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2022.08.01
조회수221
○ 조선무악[朝鮮舞樂][1931.06.29.]의 네 번째 프로그램 ○ 프로그램 해설 <고려사> 악지 속악조에 의하면, 고려 때 문신 이혼(1252~1312)이 영해지방으로 귀양 갔다가 해상에 떠있는똇목으로 북을 만들어 쳤는데 소리가 굉장하고 그 춤의 변태와 형상은 한쌍의 나비가 펄렁펄렁 날며 꽃을 감도는 것 같고, 두 마리 용이 용맹스럽게 여의주를 다투는 것 같다고 했다. 그리고 당시 악부에서는 가장 기묘한 것이라 했다. <고려사> 악지에 실린 무원은 2인이고 창사로는 정읍사를 노래했다. 조선 성종 때 무원8인으로 증가되었다가 순조 때 4인으로 축소되면서 협무가 등장하여 매우 화려하고 풍성하게 변모하였다. 헌종 때부터는 원무와 협무가 4인씩 편성되었고 <궁중정재무도홀기>에는 원무 4인에 협무가 8인으로 늘어났으며 한문으로 된 창사가 기록되어 있다.
○ 출연/이왕직아악부
V02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