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악원

동영상

육자배기

작성일2023.10.12

조회수139

2023 복합매체 국악사전 민속: 잡가 '남도잡가 중 육자배기'[2023.08.]
  • 설명

    ㅇ 2011 토요명품공연 : 명인명품형[07.09]의 네 번째 프로그램 ㅇ 프로그램 해설 남도민요는 전라도와 충청남도 일부, 경상남도 서남부 지역의 민요이다. 다른 지역 민요에 비해 아주 극적인 요소가 많다. 가장 대표적인 민요가 <육자배기>여서 이 민요의 음계구성을 ‘육자배기토리’라고 한다. 노래를 부를 때는 굵은 목소리로 눌러내는 표현이 많으며, 구성음 중 아래 음을 굵게 떨어주고, 중간 음을 떨지 않고 표현하며 위 음을 꺾어(짧은 꾸밈음의 표현과 비슷)내는 것이 특징이다. 강강술래, 새타령, 육자배기, 흥타령, 농부가, 진도아리랑 등이 대표적인데, 이 민요들은 서민들의 일상에서는 물론 명창들이 즐겨 불러 한국을 대표하는 민요가 되었다.

  • 인물정보

    ㅇ 노래/신영희(객원)·박양덕(객원)·김수연(객원) ㅇ 피리/한세현, 대금/원완철, 해금/김선구, 가야금/문경아, 거문고/이재하(연수단원), 아쟁/김영길, 장구/정화영

  • 소장기관 등록번호

    V008473

"2023 복합매체 국악사전 민속: 잡가 '남도잡가 중 육자배기'[2023.08.]"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 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