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행사

2021.11.13 토요 명품 공연 관람 후기

2021년 11월 13일 토요일에 국립국악원 우면당에서 공연한 토요 명품 공연을 관람하였다. 어떤 공연을 관람할 지 고민하다가 중간고사 때 시험범위 영상으로 들었던 ‘유산가’가 영상으로 보았을 때 기억에 남았었는데 프로그램에 있길래 직접 가서 들어보면 더 의미 있을 것 같아서 토요명품 이 날짜 공연을 보게 되었다. 오랜만에 온 국립국악원은 가을의 빛에 물들어 있어서 설레는 마음으로 우면당에 들어갔다.
토요일마다 하는 이 공연을 작년에도 관람하였었는데 올해도 코로나 시국이지만 취소되지 않고 공연을 관람할 수 있다는 것에 감사한 마음이 들었다.
먼저 첫 번째 공연은 대금독주였다. 대금이라는 악기가 이제는 조금은 친숙해서인지 대금독주 연주를 기대 되는 마음으로 감상을 시작했다. 대금독주로 연주한 곡은 ‘청성곡’이었다. 청성이라는 뜻 자체가 음이 높다는 뜻인데 가곡의 반주곡에서 변주된 곡이라고 한다. 연주 기교가 화려하게 느껴졌으며 길게 끌고 나가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대금의 맑은 소리가 공연장에 울려퍼지며 깊은 울림을 동시에 느낄 수 있었다.
두 번째 공연은 침향춘이었다. 이것은 향악 정재로써 봄날의 향기를 만끽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무용수가 화병을 가운데 두고 꽃을 만지다가 꽃을 들고 춤을 추었다. 꽃을 들고 추는 춤사위를 통해 아름다움이 더욱 느껴졌던 것 같다.
세 번째 공연은 ‘도드리’였다. 이건 현악합주로써 도드리는 ‘되돌아 든다’라는 뜻이다. 수업시간에도 배워서 그런지 익숙하게 다가왔다. 보허자 중 반복되는 선율을 변화시켜 만든 음악인 만큼 곡 중간부분에서 처음 선율로 돌아가는 걸 느끼려고 했던 것 같다. 가야금과 거문고가 편성 악기에 있었는데 여러 현악기들의 조화를 느끼며 소리를 들으며 집중하여 잘 감상할 수 있었던 것 같다.
네 번째 공연은 ‘유산가’였다. 유산가는 12잡가 중 한 곡으로 봄을 맞아 구경하기를 권하고 봄산의 아름다운 경치를 노래하는 것이다. 많이 들어본 곡이라 그런지 확실히 어떤 것인지 알고 들으니 아는 만큼 잘 들린 것 같다. 노랫말에 집중을 하여 들은 것 같다.
다섯 번째 공연은 서도민요였다. ‘야월선유가’와 ‘간장타령’ 그리고 ‘금드렁타령’이었는데 전체적으로 역동성도 느껴지며 서도민요 특유의 소리를 느낄 수 있었던 시간이었던 것 같다. 약간의 떠는 소리도 느꼈던 것 같다. 다른 지역의 민요보다 독특한 창법을 느낄 수 있었다.
마지막 공연은 사물놀이였다. 태평소도 나왔는데 태평소가 선율을 담당하고 사물놀이가 함께 어우러지는 형태로 진행되었다. 꽹과리, 징 장구, 북 등의 악기와 연주자가 마치 한 몸이 된 듯하게 뿜어내는 역동성과 음악 덕분에 나또한 몰입하여 감상할 수 있었던 것 같다. 신명나게 연주하는 느낌이 들었다.
오늘 공연을 관람하며 연주자들의 음악과 노래와 춤을 아름다운 한국의 음악과 어우러져 보인 무대를 직접 이렇게 볼 수 있어서 뜻 깊었던 시간이었던 것 같다. 사실 작년까지만 해도 국악에 대해 아는 것이 없어서 국악 공연을 여러 번 보러 와도 잘 와 닿지 않고 어렵게만 느껴졌었는데 올해 계속 국악의 중요한 음악이나 노래들을 배우고 듣고 하니 아는 것들이 조금은 많아져서인지 공연을 관람하며 내가 듣고 보고 있는 것이 무엇이고 어떤 건지 이해가 되어서 더 몰입하며 감상했던 것 같다. 무엇보다도 직접 이렇게 국악 공연을 감상하며 한국의 미에 대해 느끼고 국악의 소리를 들으며 많이 생각해볼 수 있었던 시간이라 더 의미 있지 않았나 싶다. 이렇게 국악자체의 음악을 학생들도 많이 느낄 수 있도록 나부터 국악에 대해 더욱 관심을 갖고 국악의 소리를 많이 들으며 더 이해하는 사람이 되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오늘 함께 이 공연을 본 사람들이 하나가 되어 공연이 끝난 뒤 함께 박수를 보내던 순간 만큼은 모두가 함께 오늘 공연에서 국악의 감동을 느꼈을 거라 믿는다. 
댓글등록 현재 0자 (최대 1,00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