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악원

동영상

천수바라

작성일2023.10.05

조회수109

2023 복합매체 국악사전 민속: 춤(의례) '불교의례춤 중 천수바라'[2023.08.]
  • 설명

    ○ R. Garfias(로버트 가피어스) 선생이 1966년 7월 9일 안정사에서 '불교무용 '바라춤''을 촬영한 동영사자료(컬러). 왕십리 안정사에서 춘 <바라춤>의 영상 기록물이다. 승려 4인이 큰 바라를 양손에 들고 놀리면서 춤을 추고, 5인의 승려가 <천수바라([神妙章句大陀羅尼)]>를 합창으로 부르는데, 승려 중 1인(박송암)은 북, 1인(임재원)은 태징을 연주한다. 바라춤의 반주에는 취타악대가 연주하는 기악도 참여한다. 호적·나각·나발·바라·북 등으로 구성된 취타악대의 호적은 <휘모리-자진모리-휘모리>를 연주하는데, 짧은 가락을 여러 번 반복하고 즉흥성을 구사하여 부분적인 변주를 꾀하고 있다. 이 악대의 모습은 영상 속에 보이지 않는다. 이들 악대의 모습은 영상 자료 궁중행악-대취타(국악아카이브 V013318)에서 볼 수 있다. 이 영상 자료는 음향 자료 천수바라·나비춤(국악아카이브 A026938)의 세 번째 트랙에 녹음된 것과 같은 음악을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서울 안정사의 뒤뜰에서 촬영되었으며 4인이 두 명씩 마주 보고 추고 있다. 반주자들은 바로 뒤에 서서 연주하고 있다.

  • 인물정보

    ○ 춤/임재원·염삼열[임상열]·이종태·유영한, 노래·북/박송암, 노래·징/임재원, 노래/이종태·유영한, 취타-호적/최인서, 제금/주덕봉, 나각/이성준, 북/박병한, 나발/최섬새

  • 소장기관 등록번호

    V013344

"2023 복합매체 국악사전 민속: 춤(의례) '불교의례춤 중 천수바라'[2023.08.]"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 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