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formance Info


2013 토요명품공연

  • Period

    2013-01-05 ~ 2013-12-28

  • Dates

    go

  • Venues

    Umyeon-dang

  • Host

    National Gugak Center

  • Duration

    90Min

  • Price

    ALL 10,000 won
    <br />< 할인내역안내 >
    <br />* 50% 할인
    <br />경로 및 동반 1인, 장애인 및 동반 2인 할인
    <br />사회취약계층(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 할인
    <br />* 30% 할인
    <br />24세 이하 할인
    <br />국악지음 회 won 할인
    <br />* 20% 할인아시아나회 won 할인
    <br />아시아나국제선 탑승객 할인
    <br />일반 20명 이상 단체할인
    <br />문화릴레이티켓 소지자 할인
    <br />산모카드, 다둥이행복카드 소지자 할인
    <br />* 할인적용 시 신분증 및 복지카드 지참
  • For Inquires

    02-580-3300

List

Details

2012 국립국악원 토요명품공연

30여년간 지켜온 토요일의 약속

2013 토요명품공연

Saturday Performance of Korean Music & Dance

周六名品演出 / 土曜名品公演

안내

일시 :
2013.1.5~12.28 매주 토요일 오후 4시 Every Saturday PM 4:00
장소 :
국립국악원 우면당 Umyeondang(Small Hall)
관람료 :
전석 10,000원
50% 할인 / 경로 및 동반 1인, 장애인 및 동반 2인, 사회취약계층(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 신분증, 복지카드 지참
30% 할인 : 24세 이하, 국악지음 회원 (신분증 지참)
20% 할인 / 아시아나회원, 아시아나국제선1개월 이내탑승객 (회원증, 탑승권 지참) 일반 20명 이상 단체, 문화릴레이티켓소지자, 산모카드, 다둥이행복카드소지자
부모님들의 편안한 공연관람을 위해 미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예악당 2층‘유아누리’에서 유아 국악 전문 강사가 국악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합니다.
- 본 공연은 문화복지 진흥을 위한 객석 20% 나눔 운동에 참여하는 공연입니다.
- 외국인 관람객들을 위해 영어, 일어, 중국어로 번역한 공연 소책자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주최 :
국립국악원
후원 :
국악방송
예매문의 :
02-580-3300 / www.gugak.go.kr:9001

공연내용

애호가를 위한 악?가?무 종합프로그램

좋아하는 종목 골라 보기

  • 종합 가형

    수제천, 가야금산조, 천년만세, 태평무, 풍령(전인평 작곡), 경기민요, 연화무

    3월 2일 / 5월 18일 / 7월 27일 / 11월 2일

  • 종합 나형

    평조회상(염불,타령), 거문고산조, 포구락, 생소병주(염양춘), 대풍류, 파문(김영동 작곡), 입춤

    3월 9일 / 5월 25일 / 8월 24일 / 11월 9일

  • 종합 다형

    여민락, 대금산조, 가인전목단, 피리독주(상령산), 서도민요, 갈잎소리(정동희 작곡), 한량무

    3월 16일 / 6월 1일 / 9월 7일 / 11월 16일

  • 종합 라형

    국악관현악 신내림((박범훈 작곡), 단소협주곡 수상곡(김희조 작곡), 잡가, 검기무, 대금독주(상령산), 부채춤, 판굿

    3월 23일 / 6월 8일 / 9월 14일 / 11월 23일

  • 종합 마형

    경풍년, 해금산조, 아박무, 시조, 기악합주(육자배기,남도굿거리), 옹헤야(임준희 작곡), 살풀이춤

    3월 30일 / 6월 15일 / 9월 21일 / 11월 30일

  • 종합 바형

    관악영산회상(상령산), 아쟁산조, 망선문, 단소독주(청성자진한잎), 남도민요, 접동새(계성원작곡), 진도북춤

    4월 6일 / 6월 22일 / 9월 28일 / 12월 7일

  • 종합 사형

    해령, 피리산조, 향발무, 여민락, 수나뷔(이상규 작곡), 승무, 사물놀이

    4월 13일 / 7월 6일 / 10월 5일 / 12월 14일

  • 종합 아형

    대취타, 시나위, 춘앵전, 가야금병창, 몽금포타령(백대웅작곡), 가사, 무고

    4월 20일 / 7월 13일 / 10월 12일

  • 종합 자형

    국악관현악 새(원일 작곡), 소아쟁 협주곡 아라성(조원행 작곡), 헌천수(단소,양금,생황), 새가락별곡, 산조춤, 도드리, 소고춤

    5월 11일 / 7월 20일 / 10월 19일

    청소년, 초보자를 위한 해설이 있는 프로그램

    쉽게 듣고 즐겁게 보기

    좀 더 쉽고 편안하게 다가갈 수 있는 해설이 있는 3가지 패턴의 공연정악과 정재, 민속악과 민속춤, 창작악의 어제와 오늘 등

    1월 12일 / 1월 19일 / 1월 26일 / 2월 2일 / 2월 9일 / 2월 16일 / 8월 3일 / 8월 10일 / 8월 17일

    유네스코지정 인류무형문화유산 프로그램

    종묘제례악, 판소리, 처용무, 아리랑, 가곡, 강강술래 1월 5일 / 4월 27일 / 8월 31일 / 12월 28일

    종묘제례악, 판소리, 처용무, 아리랑, 가곡, 영산재(작법) 2월 23일 / 6월 29일 / 10월 26일

    ※ 세부일정 및 프로그램은 사정에 따라 다소 변동될 수 있습니다.

    선택하세요
    교육? 여가? 선물? 효도? 애호가?
    원하는 것 그 이상의 만족과 격조 높은 시간을 드리는
    2013 국립국악원 토요명품공연

    애호가를 위한 악?가?무 종합프로그램 / 좋아하는 종목 골라 보기
    청소년, 초보자를 위한 해설이 있는 프로그램 / 쉽게 듣고 즐겁게 보기
    유네스코 지정 인류무형문화유산 프로그램 / 세계속의 우리 유산

    격조 높은 국가대표 상설공연, 전통문화예술의 정수를 보여드립니다

    Saturday Performance of Korean Music & Dance

    토요명품공연은 연중무휴 매주 토요일 4시에 열립니다 외국인 관람객들을 위해 영어, 일어, 중국어로 번역된 공연 소책자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토요명품공연 적립카드를 받으시고, 도장을 받아가세요~! 토요명품공연 5회 관람객 / 토요명품공연 1회(1인 2매) 관람권 제공 토요명품공연 10회 관람객 / 2013 송년공연 1회(1인 2매) 관람권 제공 토요명품공연 1회(1인 4매) 관람권 제공

    주차요금은 무료이나 주차 공간이 협소하므로 가급적 대중교통을 이용하세요.

    2012 토요명품공연 연중 일정표

    1월5일 / 유산A : 종묘제례악, 판소리(춘향가중 사랑가), 처용무, 아리랑, 가곡(소용이,반엽), 강강술래
    1월12일 / 해설A : 수제천, 포구락, 판소리(심청가 중 황성가는 대목), 살풀이(한영숙류), 침향무(황병기 작곡), 저녁노래4(이건용 작곡), 진도북춤
    1월19일 / 해설B : 산조합주, 승무(한영숙류), 천년만세, 가인전목단, 쥐구멍에 볕들었어도(이성천 작곡), 다랑쉬(김대성 작곡), 판굿(웃다리농악)
    1월26일 / 해설C : 여민락, 향발무, 가야금병창(수궁가 중 화사자~고고천변), 태평무(한영숙류), 산운(황병기 작곡), 풍류(이준호 작곡),사물놀이(호남가락)

    2월2일 / 해설A : 수제천, 포구락, 판소리(흥보가 중 제비노정기), 살풀이(이매방류), 침향무(황병기 작곡), 저녁노래4(이건용 작곡), 진도북춤
    2월9일 / 해설B : 산조합주, 승무(이매방류), 천년만세, 가인전목단, 쥐구멍에 볕들었어도(이성천 작곡), 다랑쉬(김대성 작곡), 판굿(날뫼북춤)
    2월16일 / 해설C : 여민락, 향발무, 가야금병창(흥보가 중 제비노정기), 태평무(강선영류), 산운(황병기 작곡), 풍류(이준호 작곡), 사물놀이(호남가락)
    2월23일 / 유산B : 종묘제례악, 판소리(수궁가 중 고고천변), 처용무, 아리랑, 가곡(삼수대엽,두거), 영산재(작법)

    3월2일 / 가형 : 수제천, 가야금산조, 천년만세, 태평무(한영숙류), 풍령(전인평 작곡), 경기민요(노랫가락,청춘가,창부타령), 연화무
    3월9일 / 나형 : 평조회상(염불,타령), 거문고산조, 포구락, 생소병주(염양춘), 대풍류, 파문(김영동 작곡), 입춤(국수호류)
    3월16일 / 다형 : 여민락, 대금산조, 가인전목단, 피리독주(상령산), 서도민요(산염불,자진염불,느리게타령,금다래타령), 갈잎소리(정동희 작곡), 한량무(이매방류)
    3월23일 / 라형 : 국악관현악 신내림(박범훈 작곡), 단소협주곡 수상곡(김희조 작곡), 잡가(집장가), 검기무, 대금독주(상령산), 부채춤, 판굿(웃다리농악)
    3월30일 / 마형 : 경풍년, 해금산조, 아박무, 시조(평시조 태산이,지름시조 청조야), 기악합주(육자배기,남도굿거리), 옹헤야(임준희 작곡), 살풀이춤(한영숙류)

    4월6일 / 바형 : 관악영산회상(상령산), 아쟁산조, 망선문, 단소독주(청성자진한잎), 남도민요(육자배기), 접동새(계성원 작곡), 진도북춤
    4월13일 / 사형 : 해령, 피리산조, 향발무, 여민락, 수나뷔(이상규 작곡), 승무(한영숙류), 사물놀이(웃다리가락)
    4월20일 / 아형 : 대취타, 시나위, 춘앵전, 가야금병창(백발가,심청가 중 올라간다), 몽금포타령(백대웅 작곡), 가사(죽지사), 무고
    4월27일 / 유산A : 종묘제례악, 판소리(적벽가 중 군사설움대목), 처용무, 아리랑, 가곡(언편,편수대엽), 강강술래

    5월4일 / 어린이공연으로 대체(토요명품공연 없음)
    5월11일 / 자형 : 국악관현악 새(원일 작곡), 소아쟁협주곡 아라성(조원행 작곡), 헌천수(단소,양금,생황), 새가락별곡, 산조춤(황무봉류), 도드리, 소고춤
    5월18일 / 가형 : 수제천, 가야금산조, 천년만세, 태평무(강선영류), 풍령(전인평 작곡), 경기민요(건드렁타령,도화타령,애원성,도라지타령), 연화무
    5월25일 / 나형 : 평조회상(염불,타령), 거문고산조, 포구락, 생소병주(염양춘), 대풍류, 파문(김영동 작곡), 입춤(조흥동류)

    6월1일 / 다형 : 여민락, 대금산조, 가인전목단, 피리독주(상령산), 서도민요(배치기,술비타령,자진술비타령), 갈잎소리(정동희 작곡), 한량무(조흥동류)
    6월8일 / 라형 : 국악관현악 신내림(박범훈 작곡), 단소협주곡 수상곡(김희조 작곡), 잡가(초한가), 검기무, 대금독주(상령산), 부채춤, 판굿(날뫼북춤)
    6월15일 / 마형 : 경풍년, 해금산조, 아박무, 시조(평시조 월정명,지름시조 바람아), 기악합주(육자배기,남도굿거리), 옹헤야(임준희 작곡), 살풀이춤(이매방류)
    6월22일 / 바형 : 관악영산회상(상령산), 아쟁산조, 망선문, 단소독주(청성자진한잎), 남도민요(흥타령), 접동새(계성원 작곡), 진도북춤
    6월29일 / 유산B : 종묘제례악, 판소리(춘향가 중 사랑가대목), 처용무, 아리랑, 가곡(태평가), 영산재(작법)

    7월6일 / 사형 : 해령, 피리산조, 향발무, 여민락, 수나뷔(이상규 작곡), 승무(이매방류), 사물놀이(설장구가락)
    7월13일 / 아형 : 대취타, 시나위, 춘앵전, 가야금병창(춘향가 중 사랑가), 몽금포타령(백대웅 작곡), 가사(황계사), 무고
    7월20일 / 자형 : 국악관현악 새(원일 작곡), 소아쟁협주곡 아라성(조원행 작곡), 헌천수(단소,양금,생황), 새가락별곡, 산조춤(황무봉류), 도드리, 소고춤
    7월27일 / 가형 : 수제천, 가야금산조, 천년만세, 태평무(한영숙류), 풍령(전인평 작곡), 경기민요(한오백년,강원도아리랑,신고산타령,궁초댕기), 연화무

    8월3일 / 해설A : 수제천, 포구락, 판소리(심청가 중 황성가는 대목), 살풀이(한영숙류), 침향무(황병기 작곡), 저녁노래4(이건용 작곡), 진도북춤
    8월10일 / 해설B : 산조합주, 승무(이매방류), 천년만세, 가인전목단, 쥐구멍에 볕들었어도(이성천 작곡), 다랑쉬(김대성 작곡), 판굿(웃다리농악)
    8월17일 / 해설C : 여민락, 향발무, 가야금병창(적벽가 중 조자룡 활쏘는 대목), 태평무(한영숙류), 산운(황병기 작곡), 풍류(이준호 작곡), 사물놀이(호남가락)
    8월24일 / 나형 : 평조회상(염불,타령), 거문고산조, 포구락, 생소병주(염양춘), 대풍류, 파문(김영동 작곡), 입춤(국수호류)
    8월31일 / 유산A :종묘제례악, 판소리(흥보가 중 제비노정기), 처용무, 아리랑, 가곡(소용이,반엽), 강강술래

    9월7일 / 다형 : 여민락, 대금산조, 가인전목단, 피리독주(상령산), 서도민요(산염불,자진염불,느리게타령,금다래타령), 갈잎소리(정동희 작곡), 한량무(이매방류)
    9월14일 / 라형 : 국악관현악 신내림(박범훈 작곡), 단소협주곡 수상곡(김희조 작곡), 잡가(화초사거리), 검기무, 대금독주(상령산), 부채춤, 판굿(날뫼북춤)
    9월21일 / 마형 : 경풍년, 해금산조, 아박무, 시조(평시조 태산이,지름시조 청조야), 기악합주(육자배기,남도굿거리), 옹헤야(임준희 작곡), 살풀이춤(이매방류)
    9월28일 / 바형 : 관악영산회상(상령산), 아쟁산조, 망선문, 단소독주(청성자진한잎), 남도민요(남해뱃노래,오돌또기,이어도사나,이야옹타령), 접동새(계성원 작곡), 진도북춤

    10월5일 / 사형 : 해령, 피리산조, 향발무, 여민락, 수나뷔(이상규 작곡), 승무(이매방류), 사물놀이(호남가락)
    10월12일 / 아형 : 대취타, 시나위, 춘앵전, 가야금병창(수궁가 중 화사자~고고천변), 몽금포타령(백대웅 작곡), 가사(어부사), 무고
    10월19일 / 자형 : 국악관현악 새(원일 작곡), 소아쟁협주곡 아라성(조원행 작곡), 헌천수(단소,양금,생황), 새가락별곡, 산조춤(황무봉류), 도드리, 소고춤
    10월26일 / 유산B : 종묘제례악, 판소리(심청가 중 황성가는 대목), 처용무, 아리랑, 가곡(삼수대엽,두거), 영산재(작법)

    11월2일 / 가형 : 수제천, 가야금산조, 천년만세, 태평무(강선영류), 풍령(전인평 작곡), 경기민요(노랫가락,청춘가,창부타령), 연화무 11월9일 / 나형 : 평조회상(염불,타령), 거문고산조, 포구락, 생소병주(염양춘), 대풍류, 파문(김영동 작곡), 입춤(조흥동류) 11월16일 / 다형 : 여민락, 대금산조, 가인전목단, 피리독주(상령산), 서도민요(배치기,술비타령,자진술비타령), 갈잎소리(정동희 작곡), 한량무(조흥동류) 11월23일 / 라형 : 신내림(박범훈 작곡), 단소협주곡 수상곡(김희조 작곡), 잡가(집장가), 검기무, 대금독주(상령산), 부채춤, 판굿(웃다리농악) 11월30일 / 마형 : 경풍년, 해금산조, 아박무, 시조(평시조 월정명,지름시조 바람아), 기악합주(육자배기,남도굿거리), 옹헤야(임준희 작곡), 살풀이춤(한영숙류)

    12월7일 / 바형 : 관악영산회상(상령산), 아쟁산조, 망선문, 단소독주(청성자진한잎), 남도민요(육자배기), 접동새(계성원작곡), 진도북춤 12월14일 / 사형 : 해령, 피리산조, 향발무, 여민락, 수나뷔(이상규 작곡), 승무(한영숙류), 사물놀이(호남가락) 12월21일 / 송년공연으로 대체(토요명품공연 없음) 12월28일 / 유산B : 종묘제례악, 판소리(적벽가 중 군사설움대목), 처용무, 아리랑, 가곡(언편,편수대엽), 강강술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