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악원

동영상

남창 우조 삼수대엽 ‘도화이화’

작성일2022.11.15

조회수93

2021 멀티미디어 국악사전 궁중풍류: 풍류음악 '가곡 중 삼수대엽'[2022.03.]
  • 설명

    ㅇ 2009 토요상설공연 : 고선형[11.21]의 세 번째 프로그램 ㅇ 팸플릿 수록 내용 가곡은 시조시를 줄풍류(거문고, 가야금, 세피리, 대금, 해금, 단소, 장구 등) 편성의 반주에 얹어 노래하는 성악곡이다. 첫 곡인 초수대엽부터 마지막곡인 태평가까지 이어서 부르는 일종의 모음곡 형식을 갖추고 있는데, 남·여의 노래로 구분되며 우조와 계면조의 두 가지 선율이 있다. 5장 형식이며, 전주에 해당하는 대여음과 간주인 중여음이 있다. 삼수대엽은 가곡 한바탕의 셋째 곡이라는 뜻이다. 16박 한 장단의 느린 속도로 부른다. 󰡔가곡원류󰡕(1876)에 따르면, 삼수대엽의 악상은 “군문을 나선 장수가 칼을 휘두르며 적을 거느리듯”하다. 남창 우조 삼수대엽에는 흔히 ‘이화도화’를 얹어 부른다. ‘이화도화’는 천지와 함께 끝이 없는 꽃에 비해 인생의 유한함을 노래한 작자미상의 시조시이다.

  • 인물정보

    ㅇ 남창/김병오, 피리/황규상, 대금/이상원, 해금/황애자, 거문고/임완혁, 가야금/이종길, 단소/문응관, 장구/안성일(연수단원)

"2021 멀티미디어 국악사전 궁중풍류: 풍류음악 '가곡 중 삼수대엽'[2022.03.]"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 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