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상세
가격/할인정보
전석 2만원
상세내용
김세종제 춘향가로 듣는 이유라의 해금산조
2015 이유라 해금창작작품 발표회
2015.11.7 (토) 19:30 국립국악원 우면당
티켓 전석 20,000(학생할인 50%) 예매 www.musicfield.co.kr
이유라 프로필
-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음악학 박사(D.M.A) 수료
- 한양대학교 음악대학원 음악학 학사(M.A)
-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국악와 졸업(B.M)
- 국립국악고등학교 졸업
- 난계예술제 문화부장관 최우수상 수상
- KBS국악관현악단 정기연주 협연 수상
- 제7회 서울국악대경연 광악부문 은상 수상
- 경기청소년 국악관현악단 악장 역임, 국립국악학교 교사 역임
- 국립국악고등학교, 선화예술고등학교, 전주예술고등학교 강사 역임
- 숭실대학교 평생교육원 음악과, 경북대학교 예술대학 국악과 강사 역임
- 해금실내악단 이현의 농 초청연주회 및 정기연주회 다수
- 해금축제, 정동문화축제, 한국전자 미디어아트 국제 페스티발
- 나라음악큰잔치2007 <국악관현악 축제> 협연, 서울 젊은 국악축제
- 아시아희망콘서트, 이유라밴드 콘서트 등 공연
- 이유라의 해금콘서트 및 초청 독주회 5회
논문교재
- 이상규 작곡 <해금독주곡1번>분석연구(한양대학교, 1999)
- 외국인들을 위한 <해금교재>집필(문화체육관광부, 전통문화재단 2011)
음반
- the moment of leeeura 이유라독집앨번(2007, 신나라음반)
- 해금실내악단 이현의 농 1,2,3집(2001, 2002,2003 / 신나라음반)
- arirang- sound artworks - sound diary음반 (2004, sonic art & colture)
- 태교음반 <공주를 키운 음악> <왕자를 키운 음악>(mbc 2003., 2005 )
- 한국문화재보호재단이 들려주는 우리의 소리 '한국의 사계'
- 가수 장윤정 2집 앨범 수록곡<꽃>(2005, 예진미디어)
- 가수 서정 Seo Jung 1st story(2005, 서울음반)
- sarsh's Divine Workship 성가음반(2011, 소니뮤직)
- 내 할말 십자가 성가음반(2012, WB Studio)
- 현)국악퓨전 '이유라밴드', 해금실내악단 이현의 농 운영위원장
Program Note
해금 다스름 '설레임'
작면곡 : 김현정 , 해금 : 이유라
이곡은 판소리 향가의 퇴령소리 대목과 그 외 여러 눈대목들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다스름이다. 다스름이란 한국 전통 음악에서 악기를 연주하기 전 음률을 고르기 위해 짧은 곡조를 연주하는 것을 뜻한다.
다스름은 본래의 의미에서 예술성이 가미되어 독립된 곡으로 자리매김해 왔다. 이번 곡은 춘향가에서 이도령이 춘향이와 혼인하기 위해 달 밝은 밤에 퇴령소리를 듣고 달려가는 대목을 독립된 다스름을 작편곡하였고 첫사랑, 첫 설레임의 가슴 뛰는 감정을 섬세한 해금 가락으로 풀어보았다.
즉흥시나위
해금 : 이유라/대금:김상연/거문고:허익수/아쟁:신재현/장구:정준호
육지배기 토리로 된 허튼 가락 즉 즉흥적으로 가락을 엮어 가는 기악곡이다. 시나위는 무당이 육자배기 토리의 무가를 부르면 피리, 대금, 해금 등의 악기가 즉흥적으로 묵가의 대선율을 연주하는데 이 음악이 무속의식에서 독립되어 무대용 음악을 정착된 것이 시나위이다. 오늘 연주될 시나위는 해금, 대금, 거문고, 아쟁, 장구의 합주로 연주하게 된다.
천자뒤풀이
소리 : 최건/소리북:정준호
춘향가의 '천자뒤풀이'대목은 이몽룡이 광한루에서 춘향이를 보고 집으로 돌아온 후, 책실에서 천자문을 펼쳐 놓고 천주풀이를 하는 소리대목이다. 처음에는 정상적으로 천자풀이를 하지만, 이미 춘향에게 마음을 뺏긴 이몽룡은 급기야 '춘향과 날과 단둘이 앉어 법중 여자로 놀아보자'라고 소리치며 끝을 맺는다. 이 대목은 중중모리 장단으로 발랄하고 경쾌한 느낌과 함께 이몽룡의 뒤숭숭한 마음을 잘 묘사하고 있다. 또한 변조와 변청을 효과적으로 씀으로써 반복적인 사설 유형의 단순함과 지루함을 음악적으로 상쇄시키는 작창력이 매우 돋보이는 곡이다.
김세종제 춘향가로 듣는 이유라의 해금산조
작편곡:윤진철,이유라/구성:김수미/해금:이유라/장구:윤진철/퍼커션:이충우
김세종(1830년대~1900년대 무렵)은 전북 순창에서 출생하여 19세기 후반에 활약한 후기 8명창에 속하는 명창으로 그의 장기는 <춘향가>이다. 동편제에 속하는 김세종제 춘향가는 통성 발성을 위주로 하며 소리의 성음과 눈을 분명히 내는 소리로 완성도가 높아 판소리 음악의 구성미가 돋보이는 바탕소리로 꼽힌다. 본 해금산조는 판소리 음악 '김세종제'와 고대 소설'산조'라는 음악 양식의 현재성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우선 소설의 구성단계에 준하여 크게 다섯 단락으로 음악 틀거리를 정하였고 이에 각 장의 주제음악으로 김세종제 판소리 음악을 대입하였다.
제 1장은 만남과 사랑, 제2장으 이별과 슬픔, 제3장은 위기와 고통, 제4장은 인내와 해탈, 제5장은 해후와 기쁨이다. 각 장마다 김세종제 춘향가의 눈대목에 해당하는 소리를 적절히 배치하였고 제3장에서는 김창룡의 '돈타령'을 제5장에서는 엇모리와 동살풀이 장단을 새로운 더늠으로 그려보고자 하였다. 연주자는 도창을 겸한 짧은 나레이션으로 오늘날의 춘향을 대변하고 해금은 김세종제 춘향가를 통한 현재적 산조를 풀어놓을 것이다.
연주를 통해 늘 저 자신을 연단하고 있지만 막상 새로운 작업을 앞두고는 또 다시 긴 열병을 앓곤 합니다. 그러나, 아직 길은 멀지만 음악이 있기에 그저 행복합니다. 저는 해금 연주자로서 국악의 대중화와 한국문화 지킴이로서 애써오고 있습니다. 그간 다양한 주법의 창작품을 통해 꾸준히 연주활동을 해오고 있었으나 막상 전통의 뿌리가 배어있는 진한 감정을 표출하지 못하는 아쉬움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런 부족함을 극복하고자 <김세종제 춘향가로 듣는 이유라 해금산조>를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이 작품이 새로운 해금산조의 기반이 되어 예술적 표현의 범위가 넓어지게 되는 동시에 그 가치가 재조명 될 수 있기를 감히 소망해 봅니다. 귀한 발검음을 주신 모든 분들과 이 연주를 함께 나누게 되어 기쁩니다.
많은 교훈과 격려를 되새겨 한 자리에 머무르지 않고 늘 깨어 노력하는 연주자가 되겠습니다. 끝으로 이 연주회를 위해 긴 시간 함께 애써주신 윤진철 선생님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여러 연주자분들과 스탭분들, 항상 저를 위해 기도해주시는 부모님과 지인분들에게 이 자리를 빌어 감사의 말씀 올립니다.
끝이아닌 시작임을 다시금 새기며 이유라의 해금산조가 여러분 기억에 사랑으로 남길 기대해봅니다.
2015.11.7 이유라
기대평
기대평작성
- .
공연장정보

우면당 좌석배치도, 총 231석, 장애인석 제외, 좌석 구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반석: 일반좌석으로 예매가 가능한 좌석, 장애인석(휠체어석):좌석이 아닌, 휠체어 이용자를 위한 공간, 발코니석: 극장의 위층 사이드에 위치한 좌석
우면당 공간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스테이지를 중심으로 왼쪽부터 가열, 나열, 다열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열과 나열 사이, 나열과 다열 사이에 1층 출입구가 1개씩 배치되어 있습니다. 가열과 다열은 발코니석이 있으며, 나열은 7행과 8행 사이가 통로와 계단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좌석 배치에 대한 설명입니다.
가열 1행 앞부분에 장애인석 1~2번이 있으며, 1행 1~4번, 2행 5~9번, 3행 10~1 7번, 4행 18~25번, 5행 26~32번, 6행 33~38번 좌석이 있으며, 7행은 39~46번, 발코니석으로 2석씩 구분되어 있습니다.
나열 1행 1~10번, 2행 11~21번, 3행 22~33번, 4행 34~46행, 5행 47~60번, 6행 61~75번, 7행의 76~91번, 8행 92~102번, 9행 103~114번, 10행 115~127번, 11행 128~139번 좌석이 있습니다.
다열 1행 앞부분에 장애인석 1~2번이 있으며, 1행 1~4번, 2행 5~9번, 3행 10~17번, 4행 18~25번, 5행 26~32번, 6행 33~38번 좌석이 있으며, 7행은 39~46번, 발코니석으로 2석씩 구분되어 있습니다.
예매유의사항
예매방법
※ 예매, 공연 정보 등은 위의 ‘문의전화’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예매취소 및 환불방법
예매방법 | 인터넷 예매 | 전화예매 | 방문예매 |
---|---|---|---|
취소방법 | 로그인 또는 본인인증 후, 마이페이지에서 취소 계좌 입금 시, 본인 명의 계좌번호 기재 |
국립국악원 대표번호 02-580-3300 예매자 본인 명의의 계좌번호로 일주일 이내 환불 |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내 고객지원팀 방문 (월~토 09:00~18:00/ 공휴일,일요일 휴무) 관람권(티켓) 지참 필수 |
취소변경 가능시간 |
공연 전일 18시까지 ※ 패키지 티켓: 패키지 첫 공연 시작 전날 18시까지 취소/환불 ※ 해당 시간 이후, 변경/취소/환불 불가 |
||
유의사항 |
- 환불 금액 입금은 영업일 기준 3~5일 정도 소요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