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게착복춤(茶偈着服舞)
불교의식에서 상단의 삼보(三寶)1 와 중단의 성현을 소청하여 헌좌(獻座)하고 차(茶)를 올릴 때 추는 춤
다게(茶偈)는 소례(所禮, 예배를 받는 대상)를 소청하여 자리에 모신 다음 차를 올리는 게(偈)를 말한다. 각종 재회(齋會)에서 증명과 가피(加被)를 구하기 위해 소청한 상단의 삼보, 중단의 성현과 왕생을 위해 소청한 하단의 영가를 자리에 모시고, 5언 4구 또는 7언 4구의 게를 범패(梵唄)로 부르며 감로다(甘露茶)를 공양할 때 추는 춤이다.
불교의식의 절차에서 14세기 간행의 『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水陸無遮平等齋儀撮要)』, 『천지명양수륙재의찬요(天地冥陽水陸齋義纂要)』와 15세기 간행의 『진언권공(眞言勸供)』 등의 모든 의례문에서 다게는 확인되지만, 춤의 연행에 대한 표기가 나타나지 않는다. 한편 16세기와 17세기에 제작된 감로탱화에서 범패승(梵唄僧)의 꽹과리, 징, 북 등의 연주 모습은 보이지만, 착복춤의 복식을 갖춘 도상은 확인되지 않는다. 무복(舞服)을 갖춘 모습은 고성 운흥사(雲興寺) 감로탱화(1730)에서 확인되고, 춤을 추는 도상은 흥천사 감로탱(1939) 등에서 확인된다. 이로써 착복춤이 추어진 시기는 추측할 수 있으나, 다게작법이 추어진 유래는 알 수 없다.
○ 개요 다게작법은 불교의례에서 예배를 받는 대상을 자리에 모신 후 차를 올리는 다게의 과정에서 추어지며, 이 춤을 다게착복무라 부르기도 한다. ‘차를 올릴 때 무복(舞服)을 입고 추는 춤’이라는 의미이다. 다게를 범패로 부를 때 대무(對舞)로 추어지며 전승 지역과 계보에 따라 춤사위는 다르게 나타난다. 경제(京制)·완제(完除)의 1구는 ‘제자리→전진사위(1)→자리바꿈→전진사위(2)→제자리’의 구성이다. 제자리는 꽃을 모은 상태에서 일자사위를 한다. 전진사위(1)은 ‘두 걸음 나아가기→교차할 때 꽃 모으기→일자사위’를 하고 다시 ‘두 걸음 나아가기→두 걸음으로 좌로 90도 회전하기’로 자리바꿈을 완성한다. 이어서 ‘좌로 180도 회전하기→굴신→우로 180도 회전하기→굴신→꽃 모으기→일자사위→좌로 180도 회전하기→굴신→꽃 모으기→일자사위’까지는 느린 춤사위이고, ‘우로 180도 회전→꽃 모으기→일자사위→좌로 90도 회전→꽃 모으기’는 비교적 빠른 춤사위이다. 이와 같은 춤사위는 ‘전진사위(2)→제자리’의 구성도 같은 양상이고, 1구의 춤사위는 4구까지 반복적으로 추어진다. 영제(嶺制)의 1구는 제자리에서 ‘일자사위→굴신→요신→좌로 360도 회전하기→꽃 모으기→일자사위→우로 360도 회전하기→꽃 모으기→일자사위’이고, 2구는 ‘요신→좌로 360도 회전하기→꽃 모으기→일자사위’이다. 3구는 ‘요신→전진사위→굴신→요신→우로 360도 회전하기→꽃 모으기→일자사위→요신→전진사위→굴신→좌로 360도 회전하기→꽃 모으기→일자사위’이다. 4구는 ‘요신→좌로 360도 회전하기→꽃 모으기→일자사위→요신→전진사위→굴신→꽃 모으며 절하기’이다. 4구는 이 춤사위로 2회 더 추게 된다. 다만 2회는 ‘좌로 회전하기’를 ‘우로 회전하기’로, 3회는 ‘전진사위’를 ‘우로 360도 회전하기’로 춘다. 이 춤은 4회의 전진사위로 방형의 형태로 추어진다. 영제에서는 다게를 범패로 부르며 춤을 추고, 이어서 ‘유원삼보 애강도량 수차공양’을 3회 범패로 부르며 춤추기도 한다. 이때 구성은 ‘제자리→전진사위→자리바꿈→전진사위→제자리’이며 범패승의 재량에 따라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 ○ 주요 춤사위 이 춤은 기립 자세에서 추어지며, 두 손을 좌우로 크게 펼치는 일자사위, 앞으로 나아가 자리바꿈을 하는 전진사위는 교차할 때 춤사위의 변화도 나타난다. 다만 영제의 다게 춤사위에서 전진사위는 좌 사선으로 3보 나아간다. 좌우로 90도, 180도, 360도 방향 전환을 하는 회전하기, 일자사위에서 무릎을 구부렸다 펴며 뒤꿈치를 붙여 올리는 돋움새 동작의 굴신, 가슴 앞이나 단전으로 꽃을 모아 상하로 2회 돌리는 꽃 모으기 등이다. 경제·완제는 일자사위, 꽃 모으기, 전진사위, 좌우 회전하기, 굴신 등의 비교적 간단한 춤사위이다. 영제의 춤사위 명칭은 경제·완제와 유사하지만, 춤사위는 많은 차이를 보인다. 특히 전진사위에서 사선으로 나아가 방형(方形)의 형태를 보이는 것이 특이하다. ○ 반주음악 반주에 사용하는 악기는 꽹과리, 태징, 북, 목탁, 호적 등이고 경제·완제는 태징을, 영제는 꽹과리를 중심으로 한다. 반주법은 범패를 부르며 춤출 때와 악기 반주에 맞추어 춤출 때로 구분한다. 범패를 부르며 춤출 때는 ‘맺음’ 사위에서 ‘탕(●)’을, 마무리는 내림쇠(○○○○○○○○○ ○ ○)로 반주한다. 범패를 부르며 춤출 때 ‘맺음’ 사위에서 1소박 ‘탕(●)’을 반주한다. 마무리할 때 경제·완제는 구의 끝 소절에서 ‘탕-탕탕 탕-탕탕 탕-탕탕 탕탕 탕탕 탕 탕 다당 탕 탕탕 닥(●-●● ●-●● ●-●● ○○ ○○ ●-●-○○-● ●● - ●)’을 반주하고, 영제는 내림쇠(○○○○○○○○○ ○ ○)로 한다. ○ 복식·의물·무구 평상복인 회색 법복 위에 백색 장삼과 홍색 가사를 입는다. 경제·완제는 중가사(中袈裟)에 적색, 청색, 녹색, 황색의 대령(帶領, 폭 20㎝, 길이는 장삼 끝과 같이함)을 붙이고, 머리에는 연꽃과 범자(梵字)가 새겨진 낙관(樂冠)을 쓰며, 손에는 작약과 목단의 무화(舞花)를 들거나 꽃 없이 소매 끝을 잡고 춤을 추기도 한다. 영제는 반가사(半袈裟)에 적색, 청색, 녹색, 황색의 대령을 앞과 뒤에 붙이고, 대령을 어깨 위에 묶어서 가사를 입는다. 머리에는 상부에 관세음보살이 새겨지고 문양이 없는 낙관을 쓰며, 손에는 작약과 목단을 들거나 양손에 연꽃을 들고 춤을 추고, 요즘은 경제와 같은 낙관을 쓰기도 한다. ○ 역사적 변천 및 전승 다게(茶偈)의 의례절차는 확인할 수 있으나, 다게작법의 역사적 변천을 확인하기는 어렵다. 다만 현재 다게작법의 전승 현황을 보면, 경제는 영산재를 연행하는 봉원사의 옥천범음대학(玉泉梵音大學)과 조계종어산작법학교(曹溪宗魚山作法學校), 중제는 내포영산재, 완제는 영산작법보존회와 광주영산재에서 전승하고 있다. 영제는 영남지역 내에서 전승 계보가 나누어진다. 양산 통도사와 부산 범어사 중심의 통범제는 부산영산재와 함안수륙재, 통영 용화사와 고성 안정사 중심의 통고제는 아랫녘수륙재에서 전승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소청의 절차는 ‘거불→소청진언→유치→청사→향화청→가영→고아게→헌좌진언→다게’이며, 다게는 ‘상단다게, 중단다게, 증명다게’로 구분한다. 상단은 ‘아금청정수(我今淸淨水) 변위감로다(變爲甘露茶) 봉헌삼보전(奉獻三寶前) 원수애납수(願垂哀納受)’, 중단은 ‘청정명다약(淸淨茗茶藥) 능제병혼침(能除病昏沈) 유기옹호중(唯冀擁護衆) 원수애납수(願垂哀納受)’, 증명은 ‘금장감로다(今將甘露茶) 봉헌증명전(奉獻證明前) 감찰건간심(鑑察虔懇心) 원수애납수(願垂哀納受)’이다. 이와 같이 소례에 따라 다게의 내용은 다르지만 춤의 구성은 같다. 다른 춤보다 춤사위가 간단하여 착복춤을 전승할 때 먼저 배우기도 하며, 이 춤은 상단, 중단, 증명단의 다게에서 추고 하단(영단)에서는 추지 않는다.
국가무형유산 영산재(1973) 국가무형유산 아랫녘수륙재(2014) 부산무형유산 부산영산재(1993) 전북무형유산 영산재(1998) 인천무형유산 범패와 작법무(2002) 충남무형유산 내포영산재(2008) 광주무형유산 광주영산재(2014)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2009)
『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 간행 미상 죽암, 『천지명양수륙재의찬요』, 1342. 학조, 『진언권공(眞言勸供)』, 1496. 대우, 『예수시왕생칠재의찬요』, 1576.
(원명)최명철(崔命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