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행사

2021 토요명품 12/4 "세계가 인정한 우리음악" 관람 후기

국악 과제로 국립국악원까지 와서 공연을 감상했다. 처음에는 조금 귀찮은 생각도 있었지만 공연을 감상하고 나서는 생각이 바뀔 만큼 좋은 시간이 되었다. 그리고 오류가 떠서 글이 다 날라가는 바람에 다시 쓰는 글이기도 하다.
첫번째로 전폐희문이 연주 되었다. 종묘제례악 중 하나인 전폐희문의 뜻은, 조상신에게 예물을 올리는 제례절차인 전폐와 이 때 연주하는 보태평 중 한 곡이 희문이 합쳐진 말이다. 국악 시간에 종묘제례악에 대해 자세히 배워서 집중하고 봤던 것 같다. 무엇보다 국악기들을 실제로 보게 된 것이 나에겐 인상이 깊었다. 특히 편경은 책에서 보던 것과 다르게 훨씬 크고 아름다웠다. 왜 옛날 조상님들이 편경을 중요시 했는지 알 것만 같았다. 물론 이제 12율 4청성의 기준이 되는 악기인건 알았지만, 그것말고도 자태나 소리나 모든 것이 아름다웠다. 그 밖에도 편종, 어 같은 여러 악기들도 실제로 봐서 좋았다.
두번째는 처용무였다. 사람 형상의 가면을 쓰고 추는 유일한 궁중 무용이라고 한다. 유일하다고 하니 관심을 더 갖게 되었던 것 같다. 내 이미지의 처용은 아주 어렸을 적 보던 만화책에서 미소년으로 나와서 정말 잘생겼을 것이다! 하고 생각했었는데, 가면으로 나온 처용은 그렇게는 생기지 않아서 조금은 당황했었다. 근데 생각해보면, 나쁜 기운을 물리치는데 미소년 같은 얼굴이면 나쁜 기운이 물러갈까? 약간은 그래도 좀 웅장하고 멋있어 보여야 하지 않을까? 그렇게 생각하니, 가면이 어색하지 않았다. 춤은 정말 멋졌다. 무용수들도 멋졌다.
세번째는 태평가였다. 태평가는 남녀창자가 함께 부르는 유일한 곡이라고 한다. 또 유일 하다고 하니 관심있게 들었는데 국악 시간에 배웠던 내용이 머릿속을 스쳐갔다. 바로 조선후기로 갈 수록 사람들은 더 빠른 곡을 선호해서 느린 곡이 없어졌다는 내용이었다. 사실 내 입장에서 이 곡은 많이 느린 곡이다. 근데 조선 후기 사람들은 이 곡을 가요 듣는 것 처럼 들었을 것이라고 생각하니, 현대에 살고 있는 내 입장에선 이해가 안되기는 한다. 그치만 내가 조선후기 사람이다 하고 생각하면서 들으니 조금은 흥겹기도 했던 것 같다.
네번째는 판소리 수궁가 중 고고천변 대목이었다. 이 곡을 감상하면서 생각보다 길어서 나중에 따로 찾아보니 앞에 여러 대목을 포함시킨 것 같았다. 듣다가 갑자기 생각이 났었는데, 판소리는 고수가 치는 북을 제외하면 그야말로 완전 무반주에서 노래하는 것과 다름 없는데 이것을 생각하니 소리꾼이 대단하다고 느꼈다. 목소리만으로 승부를 보는 것과 다름이 없다. 나는 국악 발표 시간에 반주가 안되어서 무반주로 노래 부른 적이 있었던 기억이 있는데 그 때를 생각하면 정말 아직도 부끄러웠다. 그 때를 생각하면서 감상하니 판소리는 정말 대단한 장르라고 생각이 들었다.
다섯번째는 아리랑이었다. 아리랑은 모든 국민들이 아는 민요인 만큼 귀에 익숙한 곡들이 많았다. 여러 지역에서의 아리랑을 같이 불렀는데 중간에 다같이 박수를 치면서 부르니까 흥이 나고 신났었다.
마지막은 강강술래였다. 어렸을적 친구들과 같이 강강술래를 해봤을 것이다. 그 기억을 떠올리면서 감상하였다. 물론 내가 한 강강술래와 감상한 것은 많이 달랐다. 놋다리 밟기 같은 어려운 동작도 있었다. 이것도 강강술래야? 하는 생각이 들었었다. 앞서 태평가에서 말했듯이 옛날엔 느린 곡이 많았다고 했는데, 강강술래는 너무 빨라서 당황했었다. 하지만 빠른만큼 정말 신이 났었다. 난 역시 현대에 살고 있구나하고 느꼈다.
이렇게 총 6개의 곡을 감상했는데, 지루할줄만 알았는데 생각외로 너무 재미있었다. 내가 서울에 살았으면 주기적으로 보러갔을 만큼 국악에 대한 생각이 많이 바뀌었다. 유튜브 같은 영상 매체로만 보고 처음 본 공연이 가야금 독주라서 사실 그 때는 좀 졸고 그랬었는데, 이번에는 재밌었다. 유튜브에서 보는 거랑 실제로 보는 거랑 정말 다르다. 앞으로도 서양음악만큼 국악에 관심을 가져야겠다고 생각이 들었던 공연이었다.
댓글등록 현재 0자 (최대 1,00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