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악원

동영상

01. 선유락·학무

작성일2024.09.26

조회수44

2018 국립국악원 무용단 정기공연: 화무(和舞)[09.13.]
  • 설명

    ○ 2018 국립국악원 무용단 정기공연: 화무(和舞)[09.13.]의 첫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선유락은 「뱃놀이 춤」이라는 뜻으로 실제 모형 배를 무대 위에 띄우고 많은 무용수가 물결이 되어 넘실거리는 바닷길로 돛배를 이끌어가는 모습을 형상화한 정재이다. 이 춤은 신라시대부터 연행되었다고 전하며 정조가 혜경궁 홍씨를 위해 마련한 봉수당 잔치(1795) 때 연행 된 이래, 순조 29년(1829) 『진찬의궤(進饌儀軌)』 이후 고종 광무 5년(1901) 『진연의궤(進宴儀軌)』까지 궁중에 큰 잔치가 있을 때마다 빠짐없이 연행 된 춤이었다. 오늘은 학무와 함께 구성하였다.

  • 인물정보

    ○ 무용/국립국악원 무용단 - 집사/김태훈·박성호, 동기/류하늬·변승아 - 협무/김혜자·최형선·김혜영·이명희·이지연·김태은·김진정·이정미·김영신·유재연·윤은주·이주희·정승연·서희정·권문숙·박경순·박지애·이도경·임동연·이하경·최나리·권덕연 - 학무/박상주·김청우·전수현·김현우 ○ 연주/국립국악원 정악단 - 집박/채조병, 창사/이준아·조일하 - 피리/이종무·김인기, 대금/이결·이오훈(단소), 해금/김용선·이찬미 - 양금/이웅, 가야금/강효진, 거문고/박지현, 장구/박거현, 좌고/김병오 - 대취타 · 태평소/김철, 나발/이영, 나각/이상원, 용고/황규상, 자바라/노붕래, 장구/정택수, 징/홍창남

  • 출처

    국립국악원

  • 소장기관 등록번호

    V0182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