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연상세정보 | 공연정보 | 국립국악원

공연/행사정보

2025 토요명품

2025 토요명품

  • 부제목

    2025 토요명품

  • 공연기간

    2025-01-04(토) ~ 2025-12-27(토)

  • 공연일시

    이동
  • 공연장소

    우면당

    관람시간

    70분

  • 주최

    국립국악원

  • 가격
     

    A석 30,000원 B석 20,000원
    할인정보

    티켓 예매, 취소 및 변경은 공연 전일 오후 6시까지 가능하며,

    공연 당일에는 온라인 예매가 불가합니다.(잔여석이 있을 경우 현장에서 선착순 예매 가능)

    공연 당일과 공연 매진 시 예매 창의 공연일시가

    다음 공연 날짜로 자동 활성화되니 예매 전 공연 날짜를 꼭! 확인해주세요.

     

     

    A석 30,000원 / B석 20,000원

     

     

    [티켓오픈] 2025 토요명품 4, 5, 6월 공연

    ㅇ유료회원 예매기간_2025.3.13.(목) 14:00~

    ㅇ일반회원 예매기간_2025.3.14.(금) 14:00~

     

     

    [토요명품X핀배지 패키지]

    토요명품 핀배지는 온라인 예매를 통해서만 구매 가능합니다.

    티켓 예매 시 할인권종에서 '토요명품X핀배지를 선택해주세요!'

    *현재 집박, 대취타, 가야금산조, 진도북춤, 장구춤, 판굿, 대금산조 핀배지 구매 가능합니다.

     

    할인안내 / ** 50% : * 국립국악원 유료회원(으뜸) - 공연당 5매 * 경로우대자, 국가유공자, 장애인 - 1인 2매 * 문화누리카드 소지자 - 본인한정 / ** 30% : * 국립국악원 유료회원(버금) - 공연당 5매 * 청소년 할인(8세~24세이하/대학생) - 본인한정 * 예술인패스 - 본인한정 * 병역명문가 - 1인 2매 / ** 20% : * 문화릴레이티켓 - 1매 2인 * 다둥이 행복카드 소지자 - 구성원 모두 * 임산부(산모카드 소지자) - 본인 한정 / ※ 유료회원 공연 초청권 사용 가능 ※ 할인적용 시 신분증 및 복지카드 지참, 미지참시 현장 차액 발생, 중복 할인 불가
     

  • 문의전화

    02-580-3300

    관람등급

    8세 이상(2018.12.31 이전 출생자)

공연상세

가격/할인정보

티켓 예매, 취소 및 변경은 공연 전일 오후 6시까지 가능하며,

공연 당일에는 온라인 예매가 불가합니다.(잔여석이 있을 경우 현장에서 선착순 예매 가능)

공연 당일과 공연 매진 시 예매 창의 공연일시가

다음 공연 날짜로 자동 활성화되니 예매 전 공연 날짜를 꼭! 확인해주세요.

 

 

A석 30,000원 / B석 20,000원

 

 

[티켓오픈] 2025 토요명품 4, 5, 6월 공연

ㅇ유료회원 예매기간_2025.3.13.(목) 14:00~

ㅇ일반회원 예매기간_2025.3.14.(금) 14:00~

 

 

[토요명품X핀배지 패키지]

토요명품 핀배지는 온라인 예매를 통해서만 구매 가능합니다.

티켓 예매 시 할인권종에서 '토요명품X핀배지를 선택해주세요!'

*현재 집박, 대취타, 가야금산조, 진도북춤, 장구춤, 판굿, 대금산조 핀배지 구매 가능합니다.

 

할인안내 / ** 50% : * 국립국악원 유료회원(으뜸) - 공연당 5매 * 경로우대자, 국가유공자, 장애인 - 1인 2매 * 문화누리카드 소지자 - 본인한정 / ** 30% : * 국립국악원 유료회원(버금) - 공연당 5매 * 청소년 할인(8세~24세이하/대학생) - 본인한정 * 예술인패스 - 본인한정 * 병역명문가 - 1인 2매 / ** 20% : * 문화릴레이티켓 - 1매 2인 * 다둥이 행복카드 소지자 - 구성원 모두 * 임산부(산모카드 소지자) - 본인 한정 / ※ 유료회원 공연 초청권 사용 가능 ※ 할인적용 시 신분증 및 복지카드 지참, 미지참시 현장 차액 발생, 중복 할인 불가
 

상세내용

SATURDAY GUGAK CONCERT
2025 토요명품 1.4.-12.27 매주 토요일 오후 3시 | 국립국악원 우면당 
Every Saturday 3p.m.
Umyeondang Hall,National Gugak Center

최고의 연주자들이 선보이는 국립국악원 대표공연 '토요명품'
궁중음악부터 민속음악, 무용, 창작국악까지 다채롭고 풍성한 고품격 무대
세계가 인정하고 한민족의 흥과 신명이 살아 숨 쉬는 한국 예술의 진수를 만나보세요.

1월 4일 세계가 인정한 우리 음악
종묘제례악 중 전폐회문, 정대업(소무.독경.영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2001년 등재
종묘제례악은 왕과 왕비의 신위를 모신 종묘에서 제례를 거행할 때 연주되는 음악과
춤으로, 왕의 문덕을 칭송하는 보태평 11곡과 무공을 찬양하는 정대업 11곡으로 구분된다.
이때 부르는 노래를 악장이라고 하며, 춤은 일무라고 하는데 일무에는 문무와 무무의 두 종류가 있다.
정대업과 보태평이 만들어진 세종 당시에는 궁중 연회음악으로 쓰였으나, 세조 때부터 제례악으로 사용된 후
지금까지 전승되고 있다. 오늘 공연에서는 전폐회문과 정대업 11곡 중 소무.독경.영관을 연주한다.
전폐희문은 예의를 갖추어 예물을 올리는 절차인 전폐례 때 연주하는 곡으로 보태평 중 한 곡인 
희문보다 훨씬 느린 속도로 연주하기 때문에 장엄한 아름다움을 선사한다.

가곡 평롱 북두칠성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2010년 등재
가곡은 시조시를 노랫말로 하는 성악곡으로, 전주와 간주를 포함하여 5장 형식으로 구성된다.
무릎장단이나 한두 악기의 반주로 노래하는 시조와 달리 가곡은 관현악 반주에 맞추어 노래한다.
가곡은 조선 후기 풍류방 문화를 주도했으며, 이후 다양한 기악곡을 파생시켰다.
평롱 '북두칠성'은 오랫동안 그리워하던 임을 만났는데 금방 헤어져야 하는 안타까운 마음을 표현한 내용이다.

판소리 수궁가 중 토끼화상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2003년 등재
판소리는 서사적이고 극적 구성으로 된 긴 이야기를 한 명의 소리꾼이 북 반주에 맞춰 노래로 부르는 극음악이다.
소리꾼은 이야기의 다양한 등장인물을 비롯한 자연의 소리 등 세상 만물의 소리를 목소리로 구현해 낸다.
판소리에서는 청중이 소리꾼의 소리 중간에 '얼쑤','좋다','잘한다' 등의 추임새로 호응하며 공연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극의 내용 또한 권선징악 등 새로운 사회와 시대를 열망하는 서민들의 마음을 담고 있다.
판소리 등장 초기에는 12마당이 불리었으나, 현재는 5마당(춘향가.심청가.수궁가.흥보가.적벽가)이 전승되고 있다.
판소리 수궁가 중 토끼화상은 육지로 가는 별주부가 토끼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화공이 토끼의 모습을 그려주는 내용이다.

처용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2009년 등재
처용무는 동해 용왕의 아들로 사람 형상을 한 처용이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어 
천연두를 옮기는 역신으로부터 인간 아내를 구해냈다는 신라 처용설화에 기원을 둔 궁중무용이다.
궁중 연례에서 악귀를 몰아내거나, 음력 섣달그믐에 악귀를 쫒는 의식인 나례에서 복을 기원하며 춘 춤이다.
동서남북과 중앙 등의 다섯 방위를 상징하는 파란색(동).흰색(서).붉은색(남).검은색(북).노란색(중앙)의 오색 의상을 입은
5명의 무용수가 일자진.원진 등을 만들며 춤동작을 보여준다. 춤사위는 단순하지만 당당하고 활기찬 움직임 속에서
씩씩하고 호탕한 남성적인 멋을 느낄 수 있으며 처용탈과 조화를 이루는 춤이다.

아리랑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2021년 등재
아리랑은 한국의 한과 흥을 반영하는 대표적인 노래다. 아리랑은 한반도 전역에 산재한 노래로 특정한 악곡명이라기보다 한민족의 정서를 대변한 민요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라는 후렴구만 넣으면 누구나 아리랑을 만들 수 있다.
지역의 다양한 언어가 노랫말과 시김새로 반영될 수 있기 때문에 지역과 세대를 초월하며,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도 
아우를 수 있는 삶의 노래다.

판굿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2014년 등재 
판굿은 농악의 일종이다. 농악은 농경사회에서 마을 공동체의 번영과 안녕을 기원하기 위해 연행되었던 타악기 연주와 춤 그리고 연극적인 요소까지 가미된 종합예술의 결정체다. 지역마다 지리적 환경과 참여자의 구성에 따라 
다양하게 발달한 농악은 공동체의 유대를 강화하고, 문화 창의성 발달에 기여하였다. 판굿에는 진법놀이와 개인놀이가 
포함되어 있으며, 공연자에게 고도의 음악적 기능과 연희적인 기량을 동시에 요구하는 작품이다.

2025년 1월 공연
4 세계가 인정한 우리음악 종묘제례약 중 전폐희문, 정대업(소무.독경.영관) | 가곡 평롱 
북두칠성 | 판소리 수궁가 중 토끼화상 | 처용무 | 아리랑 | 판굿 
11 한국의 멋과 신명 수제천 | 대금산조 | 고무 | 가야금 독주곡 침향무(황병기 작곡) | 서도민요 반메기 비나리 | 부채춤 | 사물놀이 
18 한국의 멋과 신명 피리 독주 상령산 | 가야금병참 신민요 내 고향믜 봄, 님 그린 회포, 꽃타령 | 가사 수양산가 | 장생보연지무 | 8주자를 위한 추초문(김정길 작곡) | 태평무 | 설장구
25 한국의 멋과 신명 경풍년 | 시조 태산이, 바람도 | 산조 합주 | 검기무 | 거문고 독주곡 수리재(정대석 작곡) | 경기민요 정선아리랑, 한오백년, 신고산타령 | 동래학춤 

관람료 A석 3만원, B석 2만원 
문의 및 예매 www.gugak.go.kr | 02-580-3300

할인안내 
50% 국립국악원 으뜸회원 공연당 최대 5매 
50% 경로우대자.장애인.국가유공자 1인 2매 
50% 문화누리카드 본인 한정
30% 국립국악원 버금회원 공연당 최대 5매 
30% 병역이행명문가 1인 2매
30% 청소년(만7세~만24세) 본인 한정
30% 예술인패스 본인 한정 
20% 문화릴레이 1인 2매 
20% 임산부(산모카드 제시) 본인 한정 
20% 2자녀 이상 가족 구성원 구성원 전부 

※ 중복 할인은 불가합니다
※ 할인 적용 시 증빙을 제시해야 하며, 미지참시 현장에서 차액을 지불해야 합니다

토요명품 핀배지
국악 핀배지와 함께 토요명품의 감동을 간직하세요
토요명품x핀배지는 온라인 예매를 통해서만 구매 가능합니다
티켓 예매 시 할인권종에서 '토요명품x핀배지'를 선택해주세요!

일반회원 A석 32,000원 A석 티켓 1매 + 국악 핀배지 1개 
일반회원 B석 22,000원 B석 티켓 1매 + 국악 핀배지 1개 
으뜸회원 A석 17,000원 A석 티켓 1매 + 국악 핀배지 1개 
으뜸회원 B석 12,000원 B석 티켓 1매 + 국악 핀배지 1개 
버금회원 A석 23,000원 A석 티켓 1매 + 국악 핀배지 1개
버금회원 B석 16,000원 B석 티켓 1매 + 국악 핀배지 1개

관람후기

4건 (1 / 1페이지)
관람후기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4 4월26일 토요명품 서영희 2025-04-27 91
3 4월26일 토요명품 박현정 2025-04-26 67
2 토요명품 박현정 2025-04-06 130
1 가치있는 공연 심유진 2025-01-06 365

기대평

기대평작성

공연장정보

우면당 좌석배치도, 총 231석, 장애인석 제외,
							좌석 구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반석: 일반좌석으로 예매가 가능한 좌석, 장애인석(휠체어석):좌석이 아닌, 휠체어 이용자를 위한 공간, 발코니석: 극장의 위층 사이드에 위치한 좌석
							우면당 공간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스테이지를 중심으로 왼쪽부터 가열, 나열, 다열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열과 나열 사이, 나열과 다열 사이에 1층 출입구가 1개씩 배치되어 있습니다. 가열과 다열은 발코니석이 있으며, 나열은 7행과 8행 사이가 통로와 계단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좌석 배치에 대한 설명입니다.
							가열 1행 앞부분에 장애인석 1~2번이 있으며, 1행 1~4번, 2행 5~9번, 3행 10~17번, 4행 18~25번, 5행 26~32번, 6행 33~38번 좌석이 있으며, 7행은 39~46번, 발코니석으로 2석씩 구분되어 있습니다.
							나열 1행 1~10번, 2행 11~21번, 3행 22~33번, 4행 34~46행, 5행 47~60번, 6행 61~75번, 7행의 76~91번, 8행 92~102번, 9행 103~114번, 10행 115~127번, 11행 128~139번 좌석이 있습니다.
							다열 1행 앞부분에 장애인석 1~2번이 있으며, 1행 1~4번, 2행 5~9번, 3행 10~17번, 4행 18~25번, 5행 26~32번, 6행 33~38번 좌석이 있으며, 7행은 39~46번, 발코니석으로 2석씩 구분되어 있습니다.

우면당 좌석배치도, 총 231석, 장애인석 제외, 좌석 구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반석: 일반좌석으로 예매가 가능한 좌석, 장애인석(휠체어석):좌석이 아닌, 휠체어 이용자를 위한 공간, 발코니석: 극장의 위층 사이드에 위치한 좌석

우면당 공간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스테이지를 중심으로 왼쪽부터 가열, 나열, 다열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열과 나열 사이, 나열과 다열 사이에 1층 출입구가 1개씩 배치되어 있습니다. 가열과 다열은 발코니석이 있으며, 나열은 7행과 8행 사이가 통로와 계단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좌석 배치에 대한 설명입니다.

가열 1행 앞부분에 장애인석 1~2번이 있으며, 1행 1~4번, 2행 5~9번, 3행 10~1 7번, 4행 18~25번, 5행 26~32번, 6행 33~38번 좌석이 있으며, 7행은 39~46번, 발코니석으로 2석씩 구분되어 있습니다.

나열 1행 1~10번, 2행 11~21번, 3행 22~33번, 4행 34~46행, 5행 47~60번, 6행 61~75번, 7행의 76~91번, 8행 92~102번, 9행 103~114번, 10행 115~127번, 11행 128~139번 좌석이 있습니다.

다열 1행 앞부분에 장애인석 1~2번이 있으며, 1행 1~4번, 2행 5~9번, 3행 10~17번, 4행 18~25번, 5행 26~32번, 6행 33~38번 좌석이 있으며, 7행은 39~46번, 발코니석으로 2석씩 구분되어 있습니다.

예매유의사항

예매방법

공연 예매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통해 이루어 집니다.

  • 1

    공연장선택

  • 2

    날짜/시간선택

  • 3

    좌석 선택

  • 4

    인원 및 할인선택

  • 5

    결제정보 입력

  • 인터넷 예매

    예매마감시간

    공연일 전일 18시까지

    예약방법

    로그인 또는 본인인증 후 공연 일자, 좌석 선택 결제방법 선택 후 결제
  • 전화 예매

    예매마감시간

    공연일 전일 18시까지

    예약방법

    국립국악원 대표번호 02-580-3300 카드결제 불가/현금 송금만 가능
  • 방문 예매

    예매마감시간

    공연일 전일 18시까지

    예약방법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내 고객지원팀 방문
    (월~토 09:00~18:00/공휴일, 일요일 휴무)

i예매취소 및 환불방법

예매취소 및 환불 방법 표 - 예매방법, 인터넷 예매, 전화예매, 방문예매로 구성됨
예매방법 인터넷 예매 전화예매 방문예매
취소방법 로그인 또는 본인인증
후, 마이페이지에서 취소
계좌 입금 시, 본인 명의
계좌번호 기재
국립국악원 대표번호
02-580-3300
예매자 본인 명의의
계좌번호로 일주일 이내 환불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내
고객지원팀 방문 (월~토 09:00~18:00/
공휴일,일요일 휴무)
관람권(티켓) 지참 필수
취소변경
가능시간
   공연 전일 18시까지
   ※ 패키지 티켓: 패키지 첫 공연 시작 전날 18시까지 취소/환불
   ※ 해당 시간 이후, 변경/취소/환불 불가
유의사항

   - 환불 금액 입금은 영업일 기준 3~5일 정도 소요됩니다.
     예금주와 계좌번호가 다를 경우, 환불 처리가 지연될 수 있습니다.
   - 부분 취소·좌석변경은 불가능하며, 전체 취소 후 다시 예매해야합니다.
   - 관람권(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 및 훼손의 경우, 재발행 및 취소/환불/변경 불가합니다.
   - 초대권은 환불 및 변경이 되지 않습니다.
   - 국립국악원 회원 가입 시, 마이페이지에서 예매내역을 확인·관리할 수 있습니다.

출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