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악원

동영상

바라춤

작성일2023.09.26

조회수147

2023 복합매체 국악사전 민속: 춤(의례) '불교의례춤 중 바라춤'[2023.08.]
  • 설명

    ○ 2016 국립국악원 무용단 정기공연: 무원(舞源)[2016.06.17.]의 세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불교무용은 그 자체로 수행이며 예법이라 할 수 있다. 부처의 공덕을 기리고 그 사상과 정신을 모든 중생이 함께 깨닫고자 하는 마음을 담고 있다. 그리하여 세상의 대립과 갈등, 고통을 하나로 아우르고 지극한 아름다움, 진정한 진리의 세계에 도단한다. 이번 작품은 한민족 역사 속에서 불교적 배경을 지닌 춤들을 함께 선보이고자 한 것으로 불교의식무인 나비춤과 바라춤, 불교적 정서를 담은 가무보살과 승무가 한 자리에서 구현된다. 나비춤은 일명 '착복(着服)'이라 하며, 불법(佛法)을 상징한다는 의미를 지니는데 불교의식무용 가운데 가장 중요한 춤이라고 할 수 있다. 바라춤은 불법(佛法)을 수호한다는 의미로 양 손에 큰 바라를 들고 추는 춤이다. 악귀를 쫓고 도량을 청정하게 하며 마음을 정화하려는 뜻에서 춘다. 또한 가무보살은 노래와 춤으로써 부처님의 공덕을 찬탄하고, 극락왕생한 사람을 기쁘게 해주는 보살을 의미한다. 큰 법설을 듣고 흥겨워 추는 춤이 바로 가무보살이다. 불교의식무는 아니지만 불교적 정서를 담은 대표적 한국춤인 승무 속에는 어둠과 밝음이 공존한다. 고뇌는 고뇌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희망을 안고 앞날을 기원하며 한의 비탈을 넘어 하늘을 향해 날아오는 춤인 것이다.

  • 인물정보

    ○ 나비춤/장민하·최형선·백진희·홍명진, 바라춤/김태훈·안덕기 ○ 가무보살/이명희·이지연·이지은·이주리·이미영·권문숙·이윤정·임동연·이혜경, 승무/박성호, 동자/푸르미르 단원(객원)

  • 소장기관 등록번호

    V014312

"2023 복합매체 국악사전 민속: 춤(의례) '불교의례춤 중 바라춤'[2023.08.]"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 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