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원 논문집 |
제32집 |
|
1 |
앞표지, 속표지, 목차 |
|
2 |
<제4회 국립국악원 국악학술상> |
|
3 |
<제4회 국립국악원 국악학술상> <학술분야 최우수상 > 향악기와 당악기의 음고(音高) 차이에 대한 연구 ∥ 조대웅 |
|
4 |
<제4회 국립국악원 국악학술상> <학술분야 우수상> 무가(巫歌)에서 『천수경(千手經)』의 기능과 음악적 특징 ∥ 임니나 |
|
5 |
<제4회 국립국악원 국악학술상> <평론분야 우수상> 국악대중화 - ‘무서운 아이’의 탈승화적 전복(顚覆) ∥ 라예송 |
|
6 |
<일반논문> |
|
7 |
<일반논문> 대한제국기 황실극장의 대중극장으로의 전환 과정에 대한 연구 - 희대·협률사를 중심으로-∥ 권도희 |
|
8 |
<일반논문> 민요의 변화에 따른 전승 방향의 재고∥ 반혜성 |
|
9 |
<일반논문> 경기 남부 진오기굿의 변모 양상 ∥ 반혜성 |
|
10 |
<일반논문> ‘글 읽는 소리’의 전통 속에서 살펴 본 송서(誦書)의 개념 변화 및 사설붙임의 특징 ∥ 성기련 |
|
11 |
<일반논문> 음악과 가사를 통해 본 북한의 민족성악 - <모란봉>과 <우리의 동해는 좋기도 하지>를 중심으로- ∥ 이경분 |
|
12 |
<일반논문> 고수 김명환의 추임새 연구 ∥ 이규호 |
|
13 |
<일반논문> 대한제국기 순종황제의 행차와 음악 ∥ 이정희 |
|
14 |
<일반논문> 東京大 小倉文庫 소장 『韶英集成』의 자료적 가치 ∥ 임재욱 |
|
15 |
<일반논문> 서울 재수굿 삼현육각 음악연구 - 김순봉 피리가락을 중심으로 - ∥ 진윤경 |
|
16 |
<일반논문> 짓는소리 부호의 음악적 특징과 의미 - 개계(開啓)를 중심으로 - ∥ 차형석 |
|
17 |
<서평> |
|
18 |
<서평> 세 학문간의 모범적 연구 결실을 축하한다 - 국문학·음악학·무용학의 공동연구성과물- ∥ 송방송 [ 『세종대왕의 봉래의, 그 복원과 해석』(서울: 민속원, 2015)] |
|
19 |
<부록> |
|
20 |
<부록> 『국악원논문집』 연구윤리규정 |
|
21 |
<부록> 『국악원논문집』 발간규정 |
|
22 |
<부록> 『국악원논문집』 원고 작성 원칙 |
|
23 |
편집위원회, 판권, 뒤표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