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화초장

  • 작성일2014-11-16

흥보가

 

 

【정의】

 판소리 다섯 마당 가운데 하나. 박타령이라고도.

【내용】

 조선 중기부터 불렸을 것으로 추정되며 송만재의 《관우희》, 이유원의《관극팔령》과 같은 문헌에 기록이 있다. 정노식의 《조선창극사》에 의하면 흥보가를 잘 불렀던 역대 명창들로 영조 때에서 헌종 때에 걸친 시기의 명창인 권삼득, 순조 때의 염계달, 헌종 때 문석준, 헌종 때의 한송학, 철종 때의 정창업?정흥순?최상준이 있었다고 하며, 근세의 김창환?송만갑 그리고 박녹주 등도 흥보가를 잘 부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흥보가의 더늠 대목들은 권삼득이 설렁제로 부른제비후리러 나가는 대목, 문석준의흥보가 궤에서 쌀과 돈을 떨어 내는 대목, 김창환의제비노정기, 장판개의제비노정기등이다. 현재 전승되는 흥보가 바디는 송흥록-송우룡-송만갑-김정문-강도근?박녹주?박봉술로 이어지는 송만갑제와 송만갑-김연수-오정숙으로 이어지는 김연수제가 동편제 계열의 소리로 전승되고 있으며, 정창업-김창환으로 이어져 김봉학?오수암?박지홍 등을 통해 정광수?박초월?박동진에게 이어지는 김창환제 흥보가가 서편제 계열로 전승되고 있다. 경기도와 충청도에서 전해지던 중고제와 동편제의 정춘풍계?김세종계 소리는 전승이 끊어졌다. 이 가운데 요즘 가장 많이 불리고 있는 바디는 송만갑제이다.

 대표적인 대목은놀보 심술대목,가난타령,돈타령,흥보 매맞는 대목,중타령,집터잡는 대목,제비노정기,박타령,비단타령,화초장타령,제비 후리러 가는 대목등이다. 대목 소리로 부를 때는 위의 대목들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집터잡이부터제비노정기까지를 흥보가의 눈으로 보기도 하는데, 이 부분이 음악적으로 가장 잘 짜여졌기 때문이다. 또놀보가 박타는 대목은 재담이 많고 놀이패들이 잡가를 부르는 대목이 많아여자들이 소리하기를 꺼렸다. 박녹주의 경우에도 놀보가 제비 후리러 나가는 대목까지만 노래한다. 흥보가는 일명 재담 소리라 할 만큼 해학적이고 민속적 내용이 많다. 때문에 소리도 잘해야 하지만 아니리와 너름새에 능해야 흥보가를 잘 부를 수 있다.

 가난하지만 착한 동생 흥보는 부러진 제비 다리를 고쳐주고 그 제비가 보답으로 물고 온 박씨를 심어박 속에서 나온 보물로 부자가 되는데, 부자이지만 욕심 많은 형 놀보는 제비 다리를 부러뜨리고 그 제비가 물어다 준 박씨를 심어박 속에서 나온 상전, 놀이패, 장수들 때문에 망한다는 이야기를 판소리로 엮은 것이다. 사설 내용이 우화적이기 때문에 가벼운 재담 소리가 많고 해학성이 강하다. 전체 연주 길이는 약 3시간 정도이다.

【필자】김혜정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