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기기, 박이기
경상도 덧배기춤에서 추어지는 춤사위군(群)의 형식.
이 춤사위는 경상도 향토춤인 덧배기춤의 판제를 이루는 핵심 동작 무리이다. 배김새는 어름새, 배격새, 위협새, 풀림새 동작으로 전개된다. 판제에서 춤군은 보통 세 번 정도로 행한다. 경상도 덧배기춤의 핵심 동작인 배김새군은 춤판에서 크게 호응을 받는 춤사위이다.
배김새는 경상도 향토춤으로 벽사(辟邪)의 특징을 간직한 춤사위 무리다. 부정한 것을 몰아내는 의미로, 덧배기춤에서 굿거리장단의 형식적 구조를 취한다. 춤 동작의 형상은 경상도 각 지역마다 향토적 특성에 따라 약간씩 다르다. 가면극, 백중놀이, 지신밟기, 동네잔치 등에서 덧배기춤을 주요 춤사위로 한 확장된 형상을 볼 수 있다.
경상도 춤판에서 덧배기는 탈놀음, 동네잔치, 농경 들놀이, 지신밟기, 동제 마당판 등에서 확장되어 사용되고 있다. 배김새에서 주요 춤사위 흐름은 보편적으로 어름새, 배격새, 우측 위협새, 좌측 위협새, 풀림새로 춘다. 전체 춤판에서 배김새무리를 3회를 하는데, 보통 선 배김새, 중간 배김새, 앉은 배김새를 한다. 어름새는 배김새를 시작하기 전에 준비하는 동작이고, 배격새는 귀(鬼)것을 배격하기 위해 앞으로 쳐들어가는 동작이고 위협새는 귀(鬼)나 부정한 것을 위협하는 동작으로 크게 뛰어 땅을 꽝 밟아 박는 동작이고, 풀림새는 귀것을 물리친 후에 긴장을 풀어주면서 추는 동작이다.
이 춤의 반주 음악은 보통 굿거리장단과 자진모리장단이다. 하지만 가락은 경상도 지역의 향토적 특성에 따라 조금씩 달리한다. 경상도에서 덧배기춤 리듬에서 ‘다라주는가락’이라 한다. 보편적으로 정적인 준비 신호에서 시작하여, 몰아치는 듯이 맺고, 끊어 주고, 점차 풀어 주며 마무리한다. 빠르고 연달아 치는데, 맺음 장단과 한없이 풀어 주는 장단으로 이어 준다.
복식은 경상도 지역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입었던 평상복이다. 하지만 덧배기춤의 춤사위가 확장되어 다양한 놀이와 연행에서 추어질 때에는 상황에 맞게 복식과 장비가 갖추어진다.
배김새 춤사위는 지역마다 형상이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전체적으로 어름새, 배격새, 위협새, 풀림새로 구성되어 있다. 이 춤사위는 평상시에서 비상이 발동하여 배격하고, 위협하여 부정한 것을 물리치는 강력한 주술적인 행위이다. 덧배기춤의 핵심이 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배김새군(群)은 한 춤판에서 보통 3번 이상을 춘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덧배기춤이 가진 상징성으로 한 번만 할 때도 있다.
송석하, 『한국민속고』, 일신사, 1960. 정상박, 『오광대와 들놀음 연구』, 집문당, 1986. 최흥기, 『울산덧배기춤』, 민속원, 2021. 최흥기, 「영남 풍속춤에서 덧배기의 용어인식과 개념 고찰-덧배기에서 덧배기춤과 덧배기춤놀이를 중심으로」, 『한국예술연구』 49, 2025.
최흥기(崔興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