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영남가락/영남사물놀이/영남풍물가락

  • 작성일2014-11-16

【정의】영남가락은 영남 농악에서 쓰이는 장단을 말함.

【이칭(異稱)】영남사물놀이, 영남풍물가락

【내용】영남가락은 영남 농악에 사용되는 장단을 말하며, 사물놀이가 활성화된 이후 영을 바탕으로 해서 구성된 영남사물놀이에 사용하는 가락을 말하기도 한다.

남 농악은 지역적으로 경상북도와 경상남도의 경북 농악, 경남 농악을 말한다. 북 농에는 대구, 청도, 김천, 선산 지역의 농악이 있고, 경남 농에는 함양, 진주, 삼천포, 마산, 통영, 밀양, 울산, 부산, 양산, 진해 등지의 농악이 있다. 이들 농악 가락은 지역적으로 주변의 농악 가락과 관련을 맺고 있다. 대표적인 영남 농악으로 청도 차산농악, 금릉 빗내농악, 대구 고산농악, 예천 통명농악, 부산 아미농악, 진주농악 등을 들 수 있다.

남 농악은 기 편성에서 다른 지방에서 볼 수 없는 나무로 만든 나팔(고동 또는 목덩강)을 쓰고, 꽹과리나 장구에 비하여 징과 북이 발달하였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사용하는 가락은 질굿(길굿), 잦은몰이, 덧배기, 호호딱딱, 부정굿가락, 굿거리, 무정작궁(우장작꽹이), 다드라기, 사방굿 등이 있다. 다만 진주 등의 농악에서는 호남좌도농악에서 나오는 가락과 유사한 가락이 사용되기도 한다. 길굿에는 지역에 따라 경기나 충청농악에서 사용하는 혼소박 장단을 사용하기도 한다. 영남가락 중에서 가장 특징적인 가락은 3소박 4박자 장단의 힘차고 흥겨운 덧배기 가락이다.

청도 차산농악에서는 질굿, 잦은몰이, 무정작궁, 덧배기, 호호딱딱, 부정굿가락, 굿거리 등 가락이 있고, 금릉 빗내농악에는 길굿가락, 마당굿, 반죽굿, 다드라기, 영풍굿, 허허굿, 판굿, 채굿, 영산다드라기, 진굿 등의 가락이 있다. 대구 고산농악에는 부락마치(길매구가락), 조름세, 굿거리, 살풀이 등의 가락이 있으며, 예천 통명농악에는 길굿, 두마치장단, 잦은 세마치, 굿거리장단, 외마치장단, 무정적굽이, 네마치장단, 춤놀이장단, 마치굿 등의 가락이 있다. 부산 아미농악에는 길굿, 다드라기, 사방굿, 덧배기, 빠른 덧배기, 마침굿가락, 빠른 마침굿가락, 마당굿가락, 잦은 마당굿가락 등의 가락이 있으며, 진주농악에는 덧배기, 길군악, 반삼채, 호호굿, 반덧배기, 영산다드라기 등의 가락이 있다.

  영남가락

청도 차산농악 덧배기 장단

【필자】이진원

【참고문헌】정병호. [농악]. 서울: 열화당, 1986.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