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아카이브

국립국악원 구술총서 23. 김중섭

『국립국악원 구술총서 23. 김중섭』, 서울: 국립국악원, 2022.

 

013   발간사


제1장 국악 입문 계기와 운니동 국립국악원 및 국악사양성소  
019   도입
019   출생과 가족 관계
023   조카를 계기로 국악에 입문하다
026   국악사양성소 입학 시험
028   초기 당주동 국악사양성소의 생활
029   운니동 국립국악원과 국악사양성소
031   운니동 국악사양성소의 교육 과정과 방법
035   전공 배정과 조건
038   국악사양성소 대금반 동학들과 그 후
039   대금반 선생님과 교육 내용
042   이왕직아악부양성소와 국악사양성소의 교육 방법
044   국악사양성소 선생님들
049   국악사양성소의 동학과 후배
050   국악사양성소 시절의 청 채취
053   청 제작 과정
056   과거와 현재의 청 소리
058   국립국악원으로의 발령
061   5.16 혁명과 국립국악원으로부터의 해직
063   복직 이후 국립국악원의 연주 환경
064   운니동 국립국악원에서 시작된 국악 강습회
065   국악 강습회의 내용과 선생님
067   국악 강습회의 강사를 시작하다
068   단소 부문의 단계별 강습 내용
069   국악 보급을 위한 국악 감상회를 시작하다
070   국악사양성소훈과 졸업생으로서의 사명
071   소남 이주환 선생의 공로
072   소남 이주환 선생에 대한 회고
073   소남 이주환 선생과 설곡 전효준 선생의 인연


제2장 장충동 국립국악원과 처용무  
081   도입
081   운니동 시절 국악사양성소, 두 번째 이야기
083   국악사양성소, 장충동으로 이전하다
084   국립국악원과 공간을 공유하다
085   국립국악원과의 분리, 국립극장과 함께하다
087   연주단의 분화와 전문화
088   KBS국악연구생과 국악사양성소 여자 졸업생
090   국립국악원의 민속악 연주와 선생님
092   장충동 국립국악원의 연주 레퍼토리
095   운니동에서부터 이어지는 국악 감상회
095   국악 감상회와 함께하는 무형문화재 연주회
096   국악 감상회의 주 공연 곡목
099   원로 선생님들의 지도와 함께한 연주
101   학생들과는 원로 선생님들의 음악
102   녹성 김성진 선생의 대금
103   국립극장과 함께 할 때의 어려움
105   장충동 국립국악원으로 오신 원로 선생님
108   서초동 국립국악원의 시작
109   한결 나아진 서초동 국립국악원의 사정
110   국립국악원의 직제
112   국립국악원의 잔류 혹은 학교로의 이직을 선택하다
113   국립국악원에서의 진급
114   종묘제례악 예능 보유자, 처용무 전수생이 되다
118   처용무잽이의 춤사위와 그들로부터의 학습
121   국가무형문화재 처용무 예능 보유자에 관하여
122   처용무 반주 음악에 대한 생각
126   춤 전담 악사의 지정이 필요하다
127   처용무 공연과 수제천 연주의 현실
128   처용무의 전수 현황과 현실
129   춤 추는 사람이라면 장단은 알아야지
132   처용의 고장, 울산에서의 처용문화재
134   처용무 보급의 현실과 가능성


제3장 서초동 국립국악원의 해외 공연 활동과 국악 보급 활동  
141   도입
141   국립국악원의 공연과 유료화
143   국립국악원의 상설 공연
144   종묘제례악 일무의 시시비비
146   국립국악원에서의 정가극과 타 단체의 공연
146   종묘제례악 전 곡 연주는 독일에서
147   첫 해외 공연, 일본 궁내청 아악부 공연에서의 연주자
151   요미우리신문사 초청 공연의 일화
156   대만 고궁박물관에서의 공연
158   서양평균율에 맞춰진 대만 전통음악과 대만의 근대화
159   유럽 5개국 순회공연에 관한 일화
161   후배 인남순, 윤병천과 함께한 유럽 순회 공연
162   잦아진 서초동 국립국악원의 해외 공연과 미국 공연의 일화
164   삼천리 가무단
167   서초동 시절 유럽 순회 공연과 안익태 선생 일가(一家)
168   동남아시아 국가와 한국의 음악문화에 관한 견해
169   인도에서의 공연과 인도 관중의 수준
171   유럽과 미국에서 느낀 음악문화의 차이
173   중국 관객과 음악의 특징
175   소련과 이란의 관객 및 음악 경향
176   남미와 아프리카 음악 경향에 관한 추측
177   국립국악원에서 시작된 국악 방송
178   국악 보급을 위한 국악 강습회의 사정
181   강사료 마련을 위해 국악진흥회와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이 설립되다
181   아마추어 국악 애호가들과의 만남, 그리고 금우회, 범려회, 구음회
185   재미국악원과 강습 활동
187   구음회의 해외 공연
188   대학에서도 이어진 국악 보급 활동
191   국악사양성소에서의 교육활동
193   관악기 호흡에서 가장 중요한 것


제4장 아마추어 국악 단체와 보급에 대한 사명  
199   도입
199   최철호 선생과의 인연
201   최철호 선생과 금우회
203   최철호 선생의 국악 보급 활동
204   금우회 이후, 범려회
204   지금까지 이어지는 구음회
205   금우회: 최초의 아마추어 국악 단체
207   기억에 자리한 금우회원
208   구음회의 규모와 활동
210   범려회에서 구음회로, 구음회의 연주 철칙
211   풍류회의 국악 애호가
215   국악 강습회에서 이어지는 단소 강습의 현황
218   국악을 사랑하는 동양화가들
220   국악 보급을 위한 국립국악원의 역할과 가능성
221   국악 보급을 위한 지방 순회 공연
226   과거와 현재에 달라진 선생님의 지위
228   지금까지 여전히 이어져 오는 스승과 제자
229   일찍 잃어버린 애틋한 제자
231   곧이 곧대로, 국악만
234   신념, 정진, 봉사의 양성소 소훈대로
235   주례에 관한 신념
237   결혼 생활을 위해 알아야 하는 것


제5장 대금 정악곡의 특징과 회고  
243   도입
243   대금 연주자에게 제례악이란
244   종묘제례악 연주의 과거와 현재
246   정동방곡과 낙양춘의 과거와 현재
247   경록무강지곡, 태평춘지곡, 서일화지곡의 과거와 현재
248   연음 음악의 특징
250   승평만세지곡 피리 가락의 매력
251   피리 학습의 효과
252   여민락과 수연장지곡의 차이
254   도드리를 합주하는 방법
254   도드리와 취타 연주의 과거와 현재
256   유초신지곡, 중광지곡, 천년만세의 묘미
257   상령산과 중령산의 차이
258   단소보의 부호가 알려주는 상령산, 중령산의 차이
259   하현도드리에서 타령까지의 연주법
260   군악 연주법과 천년만세의 빠르기
262   장단으로 달라지는 표정만방지곡
264   향당교주의 연주법과 변화
266   흔적으로 남아있는 과거 합주 음악의 편성
267   최근 자진한잎의 연주
268   생소병주의 행방
269   현재 사용되는 생황과 공연
269   작곡가별 창작곡의 경향
271   비교적 온전한 취타
272   행진 음악의 연주와 변화


제5장 대금 정악곡의 특징과 회고  
243   도입
243   대금 연주자에게 제례악이란
244   종묘제례악 연주의 과거와 현재
246   정동방곡과 낙양춘의 과거와 현재
247   경록무강지곡, 태평춘지곡, 서일화지곡의 과거와 현재
248   연음 음악의 특징
250   승평만세지곡 피리 가락의 매력
251   피리 학습의 효과
252   여민락과 수연장지곡의 차이
254   도드리를 합주하는 방법
254   도드리와 취타 연주의 과거와 현재
256   유초신지곡, 중광지곡, 천년만세의 묘미
257   상령산과 중령산의 차이
258   단소보의 부호가 알려주는 상령산, 중령산의 차이
259   하현도드리에서 타령까지의 연주법
260   군악 연주법과 천년만세의 빠르기
262   장단으로 달라지는 표정만방지곡
264   향당교주의 연주법과 변화
266   흔적으로 남아있는 과거 합주 음악의 편성
267   최근 자진한잎의 연주
268   생소병주의 행방
269   현재 사용되는 생황과 공연
269   작곡가별 창작곡의 경향
271   비교적 온전한 취타
272   행진 음악의 연주와 변화
273   취타 계열 악곡별 분위기
274   수제천의 속도 변화에 대한 아쉬움
275   원로 선생님들의 소금 소리
276   수제천의 장단 표현
277   봉해룡 선생님의 영향
278   가곡의 변화와 아름다움
279   가곡 반주 시 연주자가 주의할 점
280   무용 반주자가 갖춰야 할 자질
281   악보 암기의 중요성
283   헌천수와 민간대풍류의 연관성
286   수연장, 송구여지곡의 씩씩한 느낌
287   회고
292   약력
302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