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악원

동영상

지름시조 '바람도'

작성일2022.07.29

조회수69

2021 멀티미디어 국악사전 궁중풍류: 풍류음악 '시조/창 중 지름시조'[2022.03.]
  • 설명

    ○ 2019 정악단 기획공연: 정가 깊이 듣기 '임 그린 상사몽이'[07.04.]의 두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지름은 말 그대로 지른다는 뜻으로, 초장의 첫째·둘째 장단을 높은 소리로 질러서 부르며, 중장과 종장은 평시조의 가락과 같다. 가곡 <두거(頭擧)>의 음악적인 특징을 본받아 평시조에서 변형시킨 곡조이다. 즉, <두거>는 머리를 높이 드러낸다는 뜻인 것과 같이 지름시조도 초장 처음을 높은 소리로 질러내기 때문에 두거시조(頭擧時調)라고도 하며, 『삼죽금보(三竹琴譜)』에서는 소이시조(騷耳時調)라고도 했다. '바람도'는 아무리 험난한 고개를 지날지라도 그리운 임이 오시면 단숨에 넘어갈 것이라는 단호한 의지를 담고 있다.

  • 인물정보

    ○ 출연/국립국악원 정악단 - 남창/이희재(객원), 대금/김상준

  • 소장기관 등록번호

    V021051

"2021 멀티미디어 국악사전 궁중풍류: 풍류음악 '시조/창 중 지름시조'[2022.03.]"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 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