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악원

동영상

여민락

작성일2022.06.22

조회수257

2021 멀티미디어 국악사전 궁중풍류: 궁중음악 '여민락'[2022.03.]
  • 설명

    ㅇ 2006 국립국악원 정악단 정기공연 : 여민락, 봉래의 네 번째 프로그램 ㅇ 팸플릿 수록내용 <여민락>은 관현악곡으로, 이 곡의 유래에 관해서는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다. 이 곡은 각종 거문고 악보 등에 기록되어 있으며, <만>과 <본령>이 당피리 중심 음악인데 비해 향피리 중심 음악인 것이 특징이다. <여민락>은 모두 황. 태. 중. 임. 남의 황종평조이며, 무역이 잠깐 출현한다. 템포는 1장. 2장. 3장은 20박 한 장단의 완만한 속도로 연주하다가 4장 이후로는 10박 한 장단으로 변하면서 점점 빨라지는데 이것을 ‘급박(急迫)’이라 한다. 여음의 전반부에서 피리의 저음역 선율을 목피리 연주자가 한 옥타브 올려 ‘쇠는 가락’으로 연주한다. 악기편성은 거문고, 대금, 향피리, 해금, 아쟁 등인데 현악기 위주로 편성하여 연주하는 여민락을 <오운개서조> 그리고 관악기 위주로 편성하여 연주하는 여민락을 <승평만세지곡>이라고 하였으나 지금은 주로 관현합주로 연주하며, 아명도 <승평만세지곡>으로 통일하여 사용하고 있다.

  • 인물정보

    ㅇ 세피리/양명석·이건회, 대금/이상원·채조병, 해금/윤문숙·류은정, 거문고/이세화·양승경·홍선숙·김치자·김미숙·채은선·임완혁·윤성혜·이방실, 가야금/유연숙·채성희·장경원·이유나·김윤희·고연정·강효진·이명하, 평조단소/문응관, 양금/조유회·정지영, 생황/손범주, 아쟁/이종길, 장구/길석근

  • 소장기관 등록번호

    V020949

"2021 멀티미디어 국악사전 궁중풍류: 궁중음악 '여민락'[2022.03.]"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 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