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민족음악총서

4. 북한의 민족성악

『한민족음악총서4 : 북한의 민족성악』, 서울: 국립국악원, 2015.


머리글 = 5

 

제1장
북한 음악계의 탁성 논쟁사: 1950~60년대를 중심으로 = 13
1950~60년대 북한의 창극 작품과 탁성 = 15
창극에서의 탁성에 대한 문제제기 : 1950년대 전반기 = 19
민요풍 노래에서의 탁성 제거 : 창극 <배뱅이>(1958) = 30
탁성과 맑은 소리의 격돌 : ~ 1960년 = 37
탁성 제거 완료 : ~ 1962 = 51
남은 과제들 = 59

 

제2장
북한의 민족성악과 합창법 연구 = 63
북한의 민족성악과 합창 = 65
민족성악 = 68
북한 합창의 역사와 의미 = 92
합창교육 = 97
민족성악의 합창법 = 117
북한 민족성악과 남한의 성악 = 122

 

제3장
남북한 민족성악의 비교연구:
긴 · 자진 난봉가와 정방산성가를 중심으로 = 127
서도민요와 북한의 창작민요 = 129
사설의 비교 = 133
창법의 비교 = 142
두 곡의 음악형식 비교 = 165
선율의 비교 = 168
장단의 비교 = 185
<난봉가>와 <정방산성가>의 같고 다름 = 189

 

제4장
영상자료 분석을 통한 북한 주체적 발성의 실현 양상 = 203
들어가며 = 205
주체적 발성의 기원과 전개 = 206
연주 영상에 나타난 주체적 발성 실현 양상 = 211
나가며 = 230

 

제5장
북한 민족성악곡의 작곡기법 연구 = 233
작곡기법의 이론적 근거 = 235
음악사상과 이념 = 237
민족성악곡의 작곡기법 = 241
명곡과 작곡기법 = 253

 

제6장
북한 “피바다식 가극”의 성악 = 257
‘우리식 창법’ = 259
혁명가극 <피바다>의 ‘양성(洋聲)’ = 265
민족가극 <춘향전>의 ‘민성(民聲)’ = 267

 

제7장
작품을 통해 본 북한의 민족성악:
<모란봉>과 <우리의 동해는 좋기도 하지>를 중심으로 = 271
북한의 고유한 민족성악 스타일 = 273
민족음악 창출에의 다양한 시도 = 274
음악과 가사의 관계로 본 북한의 민족성악 = 280
북한 민족성악의 한 단면 = 289

 

참고자료 = 293

더 읽어볼 책과 지은이 소개 = 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