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행사

'세계가 인정한 우리음악' 을 관람하고,,,

2021 토요명품 12월 4일 공연인 '세계가 인정한 우리음악' 공연을 관람했습니다. 현재 생활하고 있는 청주와 근처에도 좋은 공연들이 많이 있지만 그래도 우리나라에서 국악공연하면 국립국악원에서 하는 것이 대표적이라고 생각이 들어서 이 공연을 관람하게 되었습니다. 공연의 제목들을 보니 종묘제례약 중 전폐희문, 처용무, 가곡 중 태평가, 판소리 수궁가 중 고고천변 대목, 아리랑, 강강술래로 이루어져 있었습니다. 학교에서 국악개론 수업을 듣지 않았더라면 판소리, 아리랑, 강강술래 정도를 알았겠지만 이번학기에 종묘제례악, 처용무, 가곡, 판소리를 모두 배웠기 때문에 공연의 제목들이 더욱 익숙했고, 기대가 되었습니다. 특히 종묘제례악을 배울 때 실제로 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며 수업을 들었던 기억이 있어서 종묘제례악 중 전폐희문을 가장 기대하며 공연장으로 갔습니다.
공연장에 들어가자마자 종묘제례악에 사용될 것 같아보이는 굉장히 많고 다양한 악기들이 배치되어 있었습니다. 편종, 편경, 어, 축, 아쟁, 장구, 해금, 대금, 피리, 박 등 여러 악기들을 직접 보고 소리를 들어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첫 공연인 '종묘제례악 중 전폐희문'은 이 악기들의 연주와, 노래(?), 장식품을 들고 무용을 하는 악, 가, 무로 구성된 종합예술이었습니다. 처음에 큰 소리의 구호로 시작하고, 수업시간에 들었던 박 소리로 시작이 되었습니다. 저는 시작부터 끝까지 꾸준하게 들리는 아쟁의 소리가 인상깊었고, 마지막에 '어'라는 악기의 소리내는 방법을 처음봐서 신기했습니다. 전폐희문은 예물을 올리는 제례절차에서 연주하는 보태평 중 한 곡에 해당하는데 그에 맞게 너무 빠르지도 않고 느리지도 않은 적당한 빠르기와 소리의 크기로 예를 갖추는 모습이 떠올랐습니다.
두번째 공연인 '처용무'는 국악개론 시간에 인상깊게 들었던 수업인 향악정재에 속하는 가면을 쓰고 추는 궁중무용이었습니다. 다섯명의 사람이 오방색의 옷을 입고 커다란 처용의 얼굴을 한 가면을 쓰고 나와서 시작했습니다. 가면이 생각보다 컸고, 무용의 동작은 시원시원하고 활달하게 느껴졌습니다. 나쁜 기운을 물리치고 좋은 일들이 생기는 염원이 담겨있다는 내용을 생각하며 감상을 하니 더 기분좋게 관람할 수 있었습니다. 마지막에 가면을 벗고 인사를 하실 때 모두 남자이셨다는 것에 놀랐고, 너무 잘생기셔서 놀랐습니다. :)
세번 째 곡은 '가곡 중 태평가'였습니다. 가곡을 배웠는데 기억이 잘 나지 않아서 가지고 간 국악개론 책에서 찾아 공연전에 읽어보았습니다. 시조시를 바탕으로 전주와 간주를 포함하여 5장 형식으로 구성되며, 관현악반주에 맞추어 노래하고, 태평가는 남녀창자가 함께 부르는 유일한 곡이라는 설명을 보고 공연을 관람해서 더 이해가 잘 되었고, 가곡이 풍류음악에 속한다는 사실이 기억이나서 조선시대 풍류방에서 불려지는 가곡을 상상하며 감상을 했습니다. 그리고 가곡이 16박 장단이라는 것을 보고 장단을 유심히 보려고 노력했는데 책에 나와있는 16박을 잘 매치하지 못했었습니다.
그 다음 곡은 '판소리 수궁가 중 고고천변 대목'이었습니다. 판소리도 얼마전에 배웠던 터라 반가웠습니다. 소리, 아니리, 창조, 발림이 각각 무엇인지 유심히 보아서 이론으로 배웠던 것들을 직접 눈과 귀로 확인해서 좋은 경험이었습니다. 그리고 '고수'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직접 확인했습니다. 북을 가지고 노는 듯한 자유롭고 흥겨운 리듬을 만들어, 거기에 추임새까지 더해 판소리의 재미를 한껏 더해주시는 역할을 하시는데 장단 치시는 모습을 보고있으니 저절로 흥겨워 지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다섯번째 곡은 '아리랑'이었습니다. 장구, 해금, 가야금, 거문고, 대금?등의 악기가 오른쪽에 한줄로 배치되어 반주를 하고 세분의 노래부르시는 분들이 가운데에 서서 몸짓과 함께 노래를 부르셨습니다. 처음에 곡 설명이 나올때 아리랑은 지역의 다양한 언어가 노랫말과 시김새로 반영될 수 있기 때문에 지역과 세대를 초월하며,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도 아우를 수 있는 노래이고 한국의 한과 흥을 반영하는 대표적인 노래라는 설명이 인상깊었습니다. 평소에도 피아노로 연주하는 아리랑 재즈버전을 좋아하는데 아리랑에 담긴 한과 흥이 마음을 움직이는 무엇인가가 있다고 느꼈기 때문에 이 설명이 더 인상깊었던 것 같습니다. 실제 공연에서는 여러가지의 아리랑을 부르셨는데, 한이 가득 담겨있는 아리랑부터, 한국인의 흥을 엿볼 수 있는 신나는 아리랑까지 다양한 감정을 느낄 수 있는 차례였다고 생각합니다.
마지막 곡은 '강강술래'였습니다. 한쪽에 악기와 노래가 연주되는 자리가 마련되어있었고, 무대 전체를 여성 무용수들이 나와 놀이와 무용을 펼치셨습니다. 우리가 흔히 아는 강강술래 노래로 시작이 되었는데, 처음에는 중중모리장단의 느린 장단으로 시작하여 점점 갈 수록 빨라지며 자진모리 장단으로 변화되는 것을 직접 들을 수 있었습니다. 강강술래에서는 강강술래놀이와, 청어엮자 노래, 문지기문지기문열어라 노래 등 놀이를 할 수 있는 노래들이 계속해서 나왔습니다. 그리고 직접 문지기놀이와 꼬리잡고 다리만들어 한사람이 등을 밟고 올라가 다리를 건너는 놀이 등 악기의 장단에 맞추어 신나는 놀이를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강강술래놀이가 가장 인상깊었습니다.
공연관람을 통해 이론으로 배웠던 내용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었고, 다음에 기회가 있다면 또 보고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댓글등록 현재 0자 (최대 1,00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