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악원

동영상

진도아리랑

작성일2023.10.10

조회수181

2023 복합매체 국악사전 민속: 통속민요 '남도민요 중 진도아리랑'[2023.08.]
  • 설명

    ○ 2022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흥과 신명[05.28.]의 두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남도민요는 우리나라 서남지방인 전라도 지역에서 불렸던 민요를 가리킨다. 진양조와 같이 느린 장단과 중모리장단의 독특한 장단의 민요가 많다. 주로 쓰이는 세 음 중 아래 음은 굵직하게 소리 내며 떨어주고, 위 음은 꺾어서 소리하는 것이 특징이다. 성주풀이는 집터를 관장하는 성주신에게 행운을 비는 노래로 무당이 부르던 무가에서 퍼져 민요화된 곡이다. 남한산성은 ‘남원산성’, ‘둥가타령’이라고도 하는데, 노래의 첫머리 ‘남원산성 올라가’라는 구절과 후렴구인 ‘허허 등가 둥가 내 사랑이로구나’에서 따온 것이다. 진도아리랑은 남한산성과 함께 대표적인 만도 민요 곡으로 선율이 매우 극적이고, 화려하고 다양한 시김새 등 소리를 자유롭게 하며 감정을 자아내는 표현력이 매우 짙은 음악이다.

  • 인물정보

    ○ 소리/양명희·이주은·염경애·조정희 ○ 대금/문재덕, 가야금/문경아, 거문고/이재하, 아쟁/윤서경 ○ 장구/조용복, 피리/장수호, 해금/조여경

  • 소장기관 등록번호

    V021207

"2023 복합매체 국악사전 민속: 통속민요 '남도민요 중 진도아리랑'[2023.08.]"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 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