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악원

동영상

한주환류 대금산조

작성일2023.10.12

조회수116

2023 복합매체 국악사전 민속: 기악 '대금산조 중 한주환류 대금산조'[2023.08.]
  • 설명

    ○ 2006 제483회 무형문화재 무대종목공연: 신주희 대금 독주회[05.02.]의 세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산조(散調)라는 말은 '홑은조', '홑은가락'이라는 뜻으로, 일정한 장단틀 안에서 연주자가 자유롭게 선율을 엮어가는 즉흥성이 강한 음악이기 때문에 붙여진 듯하다. 19세기 말 전라도의 김창조 · 한숙구 등이 처음으로 가야금에 산조가락을 얹어 연주한 이래 뛰어난 명인들에 의해 대금산조, 거문고산조, 해금산조 등이 탄생하게 되었다. 대금산조는 박종기가 처음 탄생시켰으며 여러 명인들을 거치면서 한주환류 · 한범수류 · 강백천류 · 서용석류 · 이생강류 · 원장현류 등 다양한 유파로 발전하였다. 이 가운데 한주환류 대금산조는 호쾌하고 힘이 있고 멋진 가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짜임새가 뛰어나 다른 유파의 산조가락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산조는 진양 · 중모리 · 중중모리 · 자진모리 등 느린 장단에서 시작하여 점차 빨라지는 장단틀 안에서 우조 · 평조 · 계면조 등의 음조직을 기본으로 선율을 전개해 나가는데, 정악에서는 느낄 수 없는 다양한 주법과 시김새를 통해 조이고 푸는 맛을 만들어 가며 물아의 경지에 이르는 것이 산조가 추구하는 음악세계이다.

  • 인물정보

    ○ 대금/신주희 - 학력) · 1993년 국립국악고등학교 졸업 · 1997년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음악과 졸업 · 2000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음악학과 졸업 - 수상 경력) · 1993년 제9회 동아국악콩쿨 학생부 금상 · 1995년 제11회 동아국악콩쿨 일반부 동상 · 1996년 제12회 동아국악콩쿨 일반부 금상 · 1996년 제16회 전국국악경연대회 피리 · 대금부문 금상 - 현) · KBS국악관현악단 · 이화여자대학교 출강 ·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 박사과정 ○ 장구/김기철 - KBS국악관현악단 -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겸임교수 - 이대, 용인대 강사

  • 소장기관 등록번호

    V013009

"2023 복합매체 국악사전 민속: 기악 '대금산조 중 한주환류 대금산조'[2023.08.]"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 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