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악원

동영상

범패

작성일2023.10.11

조회수82

2023 복합매체 국악사전 민속: 불교 '범패'[2023.08.]
  • 설명

    ○ 2015 풍류사랑방 기획공연: 토요정담 '범음(梵音)의 향 <범패를 이어온 삶, 범패 제대로 알고 듣기>'[05.23.]의 네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작법(作法)은 불교의식에서 재(齋)를 올릴 때 추는 춤을 가리킨다. 작법무(作法舞) 혹은 범무(梵舞)라고도 한다. 작법은 크게 나비춤, 타주춤, 법고춤, 바라춤 등 네 종류가 있다. 나비춤은 흰색의 육수장삼에 붉은 가사와 오방색의 육수가사를 입고 낙관(樂冠)이라고 하는 고깔을 쓰고, 양손에 꽃을 들고 추는 화려한 춤이다. 해탈의 이념을 나타낸다고 한다. 타주춤은 바라춤과 같은 차림에 양손에 타주채라고 하는 긴 막대기를 들고, 팔정도를 돌며 추는 춤으로, 자신을 경계하는 의미가 있다고 하며, 법고춤은 중생제도, 바라춤은 불법(佛法)을 수호하고 널리 전파한다는 서원을 담고 있다. 도량게 작법은 법회나 재를 올리는 장소의 부정(不淨)을 가셔 깨끗하게 하는 의식으로, 도량게를 노래하며 나비춤을 춘다.

  • 인물정보

    ○ 범패/인묵스님 ○ 작법/도피안스님·인오스님, 북/성우스님

  • 소장기관 등록번호

    V013515

"2023 복합매체 국악사전 민속: 불교 '범패'[2023.08.]"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 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