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연상세정보 | 공연정보 |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창작악단 기획공연 <연주자 그리고 작곡가 Ⅱ>

연주자 그리고 작곡가 Ⅱ

  • 부제목

    연주자 그리고 작곡가 Ⅱ

  • 공연기간

    2025-05-30(금) ~ 2025-05-30(금)

  • 공연일시

    이동
  • 공연장소

    예악당

    관람시간

    90분

  • 주최

    국립국악원

  • 가격
     

    S석 30,000원 A석 20,000원 B석 10,000원
    할인정보

    S석 30,000원   A석 20,000원   B석 10,000원

     

    [티켓오픈 일정]

    ㅇ유료회원 : 2025.4.29.(화) 14시~

    ㅇ일반회원 : 2025.4.30.(수) 14시~

     

    [특별할인 안내]

     ㅇ 3석 할인_3석 이상 예매 시(50%할인)

  • 문의전화

    02-580-3300

    관람등급

    8세 이상(2018.12.31 이전 출생자)

공연상세

가격/할인정보

S석 30,000원   A석 20,000원   B석 10,000원

 

[티켓오픈 일정]

ㅇ유료회원 : 2025.4.29.(화) 14시~

ㅇ일반회원 : 2025.4.30.(수) 14시~

 

[특별할인 안내]

 ㅇ 3석 할인_3석 이상 예매 시(50%할인)

상세내용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기획공연 
연주자 그리고 작곡가 Ⅱ
2025. 5.30.(금) 19:30 국립국악원 예악당

아쟁, 거문고, 철현금, 피리, 대금의 
빼어난 다섯 명의 연주자가 직접 쓴 협주곡 초연 무대

연주자가 곧 작곡가였던 전통음악 시대의 창작 정신을 되살려
창작곡의 반경을 넓히고 그 미래를 그려봅니다.

01. 12현 소아쟁 협주곡 <파도>
고요한 잔잔함에서 격렬한 절정에 이르는 파도의 다채로운 변화를 협주 아쟁의 선율에 담아내고, 국악관현악의 풍부한 색채를 더했다. 우리에게 익숙한 탱고(tango)와 왈츠(waltz)의 리듬을 활용하여 대중과의 감성적 소통을 꾀했으며 자연 속에 존재하는 나 자신과의 만남을 시도한다. 
■ 작곡·협연 김선제 광주시립국악관현악단 상임 단원 *사진 

02. 거문고 협주곡 <영매(靈媒)>
거문고는 오랜 시간 동안 하늘, 신선, 이상향 등과 같이 인간이 닿고자 하는 곳에 이르게 하는 신성한 매개로 여겨져 왔다. 거문고 독주에는 서도민요나 범패와 같이 기존의 거문고 음악에서 잘 사용되지 않던 음악적 재료를 활용했고 관현악과 거문고 독주는 문답과 반복을 통해 두 개의 세상을 연결한다. 
■ 작곡·협연 김준영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단원 *사진 

03. 철현금 협주곡 <Climb: 내면을 향한 여정> 
제7회 궁중문화축전_가을(2021) ‘아티스트가 사랑한 궁–류경화’ 편에 발표된 <새벽>의 모티브(motive)를 바탕으로 새롭게 만든 철현금 협주곡이다. 모두 3악장으로 구성했으며, 삶의 여정과 내면을 향한 성찰을 '산'이라는 상징을 통해 그려낸다.
■ 작곡·협연 류경화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교수 *사진(카피라이트 옥상훈) 

04. 피리 협주곡 <정명>
피리는 숨의 악기이다. 그 숨은 소리가 되고, 소리는 곧 고백으로 흐른다. 이 시대에 피리가 낼 수 있는 가장 정직한 울림을 찾고자 했으며 <종묘제례악>과 <여민락>의 묵직한 기품, 그리고 <동해안별신굿>의 역동적인 신명이 교차한다.  
■ 작곡·협연 윤형욱 국립국악원 정악단 총무 *사진 

05. 대금 협주곡 <은하수>
광활한 우주 속에서 길을 찾는 인간의 여정을 그린 철학적이고 서사적인 작품이다. ‘은하수’는 무한한 가능성과 변화의 상징으로, 끊임없이 도전하며 자신의 길을 개척해 나가는 인간의 모습과 맞닿아 있다. 정악대금의 다채로운 시김새와 국악관현악의 웅장한 울림이 어우러지며 환상적인 분위기를 만들어 낸다. 
■ 작곡·협연 정소희 용인대학교 국악과 교수 *사진  
//
그간 황병기, 정대석, 김영동에서 시작하여 그 뒤를 잇는 연주자들이 자신의 주 악기와 관련된 독주곡과 편곡된 실내악에서 일정한 성과를 내고 국악계에서 작곡가들의 창작품과 나란히, 어떨 때는 더 우수한 질(質)로 연주자들의 사랑을 받으며 창작곡의 흐름을 선도해 왔다... 국악관현악 자체가 서양 오케스트라의 한국적 변용이라는 태생적 한계를 안고 있고 관현악 사운드로 시나위나 제례악과 같은 전통합주를 능가하거나 혹은 병립하는 자기 고유의 가치를 입증할 수 있는지에 대한 많은 비판과 우려의 시선이 존재했었다. 그러나 워낙 대편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연주자의 즉흥성으로 감당하기 힘든 구조적이고 구성적인 작업이 필요하므로 작곡가의 훈련된 개입 없이 거대한 음악 건축물을 만든다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그런데 그 마지막 관문을 열고 미지의 땅을 밟고 들어가는 작업이 오늘 여기서 이루어진다. -이소영(음악평론가)

관람후기

0건 (1 / 0페이지)
관람후기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해당 게시물이 없습니다.

기대평

기대평작성

공연장정보

예악당 좌석배치도, 총 658석, 장애인석 제외된 수 좌석 구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반석 : 일반좌석으로 예매가 가능한 좌석, 장애인(휠체어)석 : 좌석이 아닌, 휠체어 이용자를 위한 공간, 발코니석: 극장의 위층 사이드에 위치한 좌석
							예악당은 총 3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층과 2층이 층의 구분 없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스테이지 중심으로 왼쪽부터 가, 나, 다, 라열로 구성되어 있고, 3층에 별좌, 별우라는 이름의 발코니석이 있습니다. 또한 2층 나, 다열 뒤편이자 가열 17~19행, 라열 16~18행 사이에 '조명, 영상, 음향조정실'이 있습니다.
							출입구 위치입니다. 1층은 가열 7~9행 우측, 라열 7~9행 좌측에 위치해 있습니다. 2층은 가열 16~18행 좌측, 라열 15~17행 우측에 있습니다. 3층은 가열과 라열 가장 뒤편에 위치해있습니다.
							장애인(휠체어)석은 2군데 위치해있습니다. 1층 가열과 라열 1행의 앞부분에 4석씩 있으며, 2층 라열 출입구 앞에 6석 있습니다.
							좌석 배치에 대한 설명입니다. 1층과 2층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1,2층을 가,나,다,라열 순서로 먼저 안내드린 후, 3층을 안내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가열 1층은 1행부터 11행까지입니다. 1행 1~4번, 5~9번, 2행 10~13번, 14~18번, 3행 19~23번, 좌석 중간 경계칸막이, 24~27번, 4행 28~37번, 5행 38~47번, 6행 48~57번, 7행 58~62번, 8행 63~67번, 9행 68~71번, 10행 72~80번, 11행 81~90번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가열 2층은 12행부터 19행까지입니다. 12행 91~94번, 좌석 중간 경계칸막이, 95~99번, 13행 100~104, 좌석 중간 경계칸막이, 105~109번, 14행 110~114, 좌석 중간 경계칸막이, 115~119번, 15행 120~129번, 16행 130~139번, 17행 140~145번, 18행 146~151번, 19행 152~157번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나열 1층은 1행부터 10행까지입니다. 1행 1~7번, 2행 8~14번, 3행 15~21번, 4행 22~29번, 5행 30~37번, 6행 38~45번, 7행 46~53번, 8행 54~60번, 9행 61~68번, 10행 69~76번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나열 2층은 11행부터 15행까지입니다. 11행 77~83번, 12행 84~91번, 13행 92~99번, 14행 100~107번, 15행 109~115번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다열 1층은 1행부터 10행까지입니다. 1행 1~7번, 2행 8~14번, 3행 15~21번, 4행 22~29번, 5행 30~37번, 6행 38~45번, 7행 46~53번, 8행 54~60번, 9행 61~68번, 10행 69~76번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다열 2층은 11행부터 15행까지입니다. 11행 77~83번, 12행 84~91번, 13행 92~99번, 14행 100~107번, 15행 109~115번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라열 1층은 1행부터 11행까지입니다. 1행 1~5번, 6~9번, 2행 10~14번, 15~18번, 3행 19~22번, 좌석 중간 경계칸막이, 23~27번, 4행 28~37번, 5행 38~47번, 6행 48~57번, 7행 58~62번, 8행 63~67번, 9행 68~71번, 10행 72~80번, 11행 81~90번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라열 2층은 12행부터 18행까지입니다. 12행 91~95번, 좌석 중간 경계칸막이, 96~99번, 13행 100~104, 좌석 중간 경계칸막이, 105~109번, 14행 110~114, 좌석 중간 경계칸막이, 115~119번, 15행 120~129번, 15행 뒤편에 장애인석(휠체어석)이 있습니다. 16행 138~143번, 17행 144~149번, 18행 150~155번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3층은 가,나,다,라열과 별좌,별우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가,라열 1~3행은 나,다열에 비해 앞쪽에 위치해있습니다.
							가열 1행 1~6번, 2행 7~12번, 3행 13~18번, 4행 19~24번, 5행 25~30번, 6행 31~36번, 7행 37~42번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나열 1행 1~8번, 2행 9~16번, 3행 17~24번, 4행 25~32번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다열 1행 1~8번, 2행 9~16번, 3행 17~24번, 4행 25~32번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라열 1행 1~6번, 2행 7~12번, 3행 13~18번, 4행 19~24번, 5행 25~30번, 6행 31~36번, 7행 37~42번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3층 좌측에 '별좌'(발코니석)가 있습니다. 4석, 4석, 4석, 2석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좌석번호는 1~4번, 5~8번, 9~12번, 13~14번입니다.
							3층 우측에 '별우'(발코니석)가 있습니다. 4석, 4석, 2석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좌석번호는 1~4번, 5~8번, 9~10번입니다. 별우 좌석 앞부분에 '국악FM방송실'이라는 곳이 있으나 현재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예악당 좌석배치도, 총 658석, 장애인석 제외된 수

좌석 구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반석 : 일반좌석으로 예매가 가능한 좌석, 장애인(휠체어)석 : 좌석이 아닌, 휠체어 이용자를 위한 공간, 발코니석: 극장의 위층 사이드에 위치한 좌석

예악당은 총 3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층과 2층이 층의 구분 없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스테이지 중심으로 왼쪽부터 가, 나, 다, 라열로 구성되어 있고, 3층에 별좌, 별우라는 이름의 발코니석이 있습니다. 또한 2층 나, 다열 뒤편이자 가열 17~19행, 라열 16~18행 사이에 '조명, 영상, 음향조정실'이 있습니다.

출입구 위치입니다. 1층은 가열 7~9행 우측, 라열 7~9행 좌측에 위치해 있습니다. 2층은 가열 16~18행 좌측, 라열 15~17행 우측에 있습니다. 3층은 가열과 라열 가장 뒤편에 위치해있습니다.

장애인(휠체어)석은 2군데 위치해있습니다. 1층 가열과 라열 1행의 앞부분에 4석씩 있으며, 2층 라열 출입구 앞에 6석 있습니다.

좌석 배치에 대한 설명입니다. 1층과 2층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1,2층을 가,나,다,라열 순서로 먼저 안내드린 후, 3층을 안내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가열 1층은 1행부터 11행까지입니다. 1행 1~4번, 5~9번, 2행 10~13번, 14~18번, 3행 19~23번, 좌석 중간 경계칸막이, 24~27번, 4행 28~37번, 5행 38~47번, 6행 48~57번, 7행 58~62번, 8행 63~67번, 9행 68~71번, 10행 72~80번, 11행 81~90번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가열 2층은 12행부터 19행까지입니다. 12행 91~94번, 좌석 중간 경계칸막이, 95~99번, 13행 100~104, 좌석 중간 경계칸막이, 105~109번, 14행 110~114, 좌석 중간 경계칸막이, 115~119번, 15행 120~129번, 16행 130~139번, 17행 140~145번, 18행 146~151번, 19행 152~157번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나열 1층은 1행부터 10행까지입니다. 1행 1~7번, 2행 8~14번, 3행 15~21번, 4행 22~29번, 5행 30~37번, 6행 38~45번, 7행 46~53번, 8행 54~60번, 9행 61~68번, 10행 69~76번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나열 2층은 11행부터 15행까지입니다. 11행 77~83번, 12행 84~91번, 13행 92~99번, 14행 100~107번, 15행 109~115번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다열 1층은 1행부터 10행까지입니다. 1행 1~7번, 2행 8~14번, 3행 15~21번, 4행 22~29번, 5행 30~37번, 6행 38~45번, 7행 46~53번, 8행 54~60번, 9행 61~68번, 10행 69~76번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다열 2층은 11행부터 15행까지입니다. 11행 77~83번, 12행 84~91번, 13행 92~99번, 14행 100~107번, 15행 109~115번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라열 1층은 1행부터 11행까지입니다. 1행 1~5번, 6~9번, 2행 10~14번, 15~18번, 3행 19~22번, 좌석 중간 경계칸막이, 23~27번, 4행 28~37번, 5행 38~47번, 6행 48~57번, 7행 58~62번, 8행 63~67번, 9행 68~71번, 10행 72~80번, 11행 81~90번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라열 2층은 12행부터 18행까지입니다. 12행 91~95번, 좌석 중간 경계칸막이, 96~99번, 13행 100~104, 좌석 중간 경계칸막이, 105~109번, 14행 110~114, 좌석 중간 경계칸막이, 115~119번, 15행 120~129번, 15행 뒤편에 장애인석(휠체어석)이 있습니다. 16행 138~143번, 17행 144~149번, 18행 150~155번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3층은 가,나,다,라열과 별좌,별우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가,라열 1~3행은 나,다열에 비해 앞쪽에 위치해있습니다.

가열 1행 1~6번, 2행 7~12번, 3행 13~18번, 4행 19~24번, 5행 25~30번, 6행 31~36번, 7행 37~42번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나열 1행 1~8번, 2행 9~16번, 3행 17~24번, 4행 25~32번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다열 1행 1~8번, 2행 9~16번, 3행 17~24번, 4행 25~32번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라열 1행 1~6번, 2행 7~12번, 3행 13~18번, 4행 19~24번, 5행 25~30번, 6행 31~36번, 7행 37~42번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3층 좌측에 '별좌'(발코니석)가 있습니다. 4석, 4석, 4석, 2석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좌석번호는 1~4번, 5~8번, 9~12번, 13~14번입니다.

3층 우측에 '별우'(발코니석)가 있습니다. 4석, 4석, 2석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좌석번호는 1~4번, 5~8번, 9~10번입니다. 별우 좌석 앞부분에 '국악FM방송실'이라는 곳이 있으나 현재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예매유의사항

예매방법

공연 예매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통해 이루어 집니다.

  • 1

    공연장선택

  • 2

    날짜/시간선택

  • 3

    좌석 선택

  • 4

    인원 및 할인선택

  • 5

    결제정보 입력

  • 인터넷 예매

    예매마감시간

    공연일 전일 18시까지

    예약방법

    로그인 또는 본인인증 후 공연 일자, 좌석 선택 결제방법 선택 후 결제
  • 전화 예매

    예매마감시간

    공연일 전일 18시까지

    예약방법

    국립국악원 대표번호 02-580-3300 카드결제 불가/현금 송금만 가능
  • 방문 예매

    예매마감시간

    공연일 전일 18시까지

    예약방법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내 고객지원팀 방문
    (월~토 09:00~18:00/공휴일, 일요일 휴무)

i예매취소 및 환불방법

예매취소 및 환불 방법 표 - 예매방법, 인터넷 예매, 전화예매, 방문예매로 구성됨
예매방법 인터넷 예매 전화예매 방문예매
취소방법 로그인 또는 본인인증
후, 마이페이지에서 취소
계좌 입금 시, 본인 명의
계좌번호 기재
국립국악원 대표번호
02-580-3300
예매자 본인 명의의
계좌번호로 일주일 이내 환불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내
고객지원팀 방문 (월~토 09:00~18:00/
공휴일,일요일 휴무)
관람권(티켓) 지참 필수
취소변경
가능시간
   공연 전일 18시까지
   ※ 패키지 티켓: 패키지 첫 공연 시작 전날 18시까지 취소/환불
   ※ 해당 시간 이후, 변경/취소/환불 불가
유의사항

   - 환불 금액 입금은 영업일 기준 3~5일 정도 소요됩니다.
     예금주와 계좌번호가 다를 경우, 환불 처리가 지연될 수 있습니다.
   - 부분 취소·좌석변경은 불가능하며, 전체 취소 후 다시 예매해야합니다.
   - 관람권(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 및 훼손의 경우, 재발행 및 취소/환불/변경 불가합니다.
   - 초대권은 환불 및 변경이 되지 않습니다.
   - 국립국악원 회원 가입 시, 마이페이지에서 예매내역을 확인·관리할 수 있습니다.

출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