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제례음악

  • 작성일2014-11-16

 

제례악

 

【정의】제사를 지낼 때 연주하는 음악.

 

【유래 및 역사】[예기]에서는 제사에서 가장 중요한 것 세 가지 즉 ‘삼중(三重)’으로 헌(獻)과 성(聲), 무(舞)를 들었다. ‘헌’이란 땅에 붓는 향기로운 술을 말하고 ‘성’이란 당상(堂上)에서 연주하는 노래를 말하며 ‘무’란 주나라 무왕이 주왕을 친 후 들에서 밤을 지내며 모든 군졸들이 함께 그것을 기뻐하여 노래하며 춤을 추었던 고사를 바탕으로 해서 만든 무악(舞樂)을 말한다. 이로써 본다면 제사에서 빼 놓을 수 없는 것이 악(樂), 가(歌), 무(舞)의 세 요소를 모두 갖춘 넓은 의미의 음악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주요 제사의례에서 음악이 수반되는 것은 이와 같은 이념적 전거를 두고 있다.

【내용】성종대의 국가전례서인 [국조오례서례(國朝五禮序例)]에서는 제사를 지내는 대상에 따라 그 용어를 네 가지로 나누어 표현했는데, 천신(天神)에 지내는 것은 ‘사(祀)’, 지기(地祇)에 지내는 것은 ‘제(祭)’ 인귀(人鬼)에 지내는 것은 ‘향(享)’, 문선왕(文宣王: 공자)에게 지내는 것은 석전(釋奠)이라 하였다. 천신은 천제, 일, 월, 성신, 풍운뢰우 등을 말하며 지기는 사직, 산천, 명산대천 등을, 인귀는 종묘제향이 대표된다. 또 제사의 규모와 중요도 등에 따라 대사(大祀), 중사(中祀), 소사(小祀) 등으로 구분했는데 대부분의 대사와 중사에는 반드시 음악이 수반되었다. 대사로 대표되는 것은 종묘제례와 사직제례이며 중사로는 문묘제례, 선농제, 선잠제 등이 있다. 예외적으로 소사임에도 제례악이 따른 것은 둑제(纛祭)가 유일하다.

 이러한 제사에 음악이 수반될 때에는 제사 대상에 따라 음악 연주의 횟수, 악기의 종류, 악기의 구조, 악조(樂調)의 선택 등이 달라졌다. 특히 북 계통의 악기는 북의 면수를 차등화 했는데 원구제 등 하늘에 제사하는 사천(祀天)의례를 행할 때에는 6면 북인 뇌고(雷鼓)와 뇌도(雷?)를 사용했으며 땅에 제사하는 제지(祭地)의례를 행할 때에는 8면 북인 영고(靈鼓)와 영도(靈?)를 사용했으며 사람에게 제사하는 향인귀(享人鬼)의례를 행할 때에는 4면 북인 노고(路鼓)와 노도(路?)를 사용하여 차별화 하였다.

 제사의 절차에서 음악이 연주되는 부분은 종묘제례를 기준으로 볼 때 영신-전폐-진찬-초헌-아헌-종헌-철변두-송신 등의 순이다. 제례악을 연주하는 악기의 종류는 각 제사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여덟 가지 악기 제작재료인 팔음(八音), 즉 금부(金部), 석부(石部), 사부(絲部), 죽부(竹部), 포부(匏部), 토부(土部), 혁부(革部), 목부(木部)에 속하는 각각의 악기를 포함시키고자 하는 원칙은 일관되었다. 이러한 악기는 댓돌 위인 당상(堂上)에서 연주하는 등가(登歌)악대와 당하(堂下)인 묘정에서 연주하는 헌가(軒架)악대로 나뉘어 음악을 연주하였다. 이와 함께 일무(佾舞)를 수반하여 연행했는데, 이는 하늘을 상징하는 등가, 땅을 상징하는 헌가, 사람을 상징하는 일무를 모두 갖추어 유가의 삼재사상(三才思想)을 음악으로 드러내고자 하는 이념에 근거한 것이다.

 

【필자】송지원

【참고문헌】[예기] [주례] [국조오례의] [국조오례서례] [악학궤범]

 

 

http://www.gugak.go.kr/site/gugak/menu/1417.do?configNo=202&cmd=read&contentNo=60540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