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악원

동영상

보허사

작성일2022.05.17

조회수228

2021 멀티미디어 국악사전 궁중풍류: 풍류음악 '보허사'[2022.03.]
  • 설명

    ○ 2016 기악단 제13회 정기연주회: 풍류와 산조[06.03.]의 첫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보허사(步虛詞)는 원래 고려 때 중국에서 들어온 당악정재의 하나인 오양선(五羊仙)에서 부르는 ‘벽연농효사(碧烟籠曉詞)’라는 창사(唱詞)에 맞추어 연주하던 보허자(步虛子)령(令)이다. 그러나 현재는 보허사라고 부르며, 아명(雅名)으로는 황하청(黃河淸)이라고 한다. 전부 7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오늘의 연주에서는 느린 20박 한 장단의 초장과 빠른 10박 한 장단의 6장을 연주하고 이어서 이곡의 파생곡인 도드리(還入)를 연주한다. 도드리는 7장 전곡을 빠른 6박 한 장단의 도드리 장단에 맞추어 연주한다. 악기편성은 거문고 ·가야금 · 양금 · 장구 등 현악으로만 연주하며, 거문고는 수연장지곡, 가야금과 양금은 송구여지곡을 연주한다.

  • 인물정보

    ○ 가야금/김희영, 거문고/박혜신·유연정, 양금/정진, 장구/오다교 ○ 가야금/김희영, 거문고/박혜신·유연정, 양금/정진, 장구/오다교

  • 소장기관 등록번호

    V020927

"2021 멀티미디어 국악사전 궁중풍류: 풍류음악 '보허사'[2022.03.]"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 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