발성을 해야 하며, 자진모리의 화려한 붙임새가 특징이다. 때문에 깊고힘 있는 발성을 할 수 있고, 격렬한 표현력을 구사하는 광대가 적벽가에 능하다.

 

【필자】김혜정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