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육자배기토리

  • 작성일2014-11-16

육자배기조

 

【정의】남도민요 육자배기와 같은 선법.

【이칭(異稱)】육자배기토리, 남도민요조

【내용】‘미라도-도시라미’와 같이 상행과 하행의 구조가 다른 음계로 되어 있으며 주로 ‘라’로 종지한다. 미음을 굵고 둥글게 떨기 때문에 ‘떠는음’이라 하고, 라는 ‘평으로 내는 음’, ‘도’는 ‘시’로 꺾어 내리기 때문에 ‘도-시’를 꺾는음이라 부른다. ‘솔’은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빠른 악곡에서는 ‘시’음도 사용되지 않는다. ‘도-시’의 진행이 반음이기 때문에, 한국음악에서 유일하게 반음이 있는 유반음 음계 음계이다.

 육자배기는 전남 동부 지역에서 불리는 논매는소리에서 비롯되어 남도잡가화된 악곡이다. 3소박 6박자의 진양조 장단에 맞으므로 다양하고 화려한 시김새가 표현되어 남도 지역 민요 가운데 음악적 세련성이 뛰어난 곡으로 손꼽힌다. 그와 같은 이유로 육자배기가 남도민요의 대표 악곡으로 이야기되었고, 육자배기조와 같은 개념이 생겼다.

음이 올라갈 때에는 ‘미-라-도’를 사용하고 아래로 하행할 때에는 ‘도-시-라-미’의 구조로 진행한다. 골격음은 미, 라, 도 세 음으로, 빠른 속도의 노래에서는 이 세 음이 사용되고, 속도가 느려지면 여기에 ‘시’가 추가된다. 이외에 음계의 위쪽에 가 추가되기도 하는데, 를 지속음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판소리나 잡가 등의 영향일 가능성이 높다.

 육자배기조를 사용하는 민요는 주로 남도 지역인 충청도의 공주, 부여부터 전북의 서편, 전남에 걸쳐 나타나며, 남해안을 타고 동쪽으로 경상남도 통영까지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육자배기조로 된 대표적인 민요에는 육자배기, 남도 흥타령, 진도아리랑, 강강술래, 산아지타령 등과 각종 일노래와 의식요 등 다양한 기능의 민요들이 있다. 육자배기조는 민요에서 시작하였으나, 남도 지역에서 발생하거나 발전한 다른 장르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또한 남도잡가와 남도 지역의 씻김굿 무가와 무악(시나위)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되며, 판소리산조에서는 계면조라는 악조로 나타나고 있다. 그밖에 판소리의 일부 대목을 병창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으므로 가야금병창과 같은 장르에서도 자주 사용된다.

 

【필자】김혜정(경인교대)

【참고문헌】김영운, 「한국 민요 선법의 특징」, 『한국음악연구』28집, 한국국악학회, 2000.김혜정, 「남도민요의 음악적 특성과 남도인의 정서적 지향」, [한국음악연구]34집, 한국국악학회, 2003.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