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보·무보

국악전집, 제10집 : 가사, 시조, 단가, 긴잡가

『국악전집, 제10집 : 가사, 시조, 단가, 긴잡가』, 서울: 국립국악원, 1982.

 

가사
백구사"白鷗詞" = 11
죽지사"竹枝詞" = 16
어부사"漁父詞" = 21
황계사"黃鷄詞" = 30
길군악"路謠曲" = 34
춘면곡"春眠曲"(大芩반주곡 붙임) = 40
상사별곡"相思別曲" = 51
권주가"勸酒歌" = 58
수양산가"首陽山歌" = 60
처사가"處士歌" = 63
양양가"襄陽歌" = 69
매화가"梅花歌" = 77
시조
평시조 강호에 기약두고 = 89
평시조 태산이 높다하되 = 90
평시조 샛별 지자 종달이 떴다 = 91
평시조 어서 내일이어 = 92
평시조 동창이 밝았느냐(향제) = 93
평시조 동창이 밝았느냐(내포제) = 94
평시조 버들은 길이 되고 = 95
평시조 백년을 가사 인인수라도(百年可使人人愁) = 96
평시조 만경창파 욕모천에(萬頃蒼波欲暮天) = 97
평시조 청산리 벽계수야 = 98
평시조 달은 반만 오동에 거져 있고 = 99
평시조 산아 말 물어 보자 = 100
중허리시조 인심은 터이 되고 = 101
중허리시조 산촌에 밤이 드니 = 102
중거지름시조 바람도 쉬이 넘고 = 103
우조시조 월정명 월정명 하니 = 104
우조지름시조 석인이 이승 황학거 하니(昔人已乘黃鶴去) = 105
지름시조 바람아 부지마라 = 106
지름시조 장검을 빠혀 들고 = 107
지름시조 홀문창외 풍동죽하니(忍聞窓外風動竹) = 108
여창지름시조 청조야 오도고야 = 109
여창지름시조 기러기 산이로 잡아 = 110
사설시조 소년 행락이 다 진커늘 = 111
사설시조 낙양 삼월시에 = 112
사설시조 부소산 저문 비에 = 113
사설시조 땅은 천하 제일 강산 = 114
사설시조 산천은 험준하고 = 115
사설지름시조 학 타고 저 불고 = 116
사설지름시조 태백산하 애굽은 길로 = 117
사설지름시조 서상에 달 비쳤고 = 118
각시조 봉황대상에 봉황유러니(鳳凰臺上鳳凰遊) = 119
온지름시조 기러기 떼떼 많이 앉은 곳에 = 121
반각시조 일년이 열 두달인데 = 122
반사설시조 귀또리 저 귀또리 = 123
휘모리시조 창 내고자 = 124
휘모리시조 푸른 산 중하에 = 126
단가
죽장망혜"竹杖芒鞋" = 133
운담품경"雲淡風輕" = 138
강상풍월"江上風月" = 143
진국명산"鎭國名山" = 147
편시춘"片時春" = 151
호남가"湖南歌" = 155
소상팔경"瀟湘八景" = 161
만고강산"萬古江山" = 169
장부가"丈夫歌" = 173
백발가"白髮歌" = 177
적벽부"赤壁賦" = 182
공도라니"公道라니" = 191
긴잡가
유산가"遊山歌" = 201
제비가"燕子歌" = 211
적벽가"赤壁歌" = 216
소춘향가"小春香歌" = 223
십장가"十杖歌" = 227
집장가"執杖歌" = 233
형장가"刑杖歌" = 242
출인가"出引歌" = 252
평양가"平壤歌" = 256
선유가"船遊歌" = 262
달거리"月齡歌" = 267
방물가"房物歌" = 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