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2023.10.15
조회수247
○ 2018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날 기념공연: 소녀를 위한 아리랑[08.14.] 국악방송 촬영(클린본) 의 첫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강강술래>는 추석이나 정월대보름 등 보름달이 뜨는 밤, 여성들이 중심이 되어 함께 즐기던 놀이이자 예술이다. 늦은 장단의 진(긴)강강술래로 시작하여 중강강술래, 자진강강술래로 빠르게 원무(圓舞: 둥글게 대형을 짠 춤)를 추고, 여기에 다양하고 역동적인 춤과 놀이를 곁들인다. 특히, ‘고사리 꺽기’, ‘남생이 놀이’, ‘손치기 발치기’ 등의 놀이 춤은 해맑고 순수했던 우리네 어머니, 할머니의 흥겨움이 고스란히 녹아 있다.
○ 출연/국립국악고등학교 - 무용/박채영·이채연·최시연·한새연·한진우·강은비·강진비·강채연·김나영·김민선·김사랑·김서경·김주윤·김채니·김현진·노유진·박시영·배승연·서보림·신윤지·신우림·안지영·오재정·이수민·이예진·전현빈·정시은·조윤경·최수빈 - 판소리/김나윤·이혜진·최서연·한윤경·김지민·남승은·조은 - 가야금/김은세, 거문고/윤하은, 대금/임소린, 피리/김건, 해금/강현지, 아쟁/한지수, 장구/김원준, 북/심신정
V019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