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악원

동영상

수연장

작성일2022.07.29

조회수240

2021 멀티미디어 국악사전 궁중풍류: 당악정재 '수연장'[2022.03.]
  • 설명

    ○ 근현대국악기록시리즈 5. 국립국악원 정재Ⅰ마스터본 [2015.12.10, 2016.01.13]의 첫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수연장은 헌선도와 마찬가지로 군왕의 장수를 기원하는 내용을 가진 정재이다. 『고려사』 「악지」에는 죽간자 2인과 16인의 기녀가, 『악학궤범』과 『정재무도홀기』에는 죽간자 2인과 8인의 기녀가 등장한다. 당악정재는 무원이 의물을 들고 도열하는 것이 특징이지만 『정재무도홀기』에는 의물에 대한 기록이 보이지 않는다. 이번 영상에서는 그동안 국립국악원이 수연장 공연에서 했던 것처럼 4대隊 무원들의 권위를 상징하는 개 4인과 의물 18인을 함께 구성하였다. 수연장도 헌선도와 마찬가지로 『정재무도홀기』(1893)를 중심으로 구성하였고, 춤사위는 『악학궤범』에 제시되어 있는 춤사위(절화무, 팔수무, 사수무 등)와 『정재무도홀기』의 수수무 등 지금까지 전해져 사용되는 정재 춤사위를 기준으로 구성하였다. 수연장은 전승이 단절된 이후 1974년 국립국악원 주최 ‘춘계정기발표회’(국립극장 소극장)에서 김천흥 선생님에 의해 재현되었다. 수연장의 음악은 『정재무도홀기』(1893)에는 ‘축성인지곡(보허자령)-중강-향당교주-중강’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본 영상에서는 현재 정재 음악으로 사용하는 ‘보허자-도드리-타령-자진타령-보허자-타령’으로 구성하였다. 의상은 헌선도와 같다.

  • 인물정보

    ○ 국립국악원 무용단 - 예술감독/한명옥, 구성 및 지도/최경자 - 죽간자/박지애·임동연 - 협무/백진희·이지연·김태은·김영애·이주희·정승연·이미영·권문숙 - 의물/최형선·홍명진·김혜영·이명희·김진정·이정미·김영신·유재연·윤은주·이지은·백미진·이주리·서희정·박민지·조은주·박경순·이윤정·이하경·이혜경·고은비·최나리·권덕연

  • 소장기관 등록번호

    V021011

"2021 멀티미디어 국악사전 궁중풍류: 당악정재 '수연장'[2022.03.]"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 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