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연상세정보 | 공연정보 | 국립국악원

공연/행사정보

황병기류 가야금 산조- 김명숙류 산조춤 소천素泉 전바탕 [대관공연]

황병기류 가야금 산조- 김명숙류 산조춤 소천素泉 전바탕

  • 부제목

    황병기류 가야금 산조- 김명숙류 산조춤 소천素泉 전바탕

  • 공연기간

    2025-07-31(목) ~ 2025-07-31(목)

  • 공연일시

    이동
  • 공연장소

    우면당

    관람시간

    70분

  • 주최

    늘휘무용단

  • 주관

    늘휘무용단

  • 문의전화

    01037949834

    관람등급

    8세 이상(2018.12.31 이전 출생자)

공연상세

가격/할인정보

전석3만원

상세내용

황병기류 가야금 산조- 김명숙류 산조춤 소천素泉 전바탕

장르 (Genre) 무용


우면당

2025-07-31(목)

공연(행사) 목적

  • <황병기류 가야금 산조- 김명숙류 산조춤 소천素泉 전바탕>은 늘휘무용단 30주년을 맞이하여 그 시작을 알리는 공연으로 오랜 시간에 거쳐 완성된 70여분의 산조춤을 오롯이 가야금 연주와 홀춤으로 최초로 선보이는 무대이다.

    황병기류 가야금 산조는 가야금 산조의 거장이었던 정남희(丁南希, 1905-1984)의 산조 가락을 故황병기명인이 수십 년간 다듬고 자신의 가락을 보태어서 완성한 산조로 연주 시간이 70분으로 가야금 산조 사상 최대규모의 산조이다. 이렇듯 음악적 완성도가 높은 정남희제 황병기류 가야금 산조에 맞춰 추는 산조춤 소천素泉은 물들이지 않은 맑고 깨끗한 샘을 의미하며 그 이름에서 느껴지듯 꾸밈이 없는 단아한 ‘춤 그대로의 춤’을 지향하는 작품이다.
    이 춤은 1999년 국립국악원 예악당의 <전통의 맥찾기> 에 처음 15분 길이의 산조춤으로 첫 선을 보인 이후 2006년 늘휘무용단 10주년 기념공연에서 70분 산조춤을 완성시켜 LG아트센터 무대에 선보여 극찬을 받은 작품이다. 이후 미국 뉴욕 Asia Society, 프랑스 Paris UNESCO 등 다수의 해외 초청으로 산조춤의 가치를 인정받았으며 2016년 늘휘무용단 20주년 기념공연에서 황병기명인과 지애리 연주자의 직접반주로 산조춤이 대미를 장식하였고, 2017년에는 산조춤 무보책을 발간하는 등 공연 미학적인 측면과 학구적인 측면에서의 다양한 발전을 시도하였다.

    故황병기 명인과 김명숙의 오랫동안의 협업을 통해 20여년에 걸쳐 완성된 산조춤은 늘휘무용단 창단 30주년을 맞아 본래의 시작점이 되었던 ‘독주음악에 맞추어 추는 실내무용의 홀춤’으로 최초로 선보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가야금 연주와 춤이 서로 독자성을 지니면서 다시 합일되는 산조의 정수를 순수하게 담아내며 청각과 미감을 동시에 선보이는 무대가 될 것이다.

  • error 공연(행사) 목적 및 내용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관람후기

0건 (1 / 0페이지)
관람후기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해당 게시물이 없습니다.

기대평

기대평작성

공연장정보

우면당 좌석배치도, 총 231석, 장애인석 제외,
							좌석 구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반석: 일반좌석으로 예매가 가능한 좌석, 장애인석(휠체어석):좌석이 아닌, 휠체어 이용자를 위한 공간, 발코니석: 극장의 위층 사이드에 위치한 좌석
							우면당 공간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스테이지를 중심으로 왼쪽부터 가열, 나열, 다열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열과 나열 사이, 나열과 다열 사이에 1층 출입구가 1개씩 배치되어 있습니다. 가열과 다열은 발코니석이 있으며, 나열은 7행과 8행 사이가 통로와 계단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좌석 배치에 대한 설명입니다.
							가열 1행 앞부분에 장애인석 1~2번이 있으며, 1행 1~4번, 2행 5~9번, 3행 10~17번, 4행 18~25번, 5행 26~32번, 6행 33~38번 좌석이 있으며, 7행은 39~46번, 발코니석으로 2석씩 구분되어 있습니다.
							나열 1행 1~10번, 2행 11~21번, 3행 22~33번, 4행 34~46행, 5행 47~60번, 6행 61~75번, 7행의 76~91번, 8행 92~102번, 9행 103~114번, 10행 115~127번, 11행 128~139번 좌석이 있습니다.
							다열 1행 앞부분에 장애인석 1~2번이 있으며, 1행 1~4번, 2행 5~9번, 3행 10~17번, 4행 18~25번, 5행 26~32번, 6행 33~38번 좌석이 있으며, 7행은 39~46번, 발코니석으로 2석씩 구분되어 있습니다.

우면당 좌석배치도, 총 231석, 장애인석 제외, 좌석 구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반석: 일반좌석으로 예매가 가능한 좌석, 장애인석(휠체어석):좌석이 아닌, 휠체어 이용자를 위한 공간, 발코니석: 극장의 위층 사이드에 위치한 좌석

우면당 공간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스테이지를 중심으로 왼쪽부터 가열, 나열, 다열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열과 나열 사이, 나열과 다열 사이에 1층 출입구가 1개씩 배치되어 있습니다. 가열과 다열은 발코니석이 있으며, 나열은 7행과 8행 사이가 통로와 계단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좌석 배치에 대한 설명입니다.

가열 1행 앞부분에 장애인석 1~2번이 있으며, 1행 1~4번, 2행 5~9번, 3행 10~1 7번, 4행 18~25번, 5행 26~32번, 6행 33~38번 좌석이 있으며, 7행은 39~46번, 발코니석으로 2석씩 구분되어 있습니다.

나열 1행 1~10번, 2행 11~21번, 3행 22~33번, 4행 34~46행, 5행 47~60번, 6행 61~75번, 7행의 76~91번, 8행 92~102번, 9행 103~114번, 10행 115~127번, 11행 128~139번 좌석이 있습니다.

다열 1행 앞부분에 장애인석 1~2번이 있으며, 1행 1~4번, 2행 5~9번, 3행 10~17번, 4행 18~25번, 5행 26~32번, 6행 33~38번 좌석이 있으며, 7행은 39~46번, 발코니석으로 2석씩 구분되어 있습니다.

예매유의사항

예매방법

※ 예매, 공연 정보 등은 위의 ‘문의전화’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i예매취소 및 환불방법

예매취소 및 환불 방법 표 - 예매방법, 인터넷 예매, 전화예매, 방문예매로 구성됨
예매방법 인터넷 예매 전화예매 방문예매
취소방법 로그인 또는 본인인증
후, 마이페이지에서 취소
계좌 입금 시, 본인 명의
계좌번호 기재
국립국악원 대표번호
02-580-3300
예매자 본인 명의의
계좌번호로 일주일 이내 환불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내
고객지원팀 방문 (월~토 09:00~18:00/
공휴일,일요일 휴무)
관람권(티켓) 지참 필수
취소변경
가능시간
   공연 전일 18시까지
   ※ 패키지 티켓: 패키지 첫 공연 시작 전날 18시까지 취소/환불
   ※ 해당 시간 이후, 변경/취소/환불 불가
유의사항

   - 환불 금액 입금은 영업일 기준 3~5일 정도 소요됩니다.
     예금주와 계좌번호가 다를 경우, 환불 처리가 지연될 수 있습니다.
   - 부분 취소·좌석변경은 불가능하며, 전체 취소 후 다시 예매해야합니다.
   - 관람권(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 및 훼손의 경우, 재발행 및 취소/환불/변경 불가합니다.
   - 초대권은 환불 및 변경이 되지 않습니다.
   - 국립국악원 회원 가입 시, 마이페이지에서 예매내역을 확인·관리할 수 있습니다.

출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