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기기, 배김새군(群), 배김새무리, 배김새춤사위군
경상도 덧배기춤에서 판제를 이루는 춤사위군(群)의 형식
이 춤사위는 경상도 향토춤인 덧배기춤의 판제를 이루는 핵심동작 무리이다. 춤은 무리로 이루어져 있고, 구조는 명칭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어름새, 배격새, 위협새, 풀림새이다. 판제에서 춤 군(群)은 보통 세 번 정도로 행한다. 경상도 덧배기춤의 핵심동작인 배김새군은 춤판에서 크게 호응을 받는 춤사위이다.
배김새는 경상도 향토춤으로 벽사(辟邪)의 특징을 간직한 춤사위 무리다. 특히 경상도 지역의 향토춤인 덧배기춤의 판제를 이루는 춤사위들이다. 부정한 것을 몰아내는 의미로 덧배기춤에서 굿거리장단의 형식적 구조를 구축하고 있다. 이 춤동작의 형상은 경상도 각 지역마다 향토적 특성에 의해 약간씩 다르게 추어지고 있다. 이 춤의 전래는 가면극, 백중놀이, 지신밟기, 동네잔치 등에서 추어지는 덧배기춤에서 주요 춤사위로 추어진다. 경상도 사람들은 이춤을 덧배기춤 자체로 인식하는 경우도 있다. 이제 급변하는 사회 환경에서 점차 자취를 감추고 있지만,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경상도 춤과 가면극, 또는 동네잔치에서 추는 노령인의 춤에서 그 형상을 볼 수 있다.
경상도 춤판에서 배김새는 덧배기춤의 판제로 형식적 구조를 이루는 핵심동작이다. 춤의 시원은 명확하게 알 수 없으나, 벽사진경을 위한 행위로 볼 수 있다. 탈놀음, 동네잔치, 농경 들놀이, 지신밟기, 동제 마당판 등에서 부정한 것을 물리치는 춤사위 군(群)이다. 보편적으로 좌우로 위협새를 하는데, 진행은 어름새, 배격새, 우측 위협새, 좌측 위협새, 풀림새로 춘다. 전체 춤판에서 세판을 하는데, 보통 선 배김새, 중간 배김새, 앉은 배김새를 한다. 어름새는 배김새를 시작하기 전에 준비하는 동작이고, 배격새는 귀(鬼)것을 배격하기 위해 앞으로 쳐들어가는 동작이고 위협새는 귀(鬼)나 부정한 것을 위협하는 동작으로 크게 뛰어 땅을 꽝 밟아 박는 동작이고, 풀림새는 귀것을 물리친 후에 긴장을 풀어주면서 추는 동작이다. 배김새의 춤 알림은 악사(樂士)가 춤꾼에게 꽹과리 악(樂)으로 신호를 준다. 춤꾼은 악사의 악(樂)에 의해 배김새가 발동된다. 꽹과리의 맺음가락에서 왼발로 뛰어오른다. 두발을 동시에 땅에 내려앉으며 우측으로 뛴다. 땅에 박으며 위협새를 우측과 좌측으로 한다. 그런 후에 풀림새로 긴장을 풀며 비상상태의 상황이 해제된다. 경상도 각 지역의 배김새군의 도상을 살펴하면 다음과 같다. 1. 고성덧배기춤의 배김새춤사위군 가면극인 〈고성오광대〉에서 원양반의 배김새이다. 배김새의 첫 동작은 굿거리장단에서 어름새를 하는데, 오른쪽으로 네발래기로 춤추며 이동한다. 다시 왼쪽으로 춤추면서 이동한다. 왼쪽으로 갈 때에는 한걸음치면서 가고, 다음은 두 걸음 치기를 한다. 다음 배격새는 장단 사이에서 왼발을 엇질로 올려주고 오른발을 앞으로 쳐올려 뛰기를 한다. 그 다음은 위협새를 한 뒤에 풀림새를 한다.
2. 통영덧배기춤의 배김새춤사위군
가면극인 〈통영오광대〉에서 문둥이 배역이 배김새를 하는 장면이다. 처음 어름새에는 춤꾼이 뒤로 물러서면서 힘을 모으고, 다음은 엇질로 오른발을 올리면서 배격새를 하기 위하여 뛰기를 한다. 연이어 동시에 엇질로 왼발을 쳐올여서 배격새로 힘차게 앞으로 뛰어간다. 그리고 엇질로 위로 솟구치듯이 다음 장단에서는 배격새로 땅을 꽝하고 박는다. 그리고 배격새를 한 뒤에 바로 위협새와 풀림새를 한다. 3. 동래덧배기춤의 배김새춤사위군 가면극인 〈동래야류〉에서 말뚝이와 수양반이 함께 춤을 추는 장면이다. 수양반이 배김사위를 하는데, 그 형상은 제자리에서 굴신을 하면서 제자리에서 어름새를 한다. 다음은 배격새 춤동작으로 장단의 첫 박이 시작하기 전에 수(首)양반 배역이 엇질로 신체를 위로 솟구친다. 그 형상은 오른 발을 뒤로 쳐 올려서 힘을 강하게 모으고, 발을 앞으로 쳐올려 뛰어서 땅을 꽉 박아 착지하면서 위협새를 한다. 다음 장단에는 풀림새를 한다. 동래덧배기춤에서 배김새군의 특징은 어름새에서 두 팔을 너울거리면서 발을 뒤로 차면서 그 힘으로 갑작스럽게 솟구치며 뛰어 올라가는 움직임이다. 이러한 장면은 동래학춤의 배김사위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4. 수영덧배기춤의 배김새춤사위군
이 춤은 탈놀음인 〈수영야류〉에서 말뚝이의 배김새 동작으로, 굿거리장단에서 어름새를 제자리에서 상하동(上下動)의 도무(跳舞)에 의한다. 말채를 돌려서 신체를 급격하게 내려앉으면서 말채를 땅에 내려치며 배격새를 한다. 다시 신체를 일으켜 세우면서 우측 손을 들고 반대쪽의 왼손을 우측으로 접어치기한다. 다시 제자리에서 좌측으로 돌면서 상하동(上下動)으로 도무하며 접어치기한다. 다음 장단의 첫 박에서 힘차게 위협새로 앉으며, 말채로 땅을 매치고 일어선다. 다음 한 장단에서 우측 접어치기를 하면서 위협새로 땅을 매치고 제자리 어르기를 한다. 다시 왼쪽으로 한 장단에 좌측 접어치기를 하면서 위협새로 땅을 매치고 제자리 어르기를 한다. 5. 밀양덧배기춤의 배김새춤사위군 이 춤은 〈밀양백중놀이〉에서 하보경(河寶鏡, 1906~1997)의 범부춤에서 배김새춤사위군이다. 제자리에서 어름새를 하다가 힘차게 앞으로 돌진하면서 배격새 뛰기를 한다. 땅을 콱 밟아 박아주고 고개를 앞으로 숙이면서 배격새를 한다. 두 눈을 부릅뜨고 고개를 앞으로 내밀면서 위협새를 하고 풀림새로 이어간다. 노령의 나이에 매우 힘든 동작이지만, 그 형상은 장정들의 힘찬 춤으로 보인다. 배격새에서 다리의 폭은 강건하게 고착(固着)하며 땅을 밟는다.
6. 울산덧배기춤의 배김새춤사위군
울산의 마을잔치에서 한 노령의 주민은 갑자기 흥취에 못 이겨 신명으로 힘차게 배김새를 넣고 있다. 어느 순간에 자신도 모르게 자연스럽게 배김새를 한 것은 전통시대 풍속에 배여 있는 몸짓으로 울산의 배김새동작군이다. 이 배김새 동작의 진행은 처음 어름새로 제자리에서 상하동하며 우쭐거리면서 같은 발과 팔을 수족상응으로 동작한다. 그리고 급격하게 배격새를 하는데, 오른 발을 앞으로 내밀고 오른팔을 앞으로 감싸면서 고개를 밑으로 꽉 숙인다. 머리는 들고 앞을 보며 위협새한다. 그러면 심신을 완전히 풀어서 어깨춤을 추면서 풀림새를 한다. ○ 주요 춤사위군의 흐름
배김새 동작군은 보편적으로 어름새, 배격새, 위협새, 풀림새 춤사위 형상이다. 진행은 악사(樂士)가 신명의 기운을 춤꾼에게 악(樂)으로 신호를 준다. 춤꾼은 악사의 악(樂)을 듣고 배김새를 준비한다. 악의 신호는 꽹과리를 연이어 다라서 치는데, 이러한 달아주는 가락을 애령(哀鈴)이라 한다. 신령을 부르는 소리로 흔히 장례에서 스님이나 선소리꾼도 이러한 리듬의 악을 친다. 종을 연이어 치면 영(靈)이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고 사람들은 긴장한다. 점차 소리를 빠르고 강하게 연속적으로 치는데, ‘딸랑딸랑딸랑, 딸랑딸랑딸랑, 딸랑딸랑딸랑, 딸랑딸랑딸랑’하는 리듬을 가지고 울린다. 이를 꽹과리 리듬으로 치면, ‘짱자자장/ 짱자자장/ 짱자자장/ 짱자자장’하면서 다라 친다. 경상도에는 상여가 나갈 때에도 종보다 꽹과리를 치는 경우도 많다. 보편적으로 굿거리장단은 ‘정~ 정/ 정~ 정/ 정 저정/ 정~정’의 느린 박에서, ‘정~ 적/엇 정정/ 정 저저정/ 정 저저정’하고 신호를 준다. 이때 춤꾼은 긴장하며 힘을 모우기 위해 뒷걸음친다. 배김새의 준비는 1차로 어름새 동작을 하고, 다음은 배격새를 하기 위하여 제자리에서 힘을 모은다. ‘정 저저정/ 정 저저정/ 정 저저저저/ 저저저저저적’의 가락에 춤꾼은 점차 마음을 조이며, 기운을 모아 움츠리면서 뒤로 물러나서 준비한다. 그러면 악사의 쇠가락은 덜컹거리는 맺음 가락을 준다. 순간적으로 몸과 마음을 다하여 배격새를 하기 위해 앞으로 튀어가듯이 뛰어 나간다. 순간적으로 앞의 장단과 뒤의 장단 사이에서 엇질로 치고 들어간다. 어름새에서 배격새 리듬은 ‘저저저저저저/ 저저저저저저/ 저저저저저저/ 정~ 접’으로 마치 종을 계속 다라서 치듯이 꽹과리를 치고 순간적으로 맺어준다. 이때 동(動)적인 기운은 정(靜)으로 이어간다. 춤꾼은 순식간에 첫 박에 왼발이 먼저 뛰쳐나간다. 위협새는 왼발을 올리고 내리면서 오른발을 들어 올려 힘차게 뛰어오른다. 아주 강한 힘을 순간적으로 폭발하듯이 공중에 높게 떠있다. 다음 장단에 땅에 콱 밟고 착지(着地)하면서 위협한다. 양손을 양 무릎에 탁 치고, 얼굴은 땅을 본다. 1장단에 뛰어 나가며, 엇질로 크게 높이 뛰어 땅을 꽝 밟으면서 고개를 쳐들고서 앞으로 위협한다. 다음 좌측 위협새로 양팔을 위로 올려 한발을 올리고 몸을 굴신하면서 크게 옆으로 평하게 뛰어 오른다. 고개를 앞으로 쳐들며 위협한다. 그리고 풀림새로 귀것이 물러난 신호 악으로 느긋하고 편안하게 춤을 춘다. 이렇게 배김새는 꽹과리의 맺음가락에서 왼발부터 시작되어 뛰어나가는데, 첫 장단의 4마디와 다음 장단의 1마디의 첫 박(拍)사이에 동작은 엇질로 뛰어오른다. 다음 장단에서 왼발을 들면서 몸은 평면으로 뛴다. 다음 2마디에서 두발을 동시에 좌측으로 뛴다. 다음 3-4마디에서 땅에 몸을 박으며 위협한다. 다음 장단에서 풀림새로 충분히 긴장을 풀어준다. 제자리에 굴신으로 우쭐거리고 오른손은 앞으로 내 밀면서 왼손바닥을 보고, 왼손을 앞으로 내밀면서 오른손바닥을 보는 듯이 춤을 춘다. 마치 거울을 보면서 주위의 부정한 것이 있는가를 확인하듯이 춤을 춘다. 그리고 오른쪽으로 두발래기와 네발레기로 땅을 밟으면서 나아가고, 왼쪽으로 같은 방법으로 춤을 춘다.
이 춤의 반주음악은 보통 굿거리장단이다. 리듬은 경상도 지역의 풍악에 따라 조금씩 달리하는데, 지역의 향토적 특성에 의해 춤 리듬이 따라간다. 경상도에서는 덧배기장단에서 다라주는 가락이다. 지역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보편적으로 정적인 준비 신호에서 몰아치는 듯이 맺고, 끊어주고, 점차 풀어준다. 음의 길이는 급하게 빠르게 연 다라서 치는 맺음장단과 한없이 풀어주는 장단으로 긴장을 풀어주는 음이 주를 이룬다.
복식은 경상도 지역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입었던 평상복이다.
경상도 각 지역 덧배기춤에서 판제를 이루는 춤사위 무리이다. 지역마다 형상이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보편적으로 어름새, 배격새, 위협새, 풀림새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배김새 군(群)은 한 춤판에서 보통 3번 이상을 하는데, 오늘날에는 조금씩 변모하여 한번만 할 때도 있다.
송석하, 『한국민속고』, 일신사, 1960. 이두현, 『한국연극사』, 학연사, 1991. 정상박, 『오광대와 들놀음 연구』, 집문당, 1986. 정병호, 『한국의 민속춤』, 서울: 삼성출판사, 1991. 최남선, 『조선상식문답 속편』, 동명사, 1947. 최흥기, 『울산덧배기춤』, 민속원, 2021. 최흥기, 「덧배기의 배김새에 관한 인식과 형상 고찰」, 『한국예술연구』제26호,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19. 〈고성오광대〉(1965). 국립무형유산원 디지털 아카이브. https://www.youtube.com/ watch?v=RaYDUyRkCiU. 접속일 2019.1.20. 〈동래야류〉(1969). 국립무형유산원 디지털 아카이브. https://www.youtube.com/ watch?v=bGqW4ThMksE&t=10s. 접속일 2019.1.20. <밀양백중놀이>(1981). 국립무형유산원 디지털 아카이브. https://www.youtube.com/ watch?v=znnA83bLcK4. 접속일 2019.1.20. <수영야류>(1971). 국립무형유산원 디지털 아카이브. https://www.youtube.com/watch?v= ZBmIvCLBIpg&list=PLDjaF_mqMazbUA5iMW2sLN_S-F94NixEL. 접속일 2019.1.20. 통영오광대보존회(1과장 문둥탈). 원광호 유튜브 홈페이지. https://www.youtube.com/ watch?v=WjJgPWMvwiI). 접속일 2019.1.20. 사진촬영: 촬영소장자: 최흥기, 청량 도솔암 경로잔치에서 연구자의 촬영 사진,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삼정리 511-1번지, 2013.10.13.
최흥기(崔興起)