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악원

동영상

한강수타령

작성일2023.10.15

조회수187

2023 복합매체 국악사전 민속: 통속민요 '경기민요 중 한강수타령'[2023.08.]
  • 설명

    ㅇ 2006 토요상설 : 협종형의 다섯 번째 프로그램 ㅇ 프로그램 해설 경기민요는 서울과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불려져 온 민요로서, 굿거리·자진타령·세마치 등 흥겹고 경쾌한 느낌을 주는 장단이 많이 쓰인다. 또한 맑고 깨끗한 발성으로 음의 진행이 도약이 많지 않고, 위 아래의 가까운 음으로 진행하여 마치 ‘물찬 제비’를 떠올리게 한다. 도드리장단에 얹어 부르는 담바귀타령의 담바귀는 ‘담바구’라고도 하며 담배를 이르는 말이다. 한강수타령은 <양산도>나 <경복궁타령>과 함께 대표적인 경기민요이다. 한 소절을 메기고 후렴을 받는 방식으로 불러 나가는데, 메기는 소리의 가사가 대부분 한강과 관련된 내용이다. “한강수라 맑고 깊은 물에”로 시작하기 때문에 붙여진 곡명이다. 별조뱃노래는 기존의 뱃노래를 서울 외곽지역의 창법, 기악의 연주법과 성음으로 변화하여 부른 것이다. 자진뱃노래는 일종의 어요로 소리꾼들을 양편으로 갈라, 후렴을 한 소절씩 받아가며 따라하다가, 한 쪽은 소리를 메기고 다른 한 쪽은 후렴으로 받아 노래하는 자진모리장단의 박진감 넘치는 곡이다.

  • 인물정보

    ㅇ 지도/최경만 ㅇ 소리/이금미·조경희·남궁랑·강효주·최수정 ㅇ 피리/이호진, 대금/문재덕, 해금/김선구, 가야금/위희경, 아쟁/윤서경, 장구/조용복

  • 소장기관 등록번호

    V006933

"2023 복합매체 국악사전 민속: 통속민요 '경기민요 중 한강수타령'[2023.08.]"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 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