곱사위, 앉아뛰어 겹사위, 돌아앉아 겹사위
조선 후기 해서 지역 탈춤 동작 중에서 다리를 높이 뛰며 팔을 꺾어 한삼자락을 오른쪽 왼쪽으로 감아 겹쳐 뿌리며 맴도는 춤사위
겹사위는 봉산탈춤, 강령탈춤, 은율탈춤 등에서 주로 목중 역이 추는, 도약이 크고 장쾌한 한삼춤사위이다. 오른발을 높이 들고 껑충 뛰며 한 바퀴 돌면서 오른팔로 머리 위에서 한삼을 휘뿌리며 감고서는 이를 다시 원으로 풀어 뿌리는 동작이다. 다시 왼발과 왼팔로 같은 동작을 반복하는 깨끼춤의 한 종류로서 해서탈춤 한삼춤의 외사위와 함께 또 다른 기본이 된다. 전진이나 이동한 후 제자리에 서서 맴도는 사위를 한다. 기마자세와 요철굴곡이 심한 탈의 요동과 매 박마다 격렬한 어깨짓, 그리고 팔다리를 꺾어 휘둘러 감고푸는 무폭과 장쾌한 운동감을 두고 볼 때 고구려춤의 내림으로 북방계통의 흐름에 놓여 있음을 짐작케 한다.
○ 내용
겹사위는 해서탈춤에 두루 보이는 깨끼춤사위의 하나로서 흔히 곱사위로도 불린다. 발을 굴러 다리를 번쩍 들고 높이 뛰며 동시에 팔을 꺾어 한삼을 머리위로 크게 휘둘러 감고서는 이를 다시 풀어내며 한 바퀴도는 동작이다. 오른편 겹사위와 왼편 겹사위가 있는데, 앞의 것은 오른발을 높이 뛰며 오른팔로 한삼을 그러쥐고 크게 원으로 감았다가 이를 풀어내는 맴돌이 동작이고, 왼편 겹사위는 왼발을 높이 뛰며 왼팔로 한삼을 그러쥐고 크게 원으로 감았다가 이를 풀어내는 맴돌이 동작이다. 겹사위는 탈춤을 비롯하여 우리 춤사위의 가장 기본적인 특성의 하나인 감고 푸는 동작을 한꺼번에 일목요연하게 보여준다.
이 춤은 춤집이 큰 팔먹중이 주로 추는 춤으로 활달하고 절도 있는 춤으로. 봉산탈춤 먹중춤의 기본적인 사위 중 하나로 장쾌한 운동감을 느끼게 한다. 전진과 이동 후 제자리를 잡고나서 추어지며 요철굴곡이 심한 턀의 요동침과 격렬한 어깨춤과 더불어 이는 남성적이고 북방계열인 건무(健舞)의 흐름 속에서 고구려의 상무정신을 엿보이는 것은 외사위와 같다.그러나 겹사위는 오른팔, 왼팔로 한 번 씩 휘젓는 외사위보다 감싸고 도는 회전과 회돌아뿌리는 한삼놀림으로 좀더 다채로운 면모를 보인다.
이와 비슷한 동작으로 양사위가 있고 좀더 다양한 겹사위의 변형들이 있다.
겹사위는 외사위와 같이 기마자세를 기본으로 하며 깊은 무릎굴신과 함께 한삼을 놀린다. 다만 한삼을 뿌릴 때 외사위는 그냥 휘어 뿌림에 비해 겹사위는 한번 휘돌려 모았다가 다시 원으로 풀어 뿌림이 다른 것이다. 겹사위에서의 팔동작은 어깨 정도의 높이에서 그 아래로 떨어지는 예가 없다. 한삼을 휘어잡고 한쪽 팔로 완전 감았다가 풀어내는 동작으로 오른쪽 겹사위와 왼쪽 겹사위가 있다. 원래 겹사위는 두 박에 걸쳐 감았으나 현재는 첫 박의 첫머리에 감아 쳐올리고 둘째 박에 풀어 두 박에 걸쳐 감은 것을 대신하는 것으로 축소되었다.
봉산탈춤에서는 곱사위라는 말과 같이 쓰이고, 강령탈춤과 은율탈춤의 곱사위와 엇비슷하다. 산대놀이의 곱사위와는 춤동작이 상이하다.
○ 구성
봉산탈춤의 겹사위
1. 기본자세는 외사위와 같다. 1박에 제자리에서 도약했다가 착지하며 이때 오른손은 머리 위에서, 왼손은 대각선 방향에서 한삼을 감아 준다. 2. 2박에 다시 도약하여 시계방향으로 몸 전체를 180도 돌려 착지한다. 이때 감았던 한삼을 풀어 준다. 3. 3박에 다시 도약, 몸전체를 같은 방향으로 다시 180도 돌려 원위치에 착지한다. 이때 한삼을 외사위와 같이 머리 뒤에서 앞으로 감아 뿌린다. 4. 4박에 오른쪽 다리와 팔을 내리며 중심을 오른쪽 다리로 옮겨 다음 동작의 준비를 한다. 5. 5박에 왼쪽 무릎을 직각으로 올리고 제자리에서 도약했다가 착지하며, 이때 왼손은 머리 위에서, 오른손은 대각선 방향에서 한삼을 감아 준다. 6. 6박에 다시 도약하여 몸 전체를 시계반대방향으로 다시 180도 돌려 착지한다. 이때 감았던 한삼을 풀어준다. 7. 7박에 다시 도약, 몸 전체를 같은 방향으로 다시 180도 돌려 원위치에 착지한다. 이때 한삼을 외사위와 같이 머리 뒤에서 앞으로 감아 뿌린다. 8. 8박에 왼쪽 다리와 팔을 내리며 중심을 왼쪽 다리로 옮겨 다음 동작의 준비를 한다. 겹사위는 전부 8박으로 2장단이 필요하다. (5, 6, 7, 8박은 1, 2, 3, 4박의 동작요령과 같으나 손발과 몸의 회전 방향만이 반대일 뿐이다.) (겹사위의 원래 동작은 1, 2박에 머리 위에서 원으로 돌려 완전히 휘감고 3, 4박에 이를 원으로 돌려 완전히 뿌려 푸는 동작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강령탈춤의 곱사위
1. 1박에 오른쪽으로 한바퀴 뛰어 돌면서 오른 발은 ㄱ자로 들어 올렸다가 오른발을 왼발 뒤로 빼서 앞꿈치로 살짝 딛는다. 이때 오른 팔을 크게 머리 위로 들어 올려 앞으로 감으면서 뿌려준다. 2. 2박에 왼발을 디디며 제자리에서 오른발을 높이 들어 뛰면서 오른손을 머리위로 풀면서 뿌린다. 3. 3박에 오른발을 디디며 1박과 같은 방법으로 왼쪽으로 한바퀴 뛰어 돌면서 왼발을 높이 들고 왼팔을 감아 뿌려준다. 4. 4박에 2박과 같은 방법으로 반대쪽으로 한다.
송파 산대놀이 곱사위 1. 1박에 오른발을 들고 오른손은 이마 앞, 왼팔은 옆으로 하여 손바닥이 밑으로 하게 하며, 손목의 힘을 뺐다가 오른손을 이마 앞에서 머리 뒤쪽으로 넘긴다. 이때 오른 다리는 든다. 2. 2박에 오른손을 머리 뒤로 완전히 넘겨서 손바닥을 젖힌다. 이때 왼손은 옆에서 젖힌다. 들었던 오른 다리는 2박이 끝날 때 내려딛도록 한다. 3. 3, 4박에 앞의 동작을 반복한다.
양주별산대놀이 곱사위 양주별산대놀이의 곱사위는 곱사등이처럼 상체를 앞으로 굽혔다, 폈다를 반복적으로 하면서 뒤로 가는 춤(후진(後晉))이다.
1. 1박에 오른발을 ㄱ자로 앞으로 들고, 오른팔을 뒤로 돌렸다가 오른무릎에 꽂고 머리를 앞으로 숙인다. 2. 2박에 머리를 들어 앞을 보고 무릎에 꽂혀있던 오른팔을 어깨에 얹으면서 오른발을 뒤로 1보 가량 빼 딛는다. 3. 3박에 위 1박을 왼쪽으로 바꾸어 한다. 4. 4박에 위 2박과 동일하게 한다.
봉산탈춤인 경우 피리 2, 대금 1, 해금 1, 장구 1, 북 1로 구성된 삼현육각에 맞추어 춤을 추는데, 이때 사용되는 장단은 주로 맺고 끊음이 분명한 타령장단이다. 피리가 주선율을 이루고 황해도 서도소리의 음률을 닮았다.
봉산탈춤 목중춤인 경우 주홍색 바탕에 검은 색 반점과 혹이 여러 개 달린 요철굴곡이 심한 귀면형의 탈을 쓴다, 저고리와 잠방을 입고 그 위에 3자 길이의 한삼이 달린 더그레를 입는다. 허리띠를 매고 바지 위에는 행전을 치고 짚신을 신는다.
1. 감고 푸는 형태가 뚜렷하고 분명하다. 완전히 감고 그 다음 풀어 뿌리는 것이어서, 감고 풀어내는 동작이 선연하다. 맺고 푸는 한국춤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2. 겹사위는 이동하거나 전진하다가 일단 제자리에 멈추었다가 맴돌면서 추는 춤이다. 움직이다가 제자리에서 한다는 것은 앞뒤 동작을 묶어내고 마무리하여 거두어 집합시킨다는 의미가 있으며, 다음으로 넘어가게 하는 다리 역할도 한다. 말하자면 한국춤의 또한 특성인 어정거리는 자세의 한결 적극적인 모습이기도 하다. 3. 춤폭이 크고 장쾌해 고구려춤의 대물림인양 무술적인 자세와 상무정신(尙武精神)이 엿보인다. 하늘을 가르듯 휘감아 내뿌리고, 맺고 풀어 어르는 한삼춤에다 크게 꺾어지는 어깨춤, 봉두난발의 고갯짓, 뚝 떨어지는 오금과 활짝 핀 도듬새가 어울려 들어 큰 몸짓, 큰 다리짓에 도약하는 기상이 장히 호쾌하다.
봉산탈춤의 양사위는 겹사위와 거의 유사하나 단, 몸을 회전시키지 않고 거의 제자리에서 한다는 점과 두 팔의 위치가 머리 위와 아래로 구분되지 않고 거의 같은 위치에서 동시에 동작을 한다는 점이 다르다. 양사위는 3박에 양손을 양쪽으로 뿌려 올리되 발의 모습은 1장단에 제자리를 한 발로 뛰면서 좌우로 번갈아 180도 돌거나 혹은 한 바퀴를 한 발로 돌 수도 있다.
1. 기본자세는 외사위와 같다. 1박에 오른쪽 무릎을 직각으로 올리고 오른쪽 비낀 방향으로 몸 전체를 돌려 도약했다 착지한다. 이때 두 손을 머리 위로 올려 한삼을 감아 준다. 2. 2박에 그 자리에서 다시 도약, 착지하며 감았던 한삼을 풀어 준다. 3. 3박에 그 자리에서 다시 도약, 착지하며 감았던 한삼을 외사위처럼 풀어 뿌린다. 4. 4박에 오른쪽 다리와 두 팔을 내리며 정면을 향한다. 중심을 오른쪽 다리로 옮겨 다음 동작의 준비를 한다. 5. 5박에 왼쪽 무릎을 직각으로 올리고 왼쪽 비낀 방향으로 몸 전체를 도약했다 착지한다. 이때 두 손을 머리 외로 올려 한삼을 감아 준다. 6. 6박에 그 자리에서 다시 도약, 착지하며 감았던 한삼을 외사위처럼 풀어 뿌린다. 7. 7박에 그 자리에서 다시 도약, 착지하며 두 손의 한삼을 머리 뒤에서 앞으로 원을 그리듯이 감아뿌려 준다. 8. 8박에 왼쪽 다리와 두 팔을 내리며 정면을 향한다. 봉산탈춤의 앉아뛰어 겹사위
1. 앉아뛰기 외사위와 같이 1박에 두 팔을 벌려 내리고 무릎이 바깥쪽을 향하도록 벌려 앉는다. 2. 2박에 오른쪽 무릎을 직각으로 올리고 제자리에서 도약, 착지한다. 이때 오른손은 머리 위에서, 왼손은 대각선 방향에서 한삼을 감아준다. 3. 3박에 다시 도약하여 몸 전체를 시계방향으로 180도 돌려 착지한다. 이때 감았던 한삼을 풀어 준다. 4. 4박에 몸 전체를 같은 방향으로 다시 180도 돌려 들었던 다리를 원위치에 놓는다. 이때 오른손의 한삼을 외사위와 같이 머리 뒤에서 앞으로 감아 뿌린다. 5. 5박에 다리와 팔을 내리며 첫박의 요령으로 앉는다. 6. 6박에 왼쪽 무릎을 직각으로 세우고 제자리에서 도약했다가 착지햐며 이때 왼손은 머리 위에서, 오른손은 그 대각선 방향에서 한삼을 감아 준다. 7. 7박에 다시 도약하여 몸 전체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180도 돌려 착지한다. 8. 8박에 몸 전체를 같은 방향으로 다시 180도 돌려 들었던 다리를 원위치에 놓는다. 이때 왼손의 한삼을 외사위와 같이 머리 뒤에서 앞으로 감아 뿌린다. 앉아뛰기 겹사위는 앉는 것을 제외하고는 겹사위와 같은 요령으로 한다. 6, 7, 8박은 2, 3, 4박과 손발과 몸 방향이 반대일 뿐이다. 그 외 앉아 뛰어 겹사위를 하면서 오른쪽으로 360도 회전하면서 원위치에 오는 “앉아 뛰어 도는 겹사위”도 있다.
김세중, 「한국민속극 춤사위 연구」, 중앙대 석사논문, 1972 박전열, 『봉산탈춤』화산문화, 2001 (사) 민족미학연구소 엮음, 『한국 탈춤의 몸짓말 갈래사전 연구 Ⅰ』, 경당, 2010 (사) 민족미학연구소 엮음,『한국 탈춤의 몸짓말 갈래사전 연구 Ⅱ』, 경당, 2010 이병옥, 송파산대놀이 연구, 집문당, 1982 전경욱, 『은율탈춤』, 국립문화재연구소, 2003. 정병호, 『한국춤』, 열화당, 1985 정병호, 『한국 전통춤의 전승과 현장』, 민속원, 2011 채희완, 『탈춤』, 대원사, 1992 최창주, 『한국전통연희의 이해와 실제 Ⅲ-봉산탈춤』, 2000
채희완(蔡熙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