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보·무보

국악전집, 제11집 : 춘향가

『국악전집, 제11집 : 춘향가』, 서울: 국립국악원, 1983.

 

서문 = 1
춘향가 = 12
一. 천하강산(天下江山) = 12
二. 남원경치(南原景致) = 13
三. 도령호사(道令豪奢) = 15
四. 적성가(赤城歌) = 17
五. 오작광한(烏鵲廣寒) = 19
六. 월궁항아(月宮姮娥) = 20
七. 춘향추천(春響楸韆) = 22
八. 금의내력(今의來歷) = 26
九. 설부화용(雪膚花容) = 28
一0. 방자맵시(房子) = 29
一一. 그른내력 = 30
一二. 못갈내력 = 32
一三. 각도산세(各道山勢) = 33
一四. 춘향등루(春香登樓) = 34
一五. 춘향자태(春香姿態) = 35
一六. 호걸풍신(豪傑風身) = 36
一七. 천자뒤푸리(千字) = 37
一八. 춘향집 건너가다 = 40
一九. 이밤 왼놈 = 41
二0. 방치례(房致禮) = 42
二一. 대의상론(大意相論) = 43
二二. 청춘백발(靑春白髮) = 44
二三. 사랑노래 Ⅰ = 47
二四. 사랑노래 Ⅱ = 49
二五. 사랑노래 Ⅲ = 51
二六. 도령고민(道令苦憫) = 54
二七. 춘향집에 당도 = 55
二八. 춘향 내색 섞어 하는 말 = 58
二九. 한양 가겠다 "문답" = 61
三0. 춘향기절(春香氣絶) = 64
三一. 춘향모 나온다 = 66
三二. 방석통곡(放聲慟哭) = 72
三三. 오리정이별(五里亭離別) = 75
三四. 신표교환(信標交換) = 77
三五. 달만큼·별만큼 = 79
三六. 인제는 참 갔구나 = 80
三七. 비 맞은 제비같이 = 81
三八. 춘향 임 그리며 = 85
三九. 신연맞이 = 87
四0. 기생점고 = 93
四一. 근신고집(謹身固執) = 98
四二. 군노사령(軍奴使令) = 99
四三. 임따라 갈까보냐 = 101
四四. 박번수·김번수 = 103
四五. 행수기생(行首妓生) = 105
四六. 소녀 당치 않소 = 108
四七. 불경이부절(不更二夫節) = 109
四八. 춘향 잡아 거린다 = 111
四九. 형장 한아름(刑杖歌) = 113
五0. 남원 오입장이 = 118
五一. 여러 기생들과 춘향모 = 119
五二. 모녀장탄(母女長歎) = 124
五三. 옥방형상(獄房刑狀) = 125
五四. 기생난향(妓生蘭香) = 129
五五. 옥중탄식(獄中歎息) = 132
五六. 황릉묘(黃陵廟) = 136
五七. 과거장원(科擧壯元) = 140
五八. 호남 각처로 분발 = 143
五九. 어사행장(御使行裝) = 144
六0. 방자 한양 어이가리 = 145
六一. 편지붙다 = 150
六二. 방자문안(房子問安) = 152
六三. 농부 풍장(農夫風장) = 154
六四. 잦은 농부가 = 157
六五. 박석고개(박石) = 159
六六. 춘향문전에 당도 = 161
六七. 후원 치성(後園致誠) = 163
六八. 어사 춘향모 상봉 = 167
六九. 들었던 촛불 = 173
七0. 향단의 만류 = 176
七一. 파루(罷漏) = 179
七二. 떼죽음 = 182
七三. 옥중재회(獄中再會) = 183
七四. 내 낭군(郎君) = 186
七五. 쓸데 없드라 = 187
七六. 생일잔치 = 189
七七. 권주가(勸酒歌) = 192
七八. 일필휘지(一筆揮之) = 194
七九. 어사출도(御使出到) = 194
八0. 초록동색(草綠同色) = 203
八一. 마오 마오 그리마오 = 205
八二. 춘행모 들어온다 = 206
八三. 얼시구 절시구 = 206
-부록1 신재효 판소리 사설집에서 = 210
-부록2 창본 춘향가에서 = 211
-부록3 이선유 오가전집 춘향가에서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