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황종

  • 작성일2014-11-16

12율명

 

【정의】우리나라 전통음악에 사용되는 음 중 한 옥타브 안에 배열되는 12개의 음을 가리키는 말.

 

【내용】우리나라 전통음악에 사용되는 음(音)을 율(律)이라 하고, 한 옥타브 안에 배열되는 12개의 음을 12율이라 한다. 12율은 한 옥타브를 12개로 나누었다는 점에서 서양음악의 12반음과 비슷하므로, 12율 각 음 사이의 간격은 서양음악의 반음 즉 단2도에 가깝다.

12율의 각 율에는 두 글자로 된 한자어 율명(律名)이 있다. 12율의 율명은 황종(黃鍾)·대려(大呂)·태주(太簇)·협종(夾鍾)·고선(姑洗)·중려(仲呂)·유빈(?賓)·임종(林鍾)·이칙(夷則)·남려(南呂)·무역(無射)·응종(應鍾)이다. 12율은 첫 음인 황종 소리를 내는 율관(律管)을 기준으로 삼아 삼분손익법(三分損益法)이라는 음율 산출 방법에 따라 정해지는데, 삼분손익법은 어떤 음의 완전5도 위의 음을 구하는 삼분손일(三分損一)과 어떤 음의 완4도 아래 음을 구하는 삼분익일(三分益一)의 두 가지 방법으로 새로운 음을 얻는다. 12율 중 삼분손일에 의하여 얻어진 6음을 음려(陰呂)라 하고, 삼분익일에 의하여 얻어진 6음을 양율(陽律)이라 한다. 따라서 12율은 황종·태주·고선·유빈·이칙·무역의 양율 6음과 대려·협종·중려·임종·남려·응종의 음려 6음으로 이루어졌다. 낮은 음부터 차례대로 보자면 12율의 순서에서 홀수에 해당하는 음은 양율이며, 짝수에 해당하는 음은 음려이다.

12율을 정간보에 기록할 때는 율명의 첫 글자를 적어서 음의 높이를 표기하는데, 기준이 되는 중간 음역의 12율을 중성(中聲)이라 한다. 한 옥타브 높은 음은 ‘청성(淸聲)’이라 하며, 율명 앞에 삼수변(?) 하나를 붙이고(보기: 潢, ?), 두 옥타브 높은 음은 ‘중청성(重淸聲)’이라 하며 율명 앞에 삼수변 두 개를 붙인다(보기: ?, ?). 청성을 나타내는 표시인 삼수변은 ‘청성’의 청(淸)자에서 따 온 것이다. 반면에 한 옥타브 낮은 음은 ‘탁성(濁聲)’ 또는 ‘배성(倍聲)’이라 하며, 율명 앞에 인변(?) 하나를 붙이고(보기: ?, ?), 두 옥타브 낮은 음은 하배성 또는 배탁성이라 하며, 율명 앞에 두 인변(?)을 붙인다(보기: ?, ?). 옥타브 낮은 음을 나타내는 표시인 인변은 ‘배성’의 배(倍)자에서 따 온 것이다.

단소와 같은 고음 악기는 청성이나 중청성을 많이 사용하고, 거문고나 가야금과 같은 현악기는 탁성이나 배탁성을 많이 사용한다. 그러나 옛 궁중음악 중에서 아악(雅樂)은 중성 12율과, 청성 중 청황종(潢)·청대려(?)·청태주(汰)·청협종(浹)의 4음만 사용하였는데, 이 16음을 ‘12율 4청성(十二律四淸聲)’이라 한다. 대표적인 아악기인 편종의 종과 편경의 경이 각각 16개씩 매달려 있는 것은 이들 악기로 연주하는 아악의 음역이 12율 4청성이기 때문이다.

 

 

【필자】김영운

【참고문헌】악학궤범(樂學軌範)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