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악원

동영상

초한가

작성일2023.10.11

조회수184

2023 복합매체 국악사전 민속: 잡가 '서도잡가 중 초한가'[2023.08.]
  • 설명

    ○ 2016 토요명품공연: 애호가를 위한 악가무 종합 마형[12.24.]의 두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서도잡가는 황해도와 평안도의 직업 예능인들에게 전승되어 온 전문가들의 노래를 가리킨다. 서서 노래하는 서도산타령 외에 앉아서 노래하는 제전, 초한가, 공명가, 추풍감별곡 그리고 시창과 송서로 구분된다. 좁은 의미로는 좌창만을 지칭할 때도 있다. 노랫말은 길지만 음악적으로는 복잡하지 않은데, 맨 마지막은 대개 수심가의 선율로 마무리하곤 한다. 서도산타령은 경기 산타령과 음악적 영향 관계가 있고, 제전, 초헌가 등은 서사적인 사설내용이 불규칙한 박자구조로 노래 불린다. 시창은 한문가사를 느리게 노래하며, 송서는 글 읽는 스타일로 노래하는 것을 말한다.

  • 인물정보

    ○ 소리/유지숙·김민경·장효선

  • 소장기관 등록번호

    V017058

"2023 복합매체 국악사전 민속: 잡가 '서도잡가 중 초한가'[2023.08.]"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 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