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환두형식

  • 작성일2014-11-16

환두환입형식

 

【정의】노래의 1절(전단)을 부른 다음 2절(후단)을 부를 때 2절 첫 구절의 가락을 1절의 첫 구절과 다르게 부르는 악곡 형식.

【이칭(異稱)】‘환두형식’ 또는 ‘환입형식’으로 줄여 부르기도 함.

【유래 및 역사】환두환입형식은 송(宋)에서 전래된 악곡에 주로 사용되었으며, 송의 음악이 고려에 전래되면서 형식도 전래되었다.

【내용】<낙양춘>과 같은 노래 1절의 형식은 A·B·C·D이고, 2절의 형식은 E·B·C·D의 모양을 하고 있다. 이 중 반복되는 2절의 시작 부분이 바뀌는 E부분을 환두(換頭)라하고, 반복되는 B·C·D부분을 환입(還入)이라 한다. 이와 같이 2절의 첫 구절 선율을 바꾸어 노래하는 곡의 형식을 통틀어 환두환입형식이라 부른다. ‘환입’은 ‘도로 돌아든다.’는 의미로 우리말로는 ‘도드리(도들이)’라 부르며, 오늘날에는 <밑도드리[尾還入]>, <윗 도드리[細還入]>, <양청도드리[兩淸還入]>, <우조가락도드리[羽調加樂還入]>와 같이 악곡명으로 쓰이기도 한다. 이 네 악곡은 <보허자(현 보허사)>의 ‘환입’ 부분에 해당하는 선율을 독립적으로 변주하여 만든 악곡이므로 이러한 악곡명이 사용되는 것이다. 오늘날 환두환입형식의 원형은 남아 있지 않으며, <보허사(步虛詞)> 와 <낙양춘(洛陽春)>에 그 흔적이 남아 있다.

 

【필자】김우진

【참고문헌】장사훈, ?보허자 논고?, 『국악논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66.

변미혜 외 2인, 『국악용어 편수자료집Ⅰ』, 서울: 민속원, 2008.

장사훈·한만영, 『국악개론』, 서울: 한국국악학회, 1975.

장사훈, 『국악총론』, 서울: 정음사, 1976.

서한범, 『국악통론』, 서울: 태림출판사, 1981.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