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상세
가격/할인정보
전석 20,000원
[50% 할인]
- 경로우대자 및 동반 1인
- 국가유공자 및 동반 1인
- 문화 패스(24세이하 또는 대학 학생증 소지자)
- 병역이행명문자 및 동반 1인
- 사회취약계층
- 예술인 패스
- 장애인 및 동반 1인
- 으뜸회원(공연당5매)
[30% 할인]
- 국악지음 회원
- 버금회원(공연당5매)
[20% 할인]
- 문화릴레이티켓 소지자
- 산모카드, 다둥이 행복카드 소지자
- 신세계카드 결제자
- 아시아나항공 탑승권 소지 고객(탑승 7일이내)
- 일반 20명 이상 단체
** 중복 할인 불가
** 할인적용 시 신분증 및 복지카드 지참
** 미지참 시 현장 차액발생
상세내용
풍류사랑방 수요춤전
2015.3. ~ 2015.12. 매주 수요일 오후 8시
눈을 현혹시키는 조명과 장치가 없는 민낯 무대 손끝에서 발끝까지 오직 무대의 춤사위로 승부한다!
틀에 박힌 화려한 무대를 벗어나 젊은 춤꾼에서 명인까지 살아있는 우리 음악의 선율에 몸을 맡긴다.
몸이 표현하는 서사를 통해 인생의 희로애락(喜怒哀樂)이 눈앞에서 펼쳐지는 특별한 경험!
11.11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오후 8시
명인 명무전
心泉 印南順의 춤빛
한국예술은 인간 근원 표현방식인 歌 ? 舞 ? 樂 의 종합적 발현으로부터 시작된다.
전통문화의 지속적인 연구와 공연활동으로 민족문화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출연
- 인남순 - 중요무형문화재 제39호 처용무 전수조교 , 한국전통문화연구원 원장
- 정금희 - 중요무형문화재 제39호 처용무 이수자 , 한국전통문화연구원 무용연구원
- 김경진 - 중요무형문화재 제39호 처용무 이수자 , 한국전통문화연구원 무용연구원
- 최효선 - 중요무형문화재 제39호 처용무 이수자 , 한국전통문화연구원 무용연구원
- 최순희 - 중요무형문화재 제39호 처용무 전수자 , 한국전통문화연구원 무용연구원
- 나연주 - 중요무형문화재 제39호 처용무 이수자 , 한국전통문화연구원 무용연구원
- 김꽃지 - 중요무형문화재 제39호 처용무 이수자 , 한국전통문화연구원 무용연구원
- 이하경 - 중요무형문화재 제39호 처용무 전수자 , 한국전통문화연구원 무용연구원
- 박현미 - 중요무형문화재 제39호 처용무 전수자 , 한국전통문화연구원 무용연구원
- 장소영 - 중요무형문화재 제39호 처용무 전수자 , 한국전통문화연구원 무용연구원
- 변상아 - 중요무형문화재 제39호 처용무 전수자 , 한국전통문화연구원 무용연구원
- 윤진아 ? 무용학원 강사, 한국전통문화연구원 무용연구원
특별출연
- 정대석 -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교수, 서울악회 동인, 양주풍류악회 동인
- 김정수 - 용인대학교 문화예술대학 명예교수,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고법 이수자
- 김영운 - 한양대학교 국악과교수, 문화재위원
음악
국립국악원 정악단, 전통음악그룹 ‘판’(유인상)
공연내용
1. 살풀이(김천흥류) ? 춤: 인남순
김천흥류 살풀이는 시작과 끝이 모두 명주수건을 어깨에 얹으며 구음이 없이 시나위에 맞추어 춤추는 것이 특징이다. 본 작품은 살풀이가 갖고 있는 한과 슬픔 뿐 만 아니라 춤꾼의 내면적 감성이 잘 나타나고 우아함과 정숙함이 함축되어 있는 작품이다. 인남순은 1967년부터 김천흥 선생께 본 작품을 사사 받았고 현재 까지 김천흥류 살풀이의 맥을 이어나가고 있다.
2. 보상무 - 봉화:나연주, 봉필:김꽃지, 춤:최순희, 이하경, 박현미, 변상아, 장소영,?윤진아
보상무는 조선 순조(純祖)때 창작된 정재(呈才)로 무희가 좌우 양대로 나뉘어 서서 중앙에 보상반(寶相盤)을 놓고 연화항(蓮花缸)에 채구(彩毬)를 넣어 승부를 겨루는 놀이형식의 춤이다. 채구가 들어가지 않으면 뺨에 묵점을 찍는다.
3. 춘앵전 ? 춤:인남순
춘앵전은 조선 순조때 창작된 정재로 꾀꼬리가 지저귀는 모습을 표현한 독무(獨舞)이다. 의상은 꾀꼬리 빛을 상징하는 노란 앵삼을 입고 붉은 띠를 허리에 두른다. 또한 오색 한삼을 손목에 끼고 화관을 머리에 얹어 매우 화려한 자태를 뽐낸다, 특히 길이 6자의 화문석 위에서만 추는 우아하고 단정한 춤이다.
4. 처용무(평양처용무) - 춤:정금희, 김경진, 최효선, 나연주, 김꽃지??
본 공연의 처용무는 김홍도 작품으로 알려져 있는 <평양감사향연도>에 묘사된 처용무를 바탕으로 한다. 여기(女妓)들이 춘 처용무로 춤추는 사람의 성별이 다를 뿐만 아니라 처용탈의 길게 빠진 턱의 모양과 오방색을 칠한 각기 다른 색의 탈을 썼다는 점이 현행 처용무와의 차이이다. 또한 단의(短衣) 위에 쾌자를 덧입고 치마의 색을 달리 하는 등 <평양감사향연도>에 나타나는 복시과 탈을 복원하였으며,춤사위는 1931년 조선총독부에서 촬영한 영상의 춤사위로 구성하였다.
5. 거문고 독주 (달무리) 작곡 : 정대석 ? 거문고: 정대석, 장고: 김정수
1악장은 ‘달빛’으로 어둠속을 비춰주는 밝은 달빛의 모습을 통해 내면의 그리움을 표현하고 있으며, 2악장은 ‘달맞이’로 대보름날 어릴 때 달맞이의 정경을 통해 즐거움을 표현하고 있고, 3악장은 ‘달무리’로 신비한 달의 모습을 표현하고 있으며 3악장 후반부에 독주나 2중주 달무리에는 없는 카덴차가 있다.
6. 황진이 ? 춤: 인남순, 거문고:정대석
황진이는 서경덕을 향한 애틋한 마음을 표현한 춤으로 1979년 3월3일 세종문화회관에서 개최된 제2회 인남순 작품발표회에서 김월하 선생의 시조를 반주곡으로 하여 초연되었으나, 본 공연에서는 정대석류 거문고산조에 맞추어 춤을추며, 이 산조는 1988년 정대석(鄭大錫)에 의해 작곡되어 기존의 거문고산조 가락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가락으로 짜여있다. 특히 다른 유파의 자진모리 5괘에서 ‘중고제’로 연주되는 부분을 본 산조에서는 4괘에서 ‘드렁조’로 연주하는 점이 특징적이다. 근래 약 50분의 가락으로 완성된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엇모리, 자진모리로 구성되어있으나 오늘은 춤과 어울려 짧게 연주 된다.
7. 여령무와 허튼춤 - 춤: 인남순, 나연주, 이하경, 변상아, 장소영,?윤진아
‘여령’이란 뜻은 궁중이나 교방청에서 춤과 음악을 담당하던 기녀를 말한다. 작은 부채와 수건을 들고 춤추며, 이 작품들은 드라마 ‘황진이’에서 추어지기도 하였다. 허튼춤은 춤추는 사람이나 보는 사람들이 구음, 즉 입타령을 하면서 추기도 하며 누구나 함께 참여할 수 있는 대중성을 지닌 춤이다. 어떤 의미에서 이 춤은 한국 춤의 참모습을 그대로 보여주는 기본 춤이라 할 수 있다.
다음공연 안내
- 12.9 김수현과 춤벗들의 풍류나들이
- 김수현 전북도립 국악원 무용단 단장
관람안내
전석20,000원, 문의 및 안내 02-580-3300 www.gugak.go.kr
[50% 할인]
- 경로우대자 및 동반 1인
- 국가유공자 및 동반 1인
- 문화 패스 (24세 이하 또는 대학 학생증 소지자)
- 예술인 패스
- 장애인 및 동반1인
[30% 할인]
국악지음 회원
[20% 할인]
- 문화릴레이티켓 소지자
- 신세계 카드 소지자
- 아시아나항공 탑승권 소지 고객(탑승7일이내)
- 일반 20명 이상 단체
※ 중복 할인 불가, 학인적용 시 신분증 및 복지카드지참, 미지참 시 현장 차액발생
오늘 공연의 감동을 사진으로 남기세요! (커튼콜시,자유로은 촬영 사진이 있습니다. 감동의 주인공등를 사진으로 담아가세요.)
※ 본 공연은 일정 및 프로그램은 주최측의 사정에 의하여 변동될 수 있습니다.
기대평
기대평작성
- .
공연장정보

풍류사랑방 좌석배치도, 총 130석, 장애인석 제외
일반석: 일반 좌석으로 예매가 가능한 좌석, 장애인석(휠체어석) : 좌석이 아닌, 휠체어 이용자를 위한 공간을 의미합니다.
스테이지를 중심으로 왼쪽부터 가열, 나열, 다열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열과 나열 사이, 나열과 다열 사이에 1층 출입구가 1개씩 배치되어 있습니다.
좌석 배치에 대한 설명입니다.
가열 1행 1~6번, 2행 7~13번, 3행 14~20번, 4행 21~27번, 5행 28~33번, 6행 34~38번의 좌석이 있습니다.
나열 1행 1~7번, 2행 8~15번, 3행 16~23번, 4행 24~33번, 5행 34~43번, 6행 44~54번 의 좌석이 있습니다. 7행은 장애인석(휠체어석)으로 최대 10대의 휠체어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열 1행 1~6번, 2행 7~13번, 3행 14~20번, 4행 21~27번, 5행 28~33번, 6행 34~38번의 좌석이 있습니다.
예매유의사항
예매방법
공연 예매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통해 이루어 집니다.
-
1
공연장선택
-
2
날짜/시간선택
-
3
좌석 선택
-
4
인원 및 할인선택
-
5
결제정보 입력
-
인터넷 예매
예매마감시간
공연일 전일 18시까지예약방법
로그인 또는 본인인증 후 공연 일자, 좌석 선택 결제방법 선택 후 결제 -
전화 예매
예매마감시간
공연일 전일 18시까지예약방법
국립국악원 대표번호 02-580-3300 카드결제 불가/현금 송금만 가능 -
방문 예매
예매마감시간
공연일 전일 18시까지예약방법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내 고객지원팀 방문
(월~토 09:00~18:00/공휴일, 일요일 휴무)
예매취소 및 환불방법
예매방법 | 인터넷 예매 | 전화예매 | 방문예매 |
---|---|---|---|
취소방법 | 로그인 또는 본인인증 후, 마이페이지에서 취소 계좌 입금 시, 본인 명의 계좌번호 기재 |
국립국악원 대표번호 02-580-3300 예매자 본인 명의의 계좌번호로 일주일 이내 환불 |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내 고객지원팀 방문 (월~토 09:00~18:00/ 공휴일,일요일 휴무) 관람권(티켓) 지참 필수 |
취소변경 가능시간 |
공연 전일 18시까지 ※ 패키지 티켓: 패키지 첫 공연 시작 전날 18시까지 취소/환불 ※ 해당 시간 이후, 변경/취소/환불 불가 |
||
유의사항 |
- 환불 금액 입금은 영업일 기준 3~5일 정도 소요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