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행사

2021 토요명품 (국립국악원) 12월 4일 공연 후기

국악을 배우기 시작한 이후로 다양한 영상매체를 통해 종묘제례악 등 굉장히 많은 국악 공연을 감상할 기회가 있었지만, 코로나 19로 인한 공연관람 제한때문에 직접 관람할 기회는 좀처럼 가질 수가 없었다. 아쉬운 마음을 안고 금년 5월 쯔음에도 국립국악원 유튜브를 통해 국악 공연을 관람 했던 기억이 났는데 이번에는 거리두기 단계가 완화되어서 직접 관람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국립국악원에서 진행하는 토요명품공연을 관람하게 되었다.
12월 4일 토요 명품 공연은 모두 전폐희문, 퍼용무, 태평가, 고고천변 대목, 아리랑, 강강술래의 순서로 진행되었는데, 공연 하나하나가 모두 기억에 남는다.

우선 전폐희문은 종묘제례악 중 한 곡으로서 국악 공부를 하면서 굉장히 자주 들었기 때문에 반가운 마음이 먼저 들었다. 종묘제례악은 왕과 왕비의 신위를 모신 종묘에서 제례를 거행할 때, 연주되는 음악인만큼 굉장히 격식있고 그 악기마다, 또 노래를 부르는 사람마다, 곡마다 역할이 정해져 있는데 이런 역할을 실내 무대에서 최대한 재현한 공연이었기 때문에 당시 상황을 생각하며 공연에 집중할 수 있었다.

다음 순서는 처용무였다. 처용무는 가면을 쓰고 춤을 추는 군중무용으로 웃고있는 듯한 처용의 형상을 한 가면이 나쁜 기운을 물리치고 좋은 일들을 생기게 한다는 염원을 가지고 있다. 처용무도 종묘제례악과 마찬가지로 궁의 행사가 있을 때 진행되던 국, 무용이었는데 처음에는 큰 가면이 조금 낯설게 다가왔는데 공연을 계속 보고있으니 공연에 의미대로 좋은 일들이 생길 것 같은 느낌이 들어서 기분이 좋았다.

태평가는 관현악 연주에 남창과 여창분께서 반주에 맞추어 노래를 하셨는데, 원래는 그 구분이 없이 불리었으나 현대에 와서 구분이 생긴 이후로 남녀창자가 함께 부르는 유일한 곡으로 거듭났다고 한다.

고고천변 대목은 판소리 수궁가 중 한 작품인데, 판소리를 실제 공연에서 관람한건 처음이라 정말 신기했다. 조금 아쉬운 점이 있다면 원래 내용을 알고 있었던 수궁가임에도 불구하고 한 장면만 공연에서 관람했어서 어떤 얘기인가를 계속 고민했던 것 같다. 기회가 된다면 판소리 한 작품을 처음부터 끝까지 관람해보고 싶다.

다음은 차례로 아리랑과 강강술래의 순서였다. 관람한 두 공연 중 아리랑과 강강술래가 가장 기억에 남는데 두 공연이 위의 공연과는 다르게 관중의 참여를 유도하고, 역사적으로도 서민들이 편하게 부르는 음악, 추는 춤 이었어서 더 그런 느낌이 들었던 것 같다. 이 공연을 보기 전에는 아리랑은 '나를 버리고 가시는 임은~' 구절과 장구실기 시간에 배웠던 악곡들만 알고 있었는데 한반도 다양한 지역의 아리랑을 들으니 '아리랑'이라는 이름으로 이렇게 다채로운 색을 낼 수 있다는 것에 자부심이 느껴졌다. 또, 강강술래는 지금까지 어릴 때 할머니, 동생들과 손을 잡고 동그랗게 도는 놀이만 생각했었는데 청어엮기, 놋다리 밟기 등 다양한 민속놀이와 악곡을 함께 들으니 더 신기하고 알아가고 싶은 느낌이 들었다.

원래 오케스트라에 관심이 많았기 때문에 코로나19사태 발발 전 오케스트라 공연은 굉장히 자주 보고 실제로 공연을 한 적도 많이 있었는데, 국악공연은 매번 학습적으로만 배우다가 이번에 처음 공연을 직관한 것이었는데 내가 생각했던 것 보다 너무 좋았다. 토요명품공연이라는 좋은 공연 덕에 짧게나마 국악과 가까워질 수 있었고, 더 길고 다양한 국악공연을 보고싶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댓글등록 현재 0자 (최대 1,00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